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투자유치 목표 ‘70% 달성’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4-06-12
[ANN] 민선 8기 경기도는 경제 활성화를 위해 투자유치 100조 원 이상을 목표로 세웠습니다. 전방위적 유치 전략으로 목표치의 약 70%를 달성했는데요. 2년간의 유치 성과와 비결. 이슬비 기자가 정리해봤습니다. [REP] 2022년 7월부터 2년 동안 투자유치 69조 원을 달성한 경기도. 당초 계획했던 100조 원의 약 70%를 달성한 겁니다. 이는 투자유치를 통한 경제 활성화를 강조하며 전방위적으로 나선 결과입니다. [SYNC] 김동연 / 경기도지사 (투자유치 100조+ 전략회의) 최소한 100조 이상 가능하면 더 많이 투자유치를 통해서 경제 활성화를 하고 일자리를 만들고 인프라를 갖추도록 했으면 좋겠습니다. 힘을 합쳐서 경기도와 더 나아가서 대한민국의 경제를 위해서 한 팀이 되어주시길 바랍니다. 먼저 국내외 글로벌기업에선 총 16조 원, 반도체와 배터리 등 신산업 분야에선 총 34조 4천억 원의 투자를 끌어냈습니다. 특히 경기도엔 세계 1~4위 반도체 연구소가 모두 있는 만큼 반도체 분야 투자가 활발했습니다. 비메모리 전력반도체 분야 세계 2위의 기업, 미국 온세미가 경기도를 선택했습니다. 초기 시장 선점과 대규모 반도체 인력 고용, 도내 중소기업과 부품 구매 협력 등 반도체 생태계를 탄탄히 다져나갈 전망입니다. 세계적 첨단 반도체 공정장비 제조기업인 ASM도 경기도 투자를 결정했습니다. 2025년 화성시에 새로운 연구시설과 제조시설이 대폭 들어설 예정입니다. 여기에 세계 최대 산업용 가스 생산업체인 린데의 생산공장 유치에도 성공하며 전량을 해외에 의존하던 반도체용 희귀가스를 국내에서 생산하게 됐습니다. 배터리, 미래차 등 신산업 분야 투자도 눈에 띕니다. 이차전지 신소재기업인 그리너지와는 K-배터리 설비 협약을 체결, 여주에 미래 신산업기지를 구축 중입니다. 이 외에도 독일의 자동차 부품기업 제조시설도 유치하며 친환경 차 생태계 기반을 다졌습니다.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투자유치도 빠질 수 없습니다. 지난해 호주의 친환경 기업 전문투자사로부터 투자 의향을 확인했습니다. 플라스틱 재활용 사업과 에너지 전환 분야 등에 투자하겠다는 건데요. 이는 지난해 11월 호주를 찾은 김동연 지사가 직접 경기도의 RE100 정책을 설명하며 강력한 정책 의지를 보인 결과입니다. 이 외에도 미국 에어프로덕츠, 일본 도쿄오카공업 등 미래 핵심산업 분야의 앵커 기업을 포함, 총 14개 기업에서 투자를 끌어냈습니다. 산단, 테크노밸리, 공공주택지구 조성을 통한 기업 유치 효과도 주목할만합니다. 총 18조 1천억 원에 이르는데요. 특히 부천 대장지구 내 도시첨단산업단지에는 SK그룹이 투자하며 친환경 기술 연구개발단지가 조성될 예정입니다. 이 같은 경기도의 투자유치 성과는 적극적 의지와 추진체계가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INT] 이민우 과장 / 경기도 투자통상과 먼저 도지사님의 글로벌 CEO에 대한 적극적인 유치 활동, 지방정부 최초로 미래성장산업국 등 추진 체계를 마련해서 전 부서가 총력전을 펼쳤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도는 지역별 특화 전략에 따른 선도기업을 유치해 나가는 등 앞으로도 적극적인 유치전을 펼칠 계획입니다. 투자유치 총력전으로 민선8기 3년 차에도 미래산업을 중심으로 한 경제의 역동성이 살아나길 기대해봅니다. GTV뉴스 이슬비입니다. [자막] 1. 투자유치 약 69조 원, 목표치의 70% 달성 2. [SYNC] 김동연 / 경기도지사 (투자유치 100조+ 전략회의) 3. 국내외기업 16조, 신산업 분야 34조 4천억 원 4. (반도체산업 기반 조성) 세계 2위 온세미, 경기도 선택 5. (반도체산업 기반 조성) 반도체 장비 기업 ASM, 연구·제조시설 설립 6. (기간산업 공급망 확충) 해외 의존 반도체용 가스, 국내 생산 실현 7. (신산업 기반 조성) K-배터리 설비 구축 8. (신산업 기반 조성) 미래차 부품 제조시설 유치 9. (신산업 기반 조성) 기후 위기 대응 위한 투자 유치도 활발 10. (산단·테크노밸리 조성) 기업 유치 총 18조 1천억 원 11. 투자유치 비결 “적극적 의지와 추진체계” 12. [INT] 이민우 과장 / 경기도 투자통상과 13. 영상촬영: 경기도청촬영팀 영상편집: 윤지성 CG: 김예린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누려라! 경기특권]①누구나, 언제나, 어디나 누리는 ‘돌봄’ 특권
이전글 “잔나비, 존박보러 자라섬에 같이 갈래요?” ‘경기모아뮤직페스티벌’, 6월 15일 가평 자라섬 ...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