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4차 산업혁명의 가능성을 열다! `NRP 4기 데모데이` 2019 VRAR 지원사업 성과보고회 현장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12-10
4차 산업혁명의 가능성을 열다! `NRP 4기 데모데이` 2019 VRAR 지원사업 성과보고회 현장  ⓒ 경기도블로그


지난 11월 29일 수원 광교 비즈니스센터의 경기문화창조허브센터에서는 ‘NRP 4시 데모데이’가 개최되었는데요. NRP라는 용어가 생소하게 느껴지시죠? ‘NRP(New Reality Partners)’ 프로그램이란 VR/AR 분야기업의 단계별(아이디어기획, 상용화, 킬러콘텐츠) 육성을 위해 도가 지난 2017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기업 육성지원 프로그램입니다.

4차 산업혁명의 가능성을 열다! `NRP 4기 데모데이` 2019 VRAR 지원사업 성과보고회 현장  ⓒ 경기도블로그


데모데이의 데모란 각종 물품을 시범으로 전시하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이는 단순히 백화점에서 샘플을 배치해두는 행위나 형사의 증거품 제출 같은 물질적인 시연을 포함해 스포츠나 컴퓨터프로그램 같은 기술적인 시연도 해당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눈으로만 보는 순수한 의미의 전시와는 다르게 데모는 관찰자가 직접 체험해보고 소유도 할 수 있다는 점이 다릅니다. 이번 `NRP 4기 데모데이`에서는 전시된 모든 제품을 시연해 볼 수 있다고 해서 내심 기대가 되었습니다. 이번 `NRP 4기 데모데이`는 경기도가 주최하고 경기도콘텐츠진흥원이 주관한 행사로 경기도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기업 육성지원 프로그램인 `NRP(New Reality Partners)` 4기 기업 성과발표회입니다. 참가기업은 지난 5월 진행된 오디션을 통해 NRP 4기로 선발된 후 성장 단계에 맞춰 개발자금과 공간, 장비 지원, 컨설팅, 국내외 전시 참가 등 다양한 지원을 받으며 개별 프로젝트를 진행해 온 27개 팀입니다. 어떤 기업들이 참여했을까 궁금해지는데요. 함께 `NRP 4기 데모데이`현장으로 가보실까요?

4차 산업혁명의 가능성을 열다! `NRP 4기 데모데이` 2019 VRAR 지원사업 성과보고회 현장  ⓒ 경기도블로그


4차 산업이란 말을 들어본 지도 꽤 되었는데 아직도 가상현실인 VR과 증강현실인 AR이 확 와닿지는 않는 세대입니다. 하지만 시대가 빠르게 변하고 있고 기술이 빠르게 발달하고 있으니 VR과 AR은 구별할 수 있어야겠지요. 행사장에 들어서자마자 열심히 참가기업의 발표를 경청했습니다. 이날 행사는 아이디어 단계(12개 팀), 상용화 단계(10개 팀), 킬러 콘텐츠 단계(5개 팀) 등 3개 단계별로 진행 중인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시연하는 순서로 오전 11시부터 진행되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의 가능성을 열다! `NRP 4기 데모데이` 2019 VRAR 지원사업 성과보고회 현장  ⓒ 경기도블로그


투자사를 비롯한 플랫폼 유통사, 바이어, 전무기관 등 국내외 업계관계자들이 대거 참가해 27개 참가기업들의 프로젝트 진행성을 평가하고 후속지원 및 투자가능성을 평가했습니다. 또, 27개 팀 성과발표 후에는 국내외 선도기업들이 최신 디바이스와 플랫폼, 신산업 등 VR AR업계의 5가지 트렌드에 대해 소개하는 특별세션으로 다채롭게 진행되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의 가능성을 열다! `NRP 4기 데모데이` 2019 VRAR 지원사업 성과보고회 현장  ⓒ 경기도블로그


피칭 발표와는 별도로 전시 시연 장소도 구성되어 있었는데요. AR을 활용해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을 런칭한 위드플러스, 소방관 화재진압 관련 PTSD 증상 개선을 위해 VR노출 치료 콘텐츠를 개발한 넥스트어스, 위치 고정 기술을 활용해 AR 콘텐츠를 개발한 어라운드이펙트, 3D스캐닝 공유 공간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집쇼코리아, AR·VR·AI융복합 멀티 교육 콘텐츠를 선보인 리얼위드, 360도 4D VR웹툰 무비를 제작한 코믹스브이 등을 만나 볼 수 있었습니다. 이번 전시 시연을 통해 NRP Club Bath Teams를 비롯해 업계관계자들이나 평상시 VRAR에 궁금했던 시민들은 직접 시연에 참여해봄으로써 정보공유와 교류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의 가능성을 열다! `NRP 4기 데모데이` 2019 VRAR 지원사업 성과보고회 현장  ⓒ 경기도블로그


