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경기도, 국적 없는 공공언어 ‘순화’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0-01-07
[앵커멘트] 정부나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공공언어를 들여다 보면, 개선이 필요한 국적 없는 용어들이 있는데요. 경기도가 공공언어 114개를 선정해 순화에 들어갑니다. 구영슬 기자가 정리해드립니다. [리포트] 정부나 공공기관에서 사회 구성원들이 사용해 공공성을 갖는 언어를 이르는 ‘공공언어’. 이러한 공공언어 중에서도, 일본어 투를 띠거나, 지나치게 어려운 한자어로 이뤄져 있는 등 개선이 필요한 용어들이 있습니다. 경기도는 이처럼 국적 없는 공공언어 114개를 선정해 순화에 나섭니다. 개선대상인 공공언어와 순화된 대체어를 정리해드립니다. (CG) `금회`는 `이번`으로, `착수`는 `시작`으로, `명기`는 `기록`으로 고쳐 쓰는 게 맞습니다. `별첨`은 `붙임`, `익일`은 `다음날`, 그리고 `미팅`은 `모임`이나 `회의`가 옳은 표현입니다. `바이어`는 `구매자`나 `수입상`으로, `선진지 견학`은 `우수사례지 견학`으로, `미혼모`는 `비혼모`, `미망인`은 `고 아무개 씨의 부인`으로 바꿔 쓰는 게 좋습니다. 이와 같이 선정된 순화어는 2020년부터 경기도와 공공기관, 시∙군에서 사용하도록 적극 권고할 계획입니다. 경기GTV 구영슬입니다. 영상촬영 : 서경원 , 영상편집 : 강윤식 , CG : 우윤정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도, ‘2020 비영리민단간단체 공익활동 지원사업’ 참가단체 모집
이전글 경기도 ‘사전단속제’ 실시…페이퍼컴퍼니 차단 효과 ‘톡톡’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