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경기꿈의학교, 책 기부 전달식으로 배움을 나눠요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12-05
“우리들이 알게 된 세계유산에 대한 배움을 또래 친구들에게도 알려주고 그 소중함을 함께 나누고 싶어요” 지난 11월 27일 수원시 율천동행정복지센터 밤밭누리마루홀에서 책기부 전달식이 있었다. 책을 기부한 곳은 경기꿈의학교 중 하나인 ‘알아보자 우리의 세계유산’이라는 학교다. 책 기부 수혜처는 율천지역의 한 지역아동센터였다. 이날 행사에는 꿈의학교 수료생 일부와 교사, 학부모들이 참여하였고, 율천동행정복지센터에서 행사를 진행했다. 기부한 책은 세계유산과 관련된 서적 30여 권이다. 평일 저녁 추운날 진행된 행사에 학생들은 각자 학교를 마치고 먼 거리에서도 기꺼이 참석하여 행사를 더욱 의미 있게 만들었다.
꿈기자가 함께 참여한 책 기부 전달식 모습  ⓒ 김인혜 기자


‘알아보자 우리의 세계유산’ 꿈의 학교는 경기도교육청이 주최하는 꿈의학교 중 하나이다. 국내에 지정된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돌아보며, 우리 문화재의 우수성과 중요성을 직접 찾아가 보고 느끼고 체험하며, 문화재와 관련된 학문과 직업 등 진로에 대한 학생들의 꿈을 실현해 가는 꿈의학교이다. 초등학교 5~6학년생 위주로 모집되어 약 8개월간 전국의 세계유산을 직접 돌아보며 공부하였다.

꿈기자가 참여한 꿈의학교 체험 모습   ⓒ 김인혜 기자


이번 꿈의학교 학생들이 그동안 답사한 세계유산을 조별 작업을 통해 그림으로 그리고, 그 그림을 수료식날 자선경매 행사를 통해 판매, 발생된 수익금 전액 을기부했다. 이는 애초에 꿈의학교 개교식에서 조별 공동그림 작업이 있다는 사실을 안 학생들이 수료식 때 자선경매를 통한 기부행사를 하면 좋겠다는 의견들을 냈었고, 학생들의 의견을 모아 실행하게 된 것이다. 이날 행사의 수익금으로 30만 원 정도의 금액이 모아졌다. 이날 그림 경매에 참여한 한 학부모는 “우리 아이들이 직접 그린 그림을 구입하게 된 것만으로도 기분이 좋은데 수익금을 전액 기부한다니 더욱 의미 있는 그림이 되겠다”고 함박웃음을 지으며 말했다.

꿈의학교 수료식과 그림 자선경매 행사가 열렸다.   ⓒ 김인혜 기자


경기꿈의학교는 경기도 내 학교 안팎의 학생들이 자유로운 상상력을 바탕으로 무한히 꿈꾸고 질문하고 스스로 기획·도전하면서 삶의 역량을 기르고 꿈을 실현해 나가도록 학교와 마을교육공동체 주체들이 지원하고 촉진하는 학교 밖 교육활동이다. 경기꿈의학교의 유형은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학교, 즉 학생들이 스스로 꿈의학교를 만들어 운영하는 학교 밖 교육활동이다. 학생이 찾아가는 꿈의학교는 경기도 내 다양한 마을교육공동체 주체들이 학생의 꿈 실현을 위해 운영하는 학교 밖 교육활동이다. 그리고 마중물 꿈의학교는 경기도 내 다양한 마을교육공동체 주체들이 학생의 꿈 실현을 위해 운영하는 동아리활동을 말한다. ‘스스로 꿈꾸고 도전하는 학생’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경기꿈의학교는 스스로 꿈꾸고 도전하는 학생을 육성한다. 학생들이 자유롭게 상상하고 거침없이 꿈꾸도록 촉진한다. 핵심가치는 먼저 ‘스스로’ 자기 삶을 살아가는 독립적인 인간이 되는 동시에 ‘더불어’ 살아가는 민주적인 시민이 되는 것이다. 운영원리는 ▲학생 스스로 기획하고 도전하기 ▲ 무학년제로 운영 ▲ 온 마을이 함께 운영 ▲문턱 없는 마을학교 만들기 ▲더불어 배우고 나누며 민주주의 실천하기이다. 책 기부 전달식에 참여한 꿈의학교 교사는 “경기도교육청으로부터 지원받아 진행하는 꿈의 학교의 취지가 학생들이 스스로 기획, 도전하면서 삶의 역량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는 미래교육이다. 학생들이 받은 공교육의 혜택을 다른 학생들에게 기부를 통해 돌려줌으로써 더불어 함께 살아야 한다는 공동체 의식을 기부행사를 통해 알기 바란다”고 소감을 밝혔다. 세계유산을 돌아보며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정체성를 알아가는 꿈의학교 학생들이 기부 문화를 직접 기획하고 참여하는 과정을 통해서 나와 함께 더불어 살고 있는 많은 사람들을 존중하고 이해하며 서로 도와주며 살아가야 한다는 마음을 가지길 바란다. <경기꿈의학교 참여방법> 마을교육공동체 홈페이지(http://village.goe.go.kr)에서 신청 (별도의 오프라인 신청도 가능) 문의처 :경기도교육청 마을교육공동체기획단 031-820-0902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카드뉴스] 농부·요리사와 함께하는 특별한 식사
이전글 기원전 2,333년으로 여행을 떠나다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