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3.1운동 100년의 역사를 되돌아보다! 경기도 명사초청 역사콘서트 현장 - 항일 독립운동 이야기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11-27
3.1운동 100년의 역사를 되돌아보다! 경기도 명사초청 역사콘서트 현장 - 항일 독립운동 이야기  ⓒ 경기도블로그


2019년이 시작된 게 엊그제 같은데요. 어느새 한 달 남짓 남았습니다. 세월은 화살과 같이 빠르다더니 요즘 더욱 실감합니다. 특히 올해는 3.1운동 및 상해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었죠? 그래서 관련 행사도 많았는데요, 경기도가 도민을 대상으로 ‘3.1운동 100년, 깨어있는 시민의식을 위한 명사초청 역사콘서트’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명사초청 역사콘서트는 11월 19일 수원시를 시작으로 11월 25일 부천시, 11월 30일 고양시 등 권역별로 세 차례 열립니다. 대한민국 현대사 100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한 좋은 기회죠. 지난 11월 19일 수원의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에서 열린 콘서트에 다녀왔는데요. 함세웅 신부, 이완배 기자, 한홍구 교수의 수준 높은 강연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3.1운동 100년의 역사를 되돌아보다! 경기도 명사초청 역사콘서트 현장 - 항일 독립운동 이야기  ⓒ 경기도블로그


먼저 수원하면 무슨 생각이 드시나요? 수원화성, 광교신도시, 월드컵경기장, 남문시장 등 많은 것이 떠오르죠. 100년 전으로 거슬러올라가 보면 수원은 전국 3대 독립운동 항쟁지였습니다. 3.1독립운동 당시 수원시는 수원군으로, 방화수류정에서 시작되어 행궁까지 만세운동이 이어졌습니다. 그래서 수원 팔달산에는 3.1운동 기념탑이 세워져 있습니다. 이렇게 독립운동의 역사가 깊은 수원시에서 명사초청 역사콘서트가 첫 번째로 개최됐습니다. 콘서트는 19일 오후 2시부터 시작됐는데요. 강연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3층 경기홀에서 열렸습니다. 강연장 앞에는 강연자 대형 사진이 걸려 있고 그 옆에서는 등록이 한창입니다. 강연은 사전 등록 혹은 현장등록 후 입장할 수 있습니다.

3.1운동 100년의 역사를 되돌아보다! 경기도 명사초청 역사콘서트 현장 - 항일 독립운동 이야기  ⓒ 경기도블로그


오후 2시가 가까워오자 도민들이 역사초청 콘서트에 참여하기 위해 모여들었는데요. 강연에 참석한 도민들에게 스마트폰 거치대 그립팝 등의 선물도 제공되었습니다.

3.1운동 100년의 역사를 되돌아보다! 경기도 명사초청 역사콘서트 현장 - 항일 독립운동 이야기  ⓒ 경기도블로그


"3.1 운동 100년! 깨어있는 시민의식을 위한 경기도 명사초청 역사콘서트" 강연은 미디어오늘 노지민 기자의 사회로 총 3부로 진행됐는데요. 수원시 명사초청 콘서트의 강연 주제는 ‘항일 독립운동 이야기’입니다. 1부는 함세웅 신부(민족문제연구소 이사장), 2부는 이완배 기자(민중의 소리 기자), 3부는 한홍구 교수(성공회대학교)의 강연으로 1명당 약 35분씩 2시간 넘게 진행됐습니다. 강연 내용 중 핵심 내용만 요약해서 간략히 소개하겠습니다.

민족문제연구소 이사장 함세웅 신부  ⓒ 경기도블로그


1부 항일독립전쟁과 민주화투쟁 그리고 평화공존​ 먼저 함세웅 신부는 ‘항일독립전쟁과 민주화투쟁 그리고 평화공존’을 주제로 강연했습니다. 함 신부는 독립운동의 형태를 4가지로 설명했습니다. 만주 지역에서의 항일 무장투쟁, 국내에서의 투쟁, 상해 임시정부의 국제승인 투쟁과 독립항쟁, 하와이 등 해외 독립투쟁 등입니다. 이런 투쟁을 통해 독립투사들은 어떤 나라를 만들 것인가를 고민했습니다. 그 고민은 친일파 청산, 민주공화국 건설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방 후 미국, 소련의 분할 점령으로 독립 선열들의 뜻이 좌절됐습니다. 일부 정치인들의 탐욕과 친일파 야합으로 독립투사들이 꿈꿨던 나라를 만들지는 못했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주화투쟁은 독립항쟁에 투신한 선열들의 ‘민주공화국’을 건설하려는 투쟁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제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 그 과제에 대해 함세웅 신부는 독립투사들의 희생을 헛되이 하지 않기 위해서 분단체제 해체, 민주주의 실현, 분권화(합리적 선거제도 개혁) 등 세 가지를 해야한다고 했습니다.

