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나 홀로 지하철 여행] ④ 전철 타고 경기북부 여행 어때요?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4-06-18
갑자기 혼자 있고 싶을 때, 나 홀로 훌쩍 떠나고 싶을 때 지하철을 타고 도심 속을 여행해 보는 건 어떨까요? 혼자여서 좋은 지하철 여행 지금 출발합니다.
망월사역: 망월사, 원도봉산 ‘망월사역’은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철도역입니다. 부역명은 신한대 제1캠퍼스로, 인근에 신한대학교가 있습니다.
망월사.  ⓒ 경기경기뉴스광장 김지호


망월사는 경기도 의정부시 도봉산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해호가 창건한 사찰입니다. 해호가 머물렀던 동대(東臺)의 옛 산성 이름이 망월성(望月城)이었기 때문에 망월사라는 이름이 붙게 됐습니다. 이 사찰은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의 본사인 봉선사(奉先寺)의 말사입니다. ‘말사’(末寺)란 큰 절 소속의 작은 절을 일컫는 말입니다. 이곳 경내에는 고려 혜거국사의 승탑이 남아 있으며, 망월사에서 간행된 ‘진언집’ 책판 관련 목판 4종 등 조선시대 불교 관련 유물이 다수 전한다고 합니다. 망월사 큰 법당에서 남서쪽으로 언덕을 들어가면 ‘혜거국사부도’(경기도 유형문화유산)가 있습니다. 망월사역에서 망월사는 도보로 1시간 36분 소요된다고 합니다. 거리는 3.1km. 망월사로 오르는 길은 매표소에서 대원사, 원효사, 광법사를 차례로 돌아서 가는 코스가 있고 원도봉계곡을 따라가는 코스가 있는데 망월사에서는 두 갈래 등산로 중 어느 쪽으로 오르든 포대능선에 이르게 됩니다. 주소: 경기도 의정부시 망월로28번길 211-500.

원도봉산 자료 사진.  ⓒ 의정부시청


원도봉산은 경기도 의정부에 속한 산이며 도봉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의정부시의 손꼽히는 명소 중 하나인 원도봉산. 이곳은 의정부시(호원동) 시민들뿐만 아니라 가까운 지역에서도 많이 방문하는 곳이라고 합니다. 원도봉산에는 망월사가 있고, 두꺼비바위, 엄홍길 대장 집터, 덕제샘, 원도봉산 계곡, 민초샘, 포대능선 등이 있습니다. 이곳은 절벽구간과 높은 경사구간이 많아 등산 시 안전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합니다. 주소: 원도봉탐방지원센터, 경기도 의정부시 망월로28번길 205. 곤제역: 의정부천문대

의정부천문대.  ⓒ 경기뉴스광장 허선량


곤제역은 경기도 의정부시 용현동에 위치한 의정부 경전철의 전철역입니다. 이곳에서는 의정부천문대를 추천합니다. 의정부천문대를 가려면, 곤제역 인근 ‘낙양동 공용 차고지’(08388)에서 1-1번 버스를 타고, ‘효자중‧고등학교’ 정류장(08237)에서 하차합니다. 효자중‧고 정류장에서 도보로 17분 거리(796m)에 천문대가 있습니다. 의정부천문대는 2007년 의정부과학도서관 천문우주체험실로 출발해 2019년 현재의 위치인 송산배수지 인근으로 이전하면서 경기 북부지역 천문우주 교육시설의 역할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건물은 ▲별전구와 대형 달풍선으로 꾸며진 1층 로비 ▲천문우주 관련 내용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2층 전시실(아스트로관) ▲망원경으로 여러 천체를 관측할 수 있는 주‧보조관측실(3층) 등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주소: 경기 의정부시 부용로214번길 51-81. 덕정역: 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

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  ⓒ 경기뉴스광장 김지호


덕정역은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철도역으로, 처음에는 1911년 10월 15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습니다. 경원선 개통과 함께 2006년 수도권전철 운행을 시작했습니다. 덕정역에서는 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을 추천합니다. 대중교통은 덕정역 정류장(39520)에서 버스(78번)를 타고 ‘회암사지입구’ 정류장(53003)에서 하차 후, 도보로 5분 거리(238m)에 박물관이 위치해 있습니다. 2012년 10월 19일에 개관한 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은 고려 말‧조선 초 최대 왕실사찰이었던 회암사의 역사와 위상을 입체적으로 재조명하는 전문박물관입니다.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건물 총면적 3,562㎡, 부지면적 9,126㎡의 규모이며, 회암사 및 고려, 조선 왕실의 역사와 문화에 관련된 유물 11,000점 이상을 소장하고 있습니다. 전시시설은 1층 ‘상설전시실1’, 2층 ‘상설전시실2’, ‘기획전시실’ 등으로 구성됐습니다. ‘상설전시실1’은 회암사와 관련한 출토유물과 기록, 모형 및 영상을 통해 회암사의 역사와 왕실과의 관계, 대가람의 위상 등을 선보입니다. 회암사 대가람 공간에서는 회암사의 규모와 가치를 보여주는 회암사 대가람 복원모형을 전시하고 영상을 상영하여 각 건물의 역할 및 생활상을 쉽게 살펴볼 수 있습니다. ‘상설전시실2’는 회암사지에서 출토된 유물을 중심으로 회암사의 불교 문화와 생활, 건축문화를 살펴보면서 억불정책으로 사라진 회암사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주소: 경기도 양주시 회암사길 11. 소요산역: 소요산, 자재암, 자유수호평화박물관, 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 소요산역은 경기도 동두천시 상봉암동에 있는 경원선 상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전철역으로, 역명은 역 주변의 소요산에서 유래됐습니다. 소요산역에서는 소요산, 자재암, 자유수호평화박물관, 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 등을 추천합니다.

