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3.1운동이 아닌 3.1혁명”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11-29
지난 25일 부천시청 어울마당에서 ‘3.1운동 100년, 깨어있는 시민의식을 위한 경기도 명사초청 역사콘서트’가 열렸다. 경기도가 주최하고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이 주관하는 ‘경기도 명사초청 역사콘서트’는 경기도 3대 독립운동 항쟁지인 수원시와 부천시, 고양시에서 8가지 주제로 3차례에 걸쳐 진행된다.
김삼웅 대표가 ‘역사의 정맥을 찾는다’라는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이날 역사콘서트에는 230여 명의 경기도민이 참석했다.  ⓒ 강규연 기자


이날 김삼웅 신흥무관학교 100주년 기념사업회 대표는 “3.1운동은 잘못 쓰인 표현”이라며 “3.1운동이 아닌 3.1혁명이라고 불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삼웅 대표는 “3.1운동은 남녀노소, 계층을 초월해 전 국민이 참여한 신분 해방의 성격이 있으며 중국, 인도, 중동 등 세계 여러 나라에 전파돼 피압박민족해방운동의 횃불이 되고 있다”고 밝히며 “프랑스대혁명, 중국 신해혁명, 러시아 볼셰비키 혁명 등 다른 나라의 큰 변화에 대해서는 혁명(revolution)이라는 위대한 용어를 사용하면서 막상 우리 선대들이 했던 거사는 운동(movement)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고 말했다. 이에 김삼웅 대표는 “이제 우리는 3.1혁명이라는 정당한 정명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진혁 교수는 “광복 이튿날인 8월 16일, 일본 무장 병사들은 ‘조선 독립 만세’를 외친 청년을 철창으로 찔러 중상을 입혔다. 9월 8일 미군 환영식에서는 미군에게 손을 흔드는 조선인이 일본인 경찰에게 살해돼는 일이 있었다”며 해방이 됐지만 독립되지 못한 상황에 대해 말했다.  ⓒ 강규연 기자


김진혁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교수는 이날 ‘반민특위 후손들의 잊혀진 삶에 대해’란 주제로 이야기를 이어나갔다. ‘반민특위’란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의 줄임말로 일제강점기 동안 자행된 친일파의 반민족행위를 처벌하기 위해 제헌국회에 설치되었던 특별기구이다. 반민특위는 ‘국회 프락치 사건’과 ‘6.6 경찰의 반민특위 습격 사건’을 겪으며 와해됐다. 김진혁 교수는 “EBS에서 PD로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며 역사의 문제들을 다루다 보니 어떤 공간에서 빈 곳이 느껴졌다”며 “1945년부터 한국전쟁이 일어나기 전 흔히 해방공간이라고 부르는 그 시간대의 정보가 너무나 부족했다”고 반민특위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를 설명했다. 김진혁 교수는 “모든 문제라고는 할 수 없지만, 상당 부분 우리가 겪고 있는 많은 문제의 기원이 반민특위 해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그는 ”반민특위 해체는 친일청산 실패라는 명백하게 드러나는 사실 외에 한국의 근현대사가 친일, 반공, 독재라는 형태로 나아가는 것의 시발점이자 교본의 역할을 하게 된다”고 말했다.

전우용 교수는 프랑스 혁명 100주년을 기념해 세워진 에펠탑, 미국 독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자유의 여신상, 브라질 독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브라질 예수상 등을 예로 들어 정의, 인도, 동포애를 상징하는 3.1운동 100주년 기념물을 우리나라에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 강규연 기자


전우용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대한민국 국민은 정의, 인도, 동포애라는 가치를 중심으로 단결해야 한다’고 하는 것은 대한민국 헌정사를 지켜온 기본 가치”라고 말했다. “정의, 인도, 동포애라는 표현은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 3.1운동 당시의 기미독립선언서에 이 개념이 명료하게 들어있었다”며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고 하는 정신에서 기미독립선언서에 들어갔던 정의와 인도의 가치를 우리 헌법의 핵심가치로 삼게 됐다”고 밝혔다. 경기도 명사초청 역사콘서트는 오는 11월 30일 고양 아람누리 아람극장에서 ‘한반도의 아픔, 분단과 냉전’을 주제로 주진오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관장과 최태성 한국사 강사의 강연으로 이어진다. 모든 강연은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에서 운영하는 ‘경기도 무료 온라인 평생학습 사이트 지식(www.gseek.kr)’에서 다시 볼 수 있다.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100초 주간브리핑 – 11월 마지막 주
이전글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친환경적인 공원. 광주 경안천 습지생태공원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