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올해 경기도의 전기차·수소차 보급 지원 정책은?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04-02
전기차·수소차 등 무공해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최근 야기된 포스트 코로나 친환경 산업구조 개편을 비롯해 기후위기 대응, 녹색일자리 성장동력 확보 등이 요인으로 보인다. 경기도가 올해 전기차·수소차 등 무공해 자동차 2만여 대 보급에 나섰다. ■ 경기도, 무공해차 구매보조금 총 4,414억 원 지원…지난해 대비 2배 증액
경기도는 올해 전기차·수소차 등 무공해차 구매보조금으로 총 4,414억 원을 지원한다. 지난해 보급 물량 1만1,781대에서 2배 가까이 늘어난 2만2,785대에 대한 지원이 가능한 금액이다. 전기차 · 수소차 보조금지원 이미지 자료.   ⓒ 경기도 홈페이지


경기도는 올해 전기차·수소차 등 무공해차 구매보조금으로 총 4,414억 원을 지원한다. 지난해 보급 물량 1만1,781대에서 2배 가까이 늘어난 2만2,785대에 대한 지원이 가능한 금액이다. 우선, 전기차의 경우 승용차 1만1,381대, 버스 500대에 대해 주행거리 등 차량 성능에 따라 승용차는 대당 최대 1,400만 원, 버스는 대당 최대 1억2,800만 원까지 보조금을 지원한다. 지난해에는 승용차 5,192대, 버스 470대에 대해 보조금을 지원했었다. 특히 전기 화물차는 지난해 1,786대에서 3배 가까이 증가한 5,194대를 대상으로 대당 최대 2,500만 원의 보조금을 지원한다. 수소차에는 승용차 3,700대(지난해 1,335대), 버스 10대(지난해 2대)에 대해 승용차는 대당 3,250만 원까지, 버스는 대당 3억 원까지 보조금을 지원한다. ■ 경기도, 노후 경유차 폐차 및 경기도 기업 친환경차 구입시 추가 200만 원 지원

2021년 경기도 무공해차 보급정책 홍보 포스터.  ⓒ 경기뉴스광장


경기도는 5등급 노후 경유차량을 폐차하고 전기·수소 승용차를 구매하거나, 도내 산업단지에 입주한 기업 또는 재직자가 전기·수소 승용차를 구매할 경우 대당 200만 원을 추가로 지원한다. 무공해차 구매 희망자는 인근 자동차 구매 대리점을 방문하면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상담 후 보조금 지원을 위한 구매지원 신청서와 계약서를 작성해 제출하면 대리점에서 해당 지자체에 서류를 제출하는 등 관련 절차를 대행한다. 박성남 경기도 환경국장은 “지난해 12월부터 추진 중인 계절 관리제에 따라 5등급 노후 경유차의 운행제한이 시행되고 있으므로 조속한 무공해차로의 전환이 요구된다”라며 “구매 지원금 외에도 최대 530만 원의 세제 혜택과 함께 연료비까지 줄일 수 있는 이번 기회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 환경에 대한 관심, 구매 보조금 등으로 지난해 대비 신청 건수도 2~3배가량 증가 도내 각 시군에서도 수소·전기 자동차 구매 지원 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지난해 대비 올 1/4분기 신청 건수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다.

수소차(왼) 및 전기차 충전사진.  ⓒ 경기뉴스광장


가장 큰 요인은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충전 인프라가 아직은 부족하지만, 무공해 자동차 충전소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구매 지원금의 영향도 컷다. 여기에 각종 미디어에서 무공해 자동차에 대한 뉴스 등이 언급되면서 관심이 집중되는 일은 시대적인 흐름으로 읽히기도 했다. 안산시 환경정책과 배중환 주무관은 “올해 일반 전기 자동차 사업량이 280대인데, 3월 말 현재 기준치의 2배가량의 신청이 들어왔다. 아울러 올해 안산 관내에서 수소충전소도 2곳(공영 1, 민간 1)이 운영될 예정이어서 전기차‧수소차 등 무공해차(지원금) 신청 건수가 지난해 대비 2배가량 늘어난 것 같다”라면서 “무공해 자동차로 전환하는 이유가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안성시 환경과 예다혜 주무관은 “올해 3월 말 기준 전기자동차 구매 지원이 이미 102대가 선정된 상태다”라면서 “올해 안성시 전기차 사업량이 223대인데, 지난해 대비 3배가량 늘어난 수치다. 내년에도 무공해 자동차에 대한 수효가 더욱 늘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화성시 기후환경과 이기환 주무관은 “화성시 수소차 사업량이 2019년도 160대, 2020년도 221대, 2021년도 375대로 증가했는데, 수소차에 대한 관심이 높은 편”이라면서 “현재 화성시 동탄2 신도시에 공영 수소충전소가 운영 중이다. 올 6월 화성시청, 화성종합경기타운 등 2곳에 수소충전소가 오픈 예정이어서 이 소식을 듣고 수소차 지원금에 관한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보다 2배가량 늘어난 것 같다”라고 밝혔다. 성남시 기후에너지과 김미주 주무관은 “무공해 자동차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은 미디어를 통해 소개된 친숙함 때문인 것 같다. 성남시는 지난해는 전기차 사업량인 500대보다 많이 신청이 들어올 정도로 관심이 높았다. 올해도 마찬가지인 것 같다”라면서 “올 8월경에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일원에 수소충전소가 오픈 예정이어서 수소차 관련 문의도 점차 늘고 있다”라고 소개했다.

무공해차 구매에 대한 차종별 대상 지원 단가, 지원 방법 등 자세한 사항은 해당 시·군 홈페이지 또는 저공해차 통합 정보누리집(www.ev.or.kr)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사진은 저공해차 통합 누리집.  ⓒ 경기뉴스광장


한편, 무공해차 구매에 대한 차종별 대상 지원 단가, 지원 방법 등 자세한 사항은 해당 시·군 홈페이지 또는 저공해차 통합 정보누리집(www.ev.or.kr)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안심경기②] 경기도, 집 앞부터 학교까지 ‘안전한 등하굣길’ 만든다
이전글 [경기도민기자단] 생활 속 가장 쉬운 환경보호 실천법 `투명 페트병 별도 분리배출 방법`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