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계절이 선사하는 오롯한 즐거움을 느끼다! 광주 퇴촌식물원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12-05
계절이 선사하는 오롯한 즐거움을 느끼다! 광주 퇴촌식물원  ⓒ 경기도블로그




계절이 선사하는 오롯한 즐거움을 느끼다! 광주 퇴촌식물원  ⓒ 경기도블로그


주변 곳곳에 가을색이 내려앉은 요즘은 계절의 변화를 앞서 알려주는 식물을 찾아보기 좋은 때입니다. 경기도 광주에는 소풍처럼 다녀올 수 있는 비밀의 정원, 퇴촌식물원이 자리하고 있는데요. 약 1,000여 종의 야생화와 풍란을 재배, 판매하는 식물원으로 계절 색감을 만날 수 있는 곳입니다. 지금 계절에 어울리는 퇴촌식물원을 소개해드립니다.

계절이 선사하는 오롯한 즐거움을 느끼다! 광주 퇴촌식물원  ⓒ 경기도블로그


퇴촌식물원은 약 3천 평 규모로 전시실과 교육 실습실, 아토피터널, 세심천, 산책로 등으로 아기자기하게 조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세심천’은 항상 14도의 맑은 샘물이 솟아 흐르는 식물원의 특색공간으로 손꼽힙니다. 또, 동물농장이라는 단어가 연상될 정도로 오골계 등 보기 드문 이색적인 동물들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관닭, 오골계, 금수남 같은 보기 드문 닭들은 정말 신기해 보였습니다.

계절이 선사하는 오롯한 즐거움을 느끼다! 광주 퇴촌식물원  ⓒ 경기도블로그


아토피터널은 길이가 길지않지만, 아이들의 건강한 생활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 조성된 곳이라\. 어성초, 향나무, 쑥, 수세미, 으름덩굴 같은 아토피에 좋은 식물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계절이 선사하는 오롯한 즐거움을 느끼다! 광주 퇴촌식물원  ⓒ 경기도블로그


특히 퇴촌식물원은 2010년 경기 광주시 농업기술센터 지정 ‘에듀팜’으로 선정되어 학교 교육과 연계된 체험 활동을 할 수 있는 교육의 장으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농촌 에듀팜은 경기도 농업기술원이 시민, 학생들이 농촌 체험뿐 아니라 농업과 생태환경을 학습할 수 있는 공간으로 지정한 곳을 말합니다. 퇴촌식물원은 농촌생태학습에 과학을 접목하여 해마다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계절이 선사하는 오롯한 즐거움을 느끼다! 광주 퇴촌식물원  ⓒ 경기도블로그


퇴촌식물원은 `재미있는 과학과 만난 식물원`을 주제로 에듀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조직배양, 워터젤리 화분 만들기, DNA추출, 야생화탐험, 아토피터널탐험 등의 체험프로그램이 진행되니 함께 참여해보셔도 좋습니다.

계절이 선사하는 오롯한 즐거움을 느끼다! 광주 퇴촌식물원  ⓒ 경기도블로그


식물원의 ‘야생화와 풍란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항상 열려 있는 공간’이라는 문구가 인상적이었는데요. 열린공간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입장료가 없어 부담없이 다녀올 수 있는 아담한 식물원입니다. 편안하게 천천히 둘러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계절이 선사하는 오롯한 즐거움을 느끼다! 광주 퇴촌식물원  ⓒ 경기도블로그


식물원이 위치한 경기도 광주 퇴촌은 도농복합도시로도 불리는 곳인데요. 지역특산물인 토마토를 축제화한 곳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지역문화가 식물원에 의미를 더해주는 것 같습니다.

계절이 선사하는 오롯한 즐거움을 느끼다! 광주 퇴촌식물원  ⓒ 경기도블로그


자연은 오감을 자극하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훌륭한 교과서라고 하는데요. 비단 아이뿐만이 아니라 계절이 선사하는 것들을 오롯이 즐기는 것이야말로 자연이 선사하는 가장 큰 선물이 아닐까합니다. 가을이 다 가기 전에 퇴촌식물원에서 자연을 맘껏 즐겨보세요. ​ *퇴촌식물원 위치 : 경기 광주시 퇴촌면 정영로 315 운영시간 : 09:00~18:30 문의 : 031-766-6517 *위 내용은 경기소셜락커가 작성한 글로, 경기도의 공식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2019 경기소셜락커 엄윤주 락커  ⓒ 경기도블로그


[출처:경기도 블로그]
[작성자:2019 경기소셜락커 엄윤주 락커]

원문보러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카드뉴스] 나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키고 싶은 경기도 청년들!
이전글 경기도의 크리에이티브를 만나다! 제1회 경기도 광고홍보제 컨퍼런스 현장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