송경희 경기도콘텐츠진흥원장과 이화순 경기도 행정2부지사도 직접 전시 시연장에 들러 참여기업을 격려하고 다양한 체험을 하며 색다른 세계를 경험하고 즐거워했는데요. 이화순 경기도 행정2부지사는 눈 내리는 가상현실을 VR로 체험하며 정말 힐링이 되고 좋다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현장에서 이화순 경기도 행정2부지사는 축사로 “경기도에서는 아이디어와 가능성을 알아보고 우수 기업을 발굴해 기업들이 성장 가능하도록 사람, 기업 등 종합적인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조금 더 종합적인 사고를 통해 다양한 분야로 발전하리라 기대하고 함께 성장하길 기대합니다.”라는 말을 전하기도 했습니다. 송경희 경기콘텐츠진흥원장은 개회사에서 “VRAR 산업은 트렌드 변화가 빨라 지원사업 중요성이 큰 분야 중 하나로 경기콘텐츠진흥원은 지속적인 사업을 통해 꾸준한 지원을 이어가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참가 기업대표들과 단체촬영을 가졌습니다.

4차 산업혁명의 가능성을 열다! `NRP 4기 데모데이` 2019 VRAR 지원사업 성과보고회 현장  ⓒ 경기도블로그


이번 행사에선 12개사가 아이디어를 시제품 콘텐츠로 구체화하는 등 성과를 발표했고, 상용화 부문에선 10개사가 NRP 프로그램을 통해 콘텐츠 공급과 서비스에 나설 예정이며 킬러콘텐츠 부문 5개사는 국내외 서비스 론칭과 후속 투자 유치 등 성과를 공유했습니다. 그리고 NRP 4기와 콘텐츠 협력이 가능한 국내외 디바이스와 플랫폼, 서비스 기업 6개사 특별 세션도 열렸는데 장시간 진행에도 불구하고 많은 인원이 자리를 지켜 NRP 4기 데모데이에 대한 열기가 높음을 느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의 가능성을 열다! `NRP 4기 데모데이` 2019 VRAR 지원사업 성과보고회 현장  ⓒ 경기도블로그


이어서 국내외 5개 선도기업이 참가해 최신 디바이스와 플랫폼, 신산업 등 VRAR 업계의 5가지 트렌드에 대해 소개하는 특별세션이 진행되었는데요. 글로벌 VRAR 산업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VR 글래스’를 비롯한 신 디바이스, 5G 네트워크 기반 기술, 의료 및 자동차 등 신성장 분야로 각광받고 있는 VRAR 융합 비즈니스 모델 등을 소개했습니다. 상용화 부문 10개사의 피칭발표 이후 마지막으로 킬러콘텐츠 부문 5개사의 피칭발표가 있었는데요. 킬러콘텐츠를 선보인 다이브코어, 리얼리티매직, 투락, 히즈쇼, 브래니 등도 만나 볼 수있어 우리나라의 VRAR부문 산업트렌드와 관련된 콘텐츠/기술/디바이스 및 비즈니스 모델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NRP얼라이언스 총평으로 해외파트너인 중국 대표 VR개발자 커뮤니티 VR코어의 텐션리우의 총평이 이어졌는데요. “경기콘텐츠진흥원이 VR산업을 지원해주어 감사하고 연초에 방문해 수많은 잠재력 있는 기업을 만났는데 이들 기업이 실용화 단계에 있는 것이 기쁘고 경기콘텐츠진흥원이 계속해서 지원을 보여줘서 한국의 AR·VR산업의 미래가 밝을 것 같다”고 전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의 가능성을 열다! `NRP 4기 데모데이` 2019 VRAR 지원사업 성과보고회 현장  ⓒ 경기도블로그


오전 11시부터 오후 6시가 넘도록 장시간 진행되었는데요. `경기도가 참 다양한 형태로 도내 기업인들을 돕고 있구나`를 다시 한번 느낄 수 있는 현장을 함께 한 것 같아 흐뭇했습니다. `NRP 4기 데모데이`는 가상 및 증강현실에 관심이 있는 도민이라면 누구나 온오프믹스를 통해 사전 신청하면 무료로 참가할 수 있었는데요. 조금 더 홍보가 되어 다음번 `NRP 데모데이`에는 더 많은 일반 관람객이 직접 시연에 참가해 우수하고 기발한 VR과 AR의 세계를 경험해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위 내용은 경기소셜락커가 작성한 글로, 경기도의 공식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2019 경기소셜락커 이운정 락커  ⓒ 경기도블로그


[출처:경기도 블로그]
[작성자:2019 경기소셜락커 이운정 락커]

원문보러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우리 숯의 재발견…친환경 인테리어 한류열풍 일으킬까
이전글 道, ‘저출생 극복 위한 해법찾기 대토론회’ 개최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