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고랑포구 역사공원에서 만나는 삼국시대부터 현대까지의 이야기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4-05-22
연천의 고랑포구를 아실까요?​ 고랑포구는 임진강을 통해 내륙과 서해안 바닷길을 연결하는 나루터로 삼국시대부터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고려시대는 고량진이라 불렸고 조선시대에는 중요한 항구가 되었습니다. ​ 1930년대까지만 해도 크게 번성하여서는 화신백화점이 있었으며 우시장도 개설되었습니다.​ 하지만 6.25전쟁과 분단의 시대를 거치며 쇠락하여서는 몇 년 전까지만 해도 그 흔적조차 찾기가 어려웠습니다. ​한데 고랑포구 역사공원이 개장하면서 당시의 역사를 들려줍니다.
연천 고량포구역사공원  ⓒ 이민숙 기자


역사공원 전시실 초입 임진강과 맞닿아 청보리밭이 펼쳐지고 공원 앞마당에는 한국전쟁 중 활약했던 군마 레클리스 동상이 서 있습니다. ​ 임진강변을 따라 길게 이어지는 청보리밭이 너무도 싱그럽습니다. ​ 쉼터 정자와 너른 잔디 마당까지 잠시 쉼을 즐기게 되네요. 한적한 연천의 들판이었습니다. 고랑포구 역사공원은 삶의 찰나, 역사와 문화의 찰나로 이어지는 전시실에서 연천과 고랑포의 역사를 만나고 1층 끝자락에서 2층으로 오감의 찰나 어린이 체험 전시실로 이어집니다. 먼저 저잣거리 삶의 찰나입니다.

고량포구역사공원 관람동선  ⓒ 이민숙 기자


임진강을 오고 갔던 황포돛배와 함께 1930년대 번성했던 저잣거리가 재현되었습니다. ​ 황포돛배는 한강 마포나루에서 고랑포 나루까지 소금과 새우젓을 실어 나르던 주요 운송수단이었습니다. ​ 고랑포는 삼국시대부터 무역의 중심지이자 전략적 요충지로 발전하였습니다. ​ 개성과 서울을 잇는 빠른 길로 포구 주변은 늘 북적였습니다. ​ 생선과 새우젓, 소금배가 올라와서는 물자 교류 중심 역할을 하였네요. ​연천고랑포구AR 앱 설치로 더욱 실감 나게 즐길 수도 있습니다. 각각의 전시마다 AR 콘텐츠 가상세계가 실현​됩니다. 1930년대 당시의 모습이 재현된 고랑포구입니다. 포구를 중심으로 중앙에 화신백화점 분점이 위치하였고 우시장, 곡물 검사소, 여관, 면사무소, 시계포, 약방, 여관, 문방구, 초등학교가 나란히 합니다.​ 주민들이 기증한 사진 자료를 통해 당시의 모습을 생생하게 소개되네요. 유치원 입학식, 초등학교 졸업식, 금강산 여행 등 얼마나 부유했었는지 사진으로 증명되었습니다.

1930년 고랑포구의 사진  ⓒ 이민숙 기자


많은 돈이 돌았음을 보여주는 중앙 우체국을 시작으로 번화했던 포구의 모습이 상점가로 이어집니다.​ 명동의 화신백화점은 이곳 연천 고랑포구에 분점이 존재하였습니다. ​고랑포구 역사공원이 위치한 바로 그 자리였습니다. 쌀가게와 임진각 약방, 고려인삼, 양장점 등을 따라 시간 여행을 즐기게 됩니다 상점가 끝으로 고랑포 우시장이 있습니다. 돈이 많이 돌면서 당시 재산의 상징이었던 우시장도 활발하게 운영되었던 듯합니다. ​ 주막과 밥집도 재현되었습니다. 고랑포구 역사공원을 찾아가는 길은 수도권에서 대략 1시간 30부 거리 인적이 드문 임진강변에 위치하였습니다.​ 신라의 마지막 왕이었던 경순왕릉과 삼국시대 전략적 요충지였던 호로고루가 지척입니다. 또한 DMZ 민간인 통제구역도 가깝습니다. 너무도 한적한 현재의 모습과 번성했던 당시의 모습이 비교되었습니다. 분단 이전과 이후 가장 많이 변화된 곳 중 하나인 듯하네요.

고랑포구 우시장 1930년대 모습  ⓒ 이민숙 기자


이어지는 전시실은 찬란의 역사의 현장을 만나는 역사와 문화의 찰나입니다.​ 한반도가 간직한 연천의 역사, 고랑포구로 향하는 교역로, 통일을 염원하는 순간, 호로고루에 담긴 삼국의 기록 등 다양한 자료와 기록을 통해 역사를 들려주네요. ​ 그 사이사이로 패러글라이딩, DMZ 동물원, 호로고루를 지키자 칼싸움 체험과 황포돛배 VR 등 다양한 체험도 즐기게 됩니다. 50만 년 전 화산 폭발로 만들어진 용암대지를 가로지르는 물줄기는 한탄강과 임진강을 나들었고 강을 감싸 안은 주상절리가 드러났습니다.​ 고랑포는 주상절리 속에 자리 잡아군사 요충지, 해상 운송의 중심지로 역사를 이어왔네요. 오랜 역사를 보여주는 스크린 영상은 한탄강과 임진강의 물길이 이어지고 그 위로는 화산 폭발을 시작으로 삼국시대 조선시대를 지나 평화가 찾아온 미래까지 이어지네요 이어 연천과 고랑포의 역사가 좀 더 구체적으로 자료를 통해 소개됩니다.​ 삼국사기, 택리지, 기언, 조선왕조실록에 고랑포가 소개되고 겸재 정선은 `우화등선`, `연강임술첩` 등에 연천 용연에서의 모습을 담았네요.​ 하지만 안타까움도 있으니 삼국시대부터 전략적 요충지였던 연천 고랑포는 6.25 전쟁 당시에도 최전방 방어선으로 치열한 전투가 펼쳐졌으며 1968년에는 북한 무장공비 침투사건도 있었습니다. ​ 역사공원에서는 1.21 무장공비 침투로도 가까웠습니다. 파란만장한 역사입니다.

