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지난호보기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지난호보기상세조회테이블
부천의 군역(郡域)축소 (1936~1940)

부천의 군역(郡域)축소 (1936~1940)

글. 부천문화원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는 부군폐합(府郡廢合)을 단행하면서 경성(京城)을 비롯한 전국의 12개 주요 도시에 일본인 중심의 도시행정 단위로 부제(府制)를 운영했다. 인천도 역시 개항장인 제물포 일대를 인천부로 지정하고 부를 운영했다.

반면, 부군폐합 후 부천군의 경우 개항장을 제외한 옛 인천부 전체와 현재의 부천지역이 포함된 옛 부평부 전체, 남양군의 2개 면, 강화군의 4개 도서를 부속하는 15개 면 148개의 리를 관할하는 광역 부천을 구성하고 있었다. 또한 군청 소재지도 도서와 육지 지역 군민들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교통이 편리한 도심지역인 인천부로 이전해 군 행정을 펼쳐가고 있었다. (복사골 부천 7, 8월호 참조)
 


인천부의 1차 확장

 

그러나, 6.05㎢에 불과한 인천은 해를 거듭할수록 인천에 거주하는 일본인의 수가 증가하면서 인천부의 확장을 추진하게 된다. 1936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는 부천군 문학면(文鶴面)의 학익리(鶴翼里), 옥련리(玉蓮里), 관교리(官校里)의 일부와 다주면(多朱面)의 도화리(道禾里), 용정리(龍亭里), 사충리(士忠里), 장의리(長意里), 간석리(間石里)의 일부를 인천부에 편입했다. 이에 따라 인천 부역은 부천군 관할이던 경인철도의 다주면 주안역 일원까지와 옛 인천도호부 소재지 문학면 일원까지 차지하게 되어 부천군의 행정구역은 14개 면 140개 리로 축소된다.

또한, 1940년 당시 부천군 관할인 부평지역은 1934년 공업지구로 지정된 이후 본격적인 중공업 공장들이 설립되기 시작했고, 1941년에는 일본육군 조병창이 들어오고 병참기지로서의 군수 산업화가 가속화되면서 일본제국주의 대륙침략 정책의 필요성에 따라 인천부의 2차 확장이 진행됐다.


인천부의 2차 확장

 

1940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는 당시 부천군 관할이었던 부내면(府內面), 남동면(南東面), 서곶면(西串面), 문학면(文鶴面) 등을 인천부에 편입시켜 옛 인천부의 대부분뿐만 아니라 옛 부평부의 일부분(부내면, 서곶면)까지 확장했다. 이에 따라 부천은 소사면(素砂面, 1931년 桂南面에서 개칭), 소래면(蘇萊面), 오정면(吾丁面), 계양면(桂陽面) 등 육지 지역 4개 면과, 북도면(北島面), 대부면(大阜面), 영흥면(靈興面), 영종면(永宗面), 용유면(龍游面), 덕적면(德積面) 등 도서 지역 6개 면의 총 10개 면으로 축소됐고, 부천군청이 소사읍 심곡리로 이전해온 1962년까지 이 행정구역을 유지하고 있었다.

 

※ 이곳에 실린 필자의 의견은 부천시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지난호보기이전글다음글
이전글 “우리 친구 할까?” 국적을 넘은 진한 우정
다음글 부천, 문화로 피어나다
  • 정보제공부서 : 홍보담당관 미디어홍보팀
  • 전화번호 : 032-625-2147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