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문화와 예술 그리고 쉼이 있는 ‘2024 수원연극축제’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4-05-20
5월 18일과 19일 경기상상캠퍼스에서 `숲속의 파티: 2024 수원연극축제`가 열렸다.   ⓒ 오유은 기자


5월 18일과 19일 경기상상캠퍼스에서 `숲속의 파티: 2024 수원연극축제`가 열렸다. 이번 수원연극축제는 그야말로 문화와 예술이 공존하는 축제라고 할 수 있었다. 서커스, 공중극, 이동형 거리극, 관객 참여형 공연 등 공연도 종류가 많아서 놀라웠다. 뿐만이 아니라, 체험부스도 많았다. 예술 놀이터로 이틀만 개장하는 부스에서는 매듭팔찌 만들기, 종이부채 꾸미기, 복합적 기법으로 새 그리기처럼 재미있는 체험이 많았다. 가족과 온다면 상상캠퍼스 내에 있는 경기도업사이클플라자에서 보드게임을 하는 것도 추천해 본다. 가정의 달 5월 가족과 함께하는 숲속의 파티! 기자의 생생한 체험 후기를 즐겨보자!

예술성과 대중성을 생각한 연극, 음악, 퍼포먼스, 거리극 등의 새로운 공연을 감상할 수 있었다.   ⓒ 오유은 기자


수원연극축제는 1996년도 `수원성국제연극제`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시작한 지는 어느새 28년이 되었고, 그동안 축제는 꾸준히 발전했다. 이번 해에도 더욱 발전한 모습이었다. 체험도 더 많이 생기고, 공연도 더 다채로워졌다. 이번 수원연극축제는 예술성과 대중성을 생각한 연극, 음악, 퍼포먼스, 거리극 등의 새로운 공연을 선보였다. 21개의 작품을 하나하나 보고 싶었지만 시간이 없어 그러지 못한 만큼 다음번에는 일찍 가서 모든 공연을 볼 것이다.

관람객들은 미리 준비한 돗자리를 깔고 공연을 편안하게 감상했다.   ⓒ 오유은 기자


대부분의 공연을 밖에서 해서 꼭! 돗자리를 챙겨야 한다. 관람객 모두 같은 생각이었는지, 푸르른 풀밭이 돗자리로 꽉 채워졌다. 먹을 것을 챙겨와서 먹으며 공연을 즐기거나 소풍처럼 돗자리에 앉아있는 사람들이 많이 보였다. 기자도 푸르른 나무들을 보며 조금의 휴식을 가졌다. 시원한 바람이 불어오면서 진정한 소풍을 느낄 수 있었다. 내 생각의 소풍이란 ‘쉬는 것’이기 때문에 이 축제는 `소풍 같은 축제`라고 할 수 있겠다.

다양한 체험 거리   ⓒ 오유은 기자


기자는 복합적인 기법으로 새를 그리는 `새 그리기` 체험을 해보았다. 체험 시간은 60분 내이고, 체험비는 3,000원으로, 작품을 완성하면 액자를 받을 수 있다. 이 체험의 키워드는 새, 마스킹 테이프, 마커인 것 같다. 그 재료들로 새를 그리는 것이라서 그 셋이 체험의 키워드인 듯하다. 만드는 방법은, 일단 새 사진을 마커로 기름종이에 따라 그린다. 이어서 뒷면에 여러 색상의 마스킹 테이프를 붙여 완성한다. 이처럼 간단하고 재미있는 미술은 처음이었다. 내가 해본 미술들은 그리거나, 색칠하거나, 오리는 활동이었기 때문이다. 이번 체험을 통하여 새로운 기법으로도 미술을 할 수 있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예술의 축제답게 많은 체험이 있었지만 제일 끌리는 체험이었다.

`일회용품 없는 축제`라는 타이틀에 걸맞게 축제 현장은 쓰레기 없는 깨끗하게 유지됐다.   ⓒ 오유은 기자


이번 축제에서는 경기도의 정책대로 일회용품이 없는 축제였다. 풀숲이나 땅에 쓰레기가 버려져 있는 모습을 보지 않아도 되니 왠지 내가 뿌듯했다. 경기도업사이클플라자에는 아예 일회용품을 들고 들어갈 수 없었다. `일회용품 없는 축제`라는 타이틀처럼 진짜 깨끗하고, 사람들이 쓰레기를 더 이상 버리지 않으니 고마웠다. 가정의 달! 이런 축제들이 더 늘어나면 좋겠다. 정말 가족과 함께하기 좋은 축제이다. 다음 시즌에도 또 가서 축제를 즐기자!
■ 2024 수원연극축제 <숲속의 파티>
○ 기간 : 2024.05.18.(토)~2024.05.19.(일) ○ 장소 : 경기상상캠퍼스 ○ 누리집 : https://www.swcf.or.kr/stf/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곤충의 매력에 빠져보세요! 경기곤충 2024 페스티벌
이전글 “식집사들 주목” 병든 식물 있다면 사이버식물병원에 문의하세요!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