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전통 한옥의 과거와 현재를 만나다. 수원 한옥기술전시관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11-25
전통 한옥의 과거와 현재를 만나다. 수원 한옥기술전시관  ⓒ 경기도블로그


따스한 부뚜막의 온기가 구들장으로 옮겨와 밤새 잠든 우리를 따뜻하게 보듬어주던 느낌. 겨울이 다가오니 온돌의 그 따스함이 그리워지는 요즘입니다. 운치 있는 외형적 아름다움은 물론이고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스한 과학적인 한옥의 우수성은 이미 세계적으로 잘 알려져 있죠. 그런 한옥을 구석구석 좀 더 구체적으로 알 수 있는 공간이 있어 다녀왔습니다. 수원에 위치한 한옥기술전시관을 소개합니다.

전통 한옥의 과거와 현재를 만나다. 수원 한옥기술전시관  ⓒ 경기도블로그


잘 지어진 한옥의 외관에 버스를 타고 오가며 계속해서 눈이 갔던 곳인데요. 내부에 들어서니 마음을 편하게 해주는 나무향기와 함께 한옥의 구조와 명칭에 대한 자세한 설명들이 빼곡하게 늘어서 있었습니다.

전통 한옥의 과거와 현재를 만나다. 수원 한옥기술전시관  ⓒ 경기도블로그


한국인임에도 불구하고 서까래, 추녀 등의 명칭을 제외한 다른 부분 명칭이 참 낯설게 다가왔습니다. 한옥을 뼈대부터 이렇게 자세히 볼 수 있는 기회가 흔치는 않기 때문일까요?

전통 한옥의 과거와 현재를 만나다. 수원 한옥기술전시관  ⓒ 경기도블로그


한옥은 시대를 거치면서 다양한 모습으로 변해왔습니다. 법률적으로 한옥은 ‘주요 구조가 기둥, 보 및 한식지붕틀로 된 목조구조로서 우리나라 전통 양식이 반영된 건축물’을 뜻합니다. 한옥이란 용어 자체는 1907년부터 문헌에 등장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한옥을 짓는 데는 주로 소나무가 사용되는 것 같습니다. 여러 종류의 소나무 목재들이 그 특징을 달고 전시되어 있습니다. 외국인들도 감탄해마지않는 우리의 온돌문화, 아궁이에 불을 때면 그 열기가 어떻게 한 밤 동안 유지되는지 원리를 알기 쉽게 만들어 놓은 모형도 볼 수 있었습니다.

전통 한옥의 과거와 현재를 만나다. 수원 한옥기술전시관  ⓒ 경기도블로그


수원시는 시 자체적으로 한옥건축지원사업을 펼치고 있습니다. 수원화성지구단위계획 내 조화롭고 창의적인 한옥 건축을 지원하여 도시경관을 살리고 우리의 정체성도 확립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한옥건축 지원 문의 : 031-228-4408 (수원시화성사업소 한옥지원팀)

전통 한옥의 과거와 현재를 만나다. 수원 한옥기술전시관  ⓒ 경기도블로그


한옥기술전시관 옆에는 수원전통문화관과 한옥카페, 베이커리 등이 같은 느낌으로 줄지어 늘어서 있는데요. 같이 관람하기 좋은 코스입니다.

전통 한옥의 과거와 현재를 만나다. 수원 한옥기술전시관  ⓒ 경기도블로그


수원전통문화관 기획전시실에서는 <사랑방, 선비를 만나다> 전시가 12월 15일까지 진행됩니다. 선비의 공간 사랑방을 그대로 재현한 공간인데요. 사랑방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선비들이 사용하던 의복 등을 볼 수 있도록 전시해 놓았습니다. 한옥전시관과 함께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해볼 수 있죠.

전통 한옥의 과거와 현재를 만나다. 수원 한옥기술전시관  ⓒ 경기도블로그


예부터 우리 어머니들은 부엌에도 신이 깃들어 있다고 믿었습니다. 부엌을 다스리는 조왕신은 시어머니, 며느리가 모시는 신으로 가정에서 모시는 가신 중 상위에 위치하는 신이라고 합니다. 그러한 말을 증명하듯이 부엌 등 주변 환경도 함께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통 한옥의 과거와 현재를 만나다. 수원 한옥기술전시관  ⓒ 경기도블로그


한옥은 4계절 모두 저마다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주지만 특히 쌀쌀한 가을에는 더욱 특별한 운치를 더하는 것 같습니다. 고즈넉한 한옥을 천천히 걸으며 산책하면 힐링이 따로 없죠. 수원에 들르시면 한옥기술전시관과 수원전통문화관 꼭 들르시길 추천해 드립니다. 모든 관람은 무료입니다. *한옥기술전시관 위치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정조로 885번길 1 운영시간: 10:00~17:00 (월요일, 공휴일 휴관) *위 내용은 경기소셜락커가 작성한 글로, 경기도의 공식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2019 경기소셜락커 이선영 락커  ⓒ 경기도블로그


[출처:경기도 블로그]
[작성자:2019 경기소셜락커 이선영 락커]

원문보러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경기도가 청년들의 구직을 응원합니다! 2019 경기도 청년채용 박람회
이전글 지구 살리는 업사이클, 함께 실천해요!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