민중의 소리 이완배 기자  ⓒ 경기도블로그


2부 일본과 무역전쟁 두 번째 강연자는 민중의 소리 이완배 기자입니다. 이 기자는 최근 벌어지고 있는 ‘일본과 무역전쟁’에 대해 강연했습니다. 일본 무역전쟁의 본질을 알기 위해 이기자는 먼저 일본의 근성(속성)을 자세하게 설명했습니다. 미국의 문화인류학자 루스 베네덱트(Ruth Fulton Benedict)의 ‘국화와 칼’을 인용해 일본이란 나라는 군국주의적이면서도 탐미적이고 용감하면서도 겁쟁이라고 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일본은 ‘각자 알맞은 위치를 지키며 사는 민족’이라고 했는데요. 이는 정치가는 정치를 하고 국민은 그에 따라 순응하며 사는 일본 특유의 민족성을 말한 겁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이 기자는 일본의 무역전쟁은 세계 그 어느 나라에서도 볼 수 없는 희한한 무역전쟁이라고 했습니다. 일본은 “우리는 대국이므로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포토리지스트, 에칭가스를 팔지 않겠다.”고 했는데요. 이는 일본 스스로를 대국이라고 생각하고 한국을 그 아래로 보는 무역이라고 말하며, 이로 인해 한국은 수입선 다변화 등으로 일본 의존도를 벗어나고 있는 반면 일본은 무역 고립주의에 빠져 오히려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내용을 전했습니다.

성공회대 한홍구 교수  ⓒ 경기도블로그


3부 암살과 밀정의 시대 마지막 강연자 성공회대 한홍구 교수는 ‘암살과 밀정의 시대’에 대해 강연했습니다. 영화 ‘암살’과 ‘밀정’은 물론 TV 드라마 ‘미스터 선샤인’을 예로 들며 과거 독립투쟁 이야기를 영화와 드라마 이야기와 섞어가며 흥미진진하게 강연했습니다. “이름도, 얼굴도 없이 살았지만 다행히 조선이 훗날까지 살아남아 유구히 흐른다면 역사에 그 이름 한 줄이면 된다.” 가장 제 가슴을 파고든 것은 독립을 위해 희생한 의병들입니다. 여러분은 혹시 의병들의 이름을 얼마나 기억하시나요? 의병들은 ‘아무개’로 불렸다고 합니다.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고 하죠. 이름 석 자 남기지 못한 채 독립을 위해 싸우다 죽은 의병들의 이름을 우리가 기억해줘야겠지요. “전쟁을 해보면 말입니다. 빼앗기면 되찾을 수 있으나 내어주면 되돌릴 수 없습니다. 어떤 여인도, 어떤 포수도 지키고자 아등바등한 조선이니 빼앗길지언정 내어주진 마십시오.” TV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 마지막 회에 나오는 대사입니다. 독립운동을 한 것도 한 번 빼앗기면 다시는 되찾을 수 없으니 목숨을 걸고 내어주지 않기 위해 싸운 겁니다. 영화 ‘밀정’과 ‘암살’에 나온 것처럼 수많은 독립투사들이 그렇게 싸웠습니다. 지금 우리가 누리는 이 땅의 자유와 평화는 그분들의 희생 덕분 아니겠습니까!

3.1운동 100년의 역사를 되돌아보다! 경기도 명사초청 역사콘서트 현장 - 항일 독립운동 이야기  ⓒ 경기도블로그


2시간 넘게 진행된 역사 강의지만 저뿐만 아니라 모든 청중들이 지루한 줄 모르고 강의를 들었습니다. 이렇게 퀄리티 높은 강의는 들어본 바 없습니다. 독립투쟁부터 한국 근현대사에 이르기까지 숨겨진 이야기를 흥미진진하게 들을 수 있었습니다.

3.1운동 100년의 역사를 되돌아보다! 경기도 명사초청 역사콘서트 현장 - 항일 독립운동 이야기  ⓒ 경기도블로그


경기도 역사콘서트 강연은 도민 누구나 무료로 참가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민주시민교육지원센터(031-547-2654) 및 운영기관(02-2644-9944)으로 문의하거나 홈페이지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다음 강연은 부천, 고양에서 이어집니다. 지난 100년의 한국 근현대사를 돌아보고 깨어있는 시민으로서 미래를 내다보는 통찰과 지혜를 얻을 수 있는 경기도 명사초청 역사콘서트! 다시 오기 힘든 기회입니다. 수준 높은 역사 특강으로 3.1운동과 상해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다시 한번 돌아보시는 건 어떨까요? ※ 3.1운동 100주년 깨어있는 시민의식을 위하 경기도 명사초청 역사콘서트는 무료 온라인 평생학습사이트 지식캠퍼스에서 강연내용을 다시 보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경기소셜락커가 작성한 글로, 경기도의 공식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2019 경기소셜락커 이재형 락커  ⓒ 경기도블로그


[출처:경기도 블로그]
[작성자:2019 경기소셜락커 이재형 락커]

원문보러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한돈은 국민의 힘! 국민은 한돈의 힘![태평꿀성대 시즌2 - 37화] 박&규의 ASMR
이전글 청년에게 봄을 선물하다! 성남시 청년지원센터 `청년이 봄`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