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행정연혁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 이미지
  • 전자점자 다운로드 이미지
  • 삼한시대
    • 마한(馬韓)에 속하였다.
  • 고구려시대
    • 주부토군(主夫吐郡)으로 불렸다.
  • 통일신라시대
    • 장제군(長堤郡)으로 개칭하여 그 관할에 4개 현(縣)을 두었다.
  • 고려시대
    • 고려 성종 때 수주(樹州)라 불렸다.
    • 고려 문종 때에 안남(安南) 또는 부평(富坪)이라 불렸다.
  • 조선시대
    • 1413년(조선 태종 13년) 도호부(都護府)가 되었다.
    • 1914년 군부(郡府) 폐합령에 따라 넓은 지역이 인천부(仁川府)에 속하게 되고, 나머지 지역과 주변 일부 지역을 합쳐서 부천군으로 발족하였다.
  • 현대
    • 인천과 서울의 팽창으로 주읍(主邑)인 부평이 인천에, 9개 리가 서울에 편입되어 소사(素砂) 1읍과 9면을 관할에 두었다.
    • 1973년 7월 1일 부천군이 폐지되면서 9면이 옹진군·시흥군·김포군에 이관되고 소사읍이 부천시로 승격되었다.
    • 1975년 김포군의 오정면이 부천시에 편입되었다. 1988년 1월 1일 구제가 실시되어 남구와 중구를 설치하였다.
      1993년 중동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인구증가로 중구를 원미구(遠美區)와 오정구(梧丁區)로 나누고, 역곡동·중동·상동을 제외한 남구는 소사구(素砂區)로 명칭이 바뀌었다.
    • 1995년 인천광역시 부평구 서운동 일부가 오정구 삼정동에 편입되었고, 원미구 중1동이 중1동과 중3동으로 나뉘어 졌다.
    • 2012년 1월 1일 인구 2만 미만의 소규모 행정동을 공동생활권인 이웃동과 통합하여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자 소사본1동과 소사본2동 주민센터가 소사본동으로 통합되었다.
    • 2016년 7월 4일 행정체제 3개 구청(원미, 소사, 오정)이 폐지되고 동의 기능을 강화한 권역별 행정복지센터가 출범하였다. 기존의 동은 유지되면서 권역별로 중심이 되는 원미1동, 심곡2동 등 10개의 동은 행정복지센터로 전환되었다.
    • 2019년 7월1일 ‘현장·복지’ 행정서비스 및 공공성 강화를 위한 행정체제 개편을 통해 36개의 동 주민센터가 10개의 광역동과 26개의 현장민원실 및 주민지원센터로 구성·운영되는 부천시 '광역동'이 시행되었다.

최종수정일 : 2022-10-14

  • 정보제공부서 : 문화예술과 종무팀
  • 전화번호 : 032-625-313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