고랑포구가 기록된 역사서  ⓒ 이민숙 기자


한반도의 역사를 품은 많은 이야기와 함께 다양한 체험도 즐깁니다.​ VR과 AR 체험으로 가상 세상 속에서 아주 리얼하면서도 신나는 체험을 하게 됩니다. 먼저 패러글라이딩입니다. ​ 기기를 장착하고는 연천 명소의 하늘 위를 날게 됩니다. 어린아이들도 아주 신나게 놀이를 즐기는 모습이었습니다. 끈을 통해 직접 조종도합니다. DMZ를 좀 더 자유롭게 여행하는 DMZ 포털존도 있습니다.​ 빠르게 이동하는 스크린을 통해 서해바다, 평야, 그리고 숲을 지나 다시 동해바다로 저어새, 노루, 삵을 따라갑니다. ​ 파주에서 시작된 DMZ가 연천 철원을 거쳐 고성까지 이어지네요 . 고랑포구 역사공원에서 금강산이 보이는 통일전망대로의 대화도 시도합니다.

DMZ 전시실  ⓒ 이민숙 기자


삼국시대로 돌아가. 칼을 이용하여 호로고루도 지킵니다. ​ 두 개의 기기를 장착하면 고구려의 군사가 되어 영토를 지키게 되네요. ​ 6.25 전쟁에 참여한 군마 레클리스도 구합니다. 역사공원 앞마당에서 먼저 만난 레클리스는 1953년 경기도 연천에서의 중공군과 해병대의 전투에 참여했던 군마로 하루에 약 51차례 탄약을 실어 나른 공로를 인정받아 5개의 훈장을 받았습니다. DMZ 서식 동물과의 생생한 교감을 하게 되는 AR 동물원도 인기였습니다.​ DMZ 비무장지대에 서식하는 희귀동물이 증강현실 기술로 구현되었습니다. ​ 관람객은 화면을 통해 동물과 직접적인 교감을 하게 됩니다. 화면의 동작 안내를 따라 하면 화면 속 동물이 반응을 합니다.

DMZ VR동물체험  ⓒ 이민숙 기자


이어 마지막 공간은 1층 끝에서 2층으로 이어지는 오감의 찰나입니다. 팡팡 놀이터와, 성벽을 정복하는 불록 체험공간입니다. 고랑포구의 물길이 형상화되었고 아이들의 오감을 자극하는 신나는 놀이터였습니다.​ 역사와 체험에 이어 놀이까지 아주 즐거운 시간을 보냅니다. 고랑포구에서 왼쪽으로 건너다보이던 호로고루를 그냥 지나칠 수 없어 향합니다. ​ 역사공원에서 소개되었던 삼국시대의 영토전쟁의 중심지입니다. ​현재는 9월 초 노란 물결을 이루는 통일바라기로 더욱 유명해졌네요. ​ 현재는 청보리밭의 푸른 물결이 일렁였습니다. 드넓은 벌판을 따라 청보리밭의 5월 신록이 펼쳐지고 있었습니다.

호로고루 전시관  ⓒ 이민숙 기자


호로고루는 6세기 중엽 이후 약 200여 년간 고구려와 신라의 국경 하천 역할을 하였습니다.​ 성벽의 전체 둘레는 약 400M 고구려, 백제, 신라에 걸쳐 축성되었네요. ​ 배를 타지 않고 임진강을 건너갈 수 있는 길목이었던 탓에 고구려와 신라, 백제, 당나라 사이에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습니다. 그러한 전쟁의 역사는 6.25까지도 이어졌네요.​ 현재는 동벽과 동벽 남쪽 치가 남아 보존됩니다. 또한 평화의 땅으로 거듭나 남과 북을 잇는 임진강이 흐르고 드넓은 벌판은 아름다운 경관 단지가 되었습니다. ​고랑포구 역사공원은 오랜 시간을 품은 임진강 고랑포구가 그대로 재현되어 볼거리 즐길 거리가 가득합니다.​ VR 가상 콘텐츠로 더욱 실감 나게 즐기게 됩니다. 백화점과 우시장이 있었던 시간 여행과 더불어 호로고루의 청보리밭도 걸어보세요.

호로고루  ⓒ 이민숙 기자


고랑포구 역사공원 이용정보
주소 :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장남로 270 관람시간 : 10:00~17:00 휴무일 : 매주 월요일 관람료 : 성인: 5,000원, 청소년: 4,000원, 어린이: 3,000원 문의 : 031-835-2002


2024 기회기자단 이민숙 기자 네임택  ⓒ 경기도 블로그


[출처 : 경기도블로그]
[작성자 : 2024 기회기자단 이민숙 기자]

원문보러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곤충과 함께, 2024경기곤충페스티벌
이전글 우리아이 구강건강 <경기도 초등학교 치과주치의사업>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