소요산 자료 사진.  ⓒ 동두천시청


소요산은 경기도 동두천시 동북방 소요동에 위치하고 동두천시청에서 3번 국도를 따라 북쪽으로 약 5km가량 지난 곳에 있는 수도권 최고의 단풍 명산입니다. 소요산은 산세가 그다지 장쾌하고 웅대하지 않지만, 형상미의 극치를 보이듯 뾰족뾰족한 기암괴석이 절묘하게 봉우리를 이루고 있다고 합니다. 산 정상인 의상대(587m)와 하백운대, 중백운대, 상백운대, 나한대, 공주봉이라 불리는 여섯 개의 봉우리가 원형을 이루고 있어 산행의 들머리와 날머리 같은 매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대중교통은 소요산입구 정류장(16134)에서 버스(1번)를 이용하여 안창말 정류장(16053)에서 하차합니다. 안창말 정류장에서 도보로 3.2km 거리에 소요산이 위치해 있습니다. 주소: 경기도 동두천시 상봉암동 산1-1.

자재암 자료 사진.  ⓒ 경기관광포털, 동두천시청


‘자재암’은 경기도 동두천시 상봉암동 소요산에 있는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경기 북부 본찰인 봉선사의 말사(末寺)입니다. 특히, 원효대사가 세운 곳으로, 그가 소요산에서 득도하던 중에 여성의 모습으로 유혹하여 나타났다는 관세음보살을 설법으로 물리치고 스스로 소요산에서 득도하는 의미를 통해서 자재암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소요산역에서 자재암으로 가려면, 소요산역 정류장(16140)에서 39-2번 버스를 탑승하여 상봉암동 정류장(16142)까지 갑니다. 상봉암동 정류장에서 57m거리의 인근 정류장(상봉암동:16141)에서 버스(53번, 39번)로 소요산 입구 정류장(16134)에서 내립니다. 소요산은 소요산 입구 정류장에서 도보로 2.5km 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주소: 경기도 동두천시 평화로2910번길 406-33.

자유수호평화박물관.  ⓒ 경기뉴스광장 허선량


자유수호 평화박물관은 한국전쟁의 참상을 통해 자유와 평화를 사랑하는 모든 분들의 희생을 기리고 후손들에게 전하고자 건립한 곳입니다. 이곳은 한국전쟁 당시 나라를 지키기 위해 희생하신 국군과 유엔군의 고귀한 정신을 기리고 다양한 전시자료를 통해 전세계에 널리 알리고 있습니다. 40,000㎡ 부지의 지상 4층 건물로 1층 전시장은 로비 및 기획전시공간으로, 해방부터 6.25전쟁후까지 시대적 사실을 12개의 도자기로 표현한 이미지 부조와 전쟁으로부터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한 병사의 역동적인 몸짓과 세계평화를 표현한 상징물 등으로 구성됐습니다. 2층 전시장은 주전시관으로 유엔 참전 전투지원 16개국과 의료지원 5개국의 유물과 자료가 전시되어 있고, 3층 전시관은 영상관으로 6.25전쟁에 관한 자료를 영상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소요산역에서 자유수호평화박물관으로 가려면, 소요산역 정류장(16140)에서 버스(53번, 57번)를 타고 상봉암동 정류장(16142)에서 하차 후, 인근 정류장(상봉암동 16141)에서 39-2번 버스에 탑승하여 소요산역 정류장(16136)에서 내립니다. 소요산역 정류장에서 도보로 1km 거리에서 박물관이 위치해 있습니다. 주소: 경기 동두천시 평화로2910번길 96-63.

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  ⓒ 경기뉴스광장 김지호


2016년 문을 연 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은 동두천 상봉암동 162번지 일원에 지상2층, 지하1층 규모로 건립됐습니다. 특히 생명존중을 통해 더불어 사는 삶이라는 생태적 가치를 체험하는 어린이박물관입니다. 이 박물관은 ‘숲에서 꿈꾸는 아이들’이라는 주제로, ‘마치 탐험하는 느낌’을 들게 하도록 공간을 구성했다. 공간은 ▲공룡존 ▲영유아존 ▲클라이머존 ▲숲생태존 ▲물놀이존 ▲건축존 등 9개로 구성됐습니다. 소요산역에서 도보로 9분 거리(452m)에 위치해 있습니다. 주소: 경기 동두천시 평화로2910번길 46. 전곡역: 연천 전곡리 유적, 전곡선사박물관, 한탄강 유원지 전곡역은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전철역입니다. 전곡역에서는 연천 전곡리 유적, 전곡선사박물관, 한탄강유원지 등을 추천합니다.

연천전곡리유적.  ⓒ 경기뉴스광장 김지호


전곡역에서 연천 전곡리 유적을 가려면, ‘전곡역앞‧농협’ 정류장(43216)에서 버스(39-2번, 53번)로 ‘예일세띠앙‧한전연천지사’ 정류장(43220)에서 하차합니다. ‘예일세띠앙‧한전연천지사’ 정류장에서 도보 804m 거리에 연천 전곡리 유적이 위치해 있습니다. 연천 전곡리 유적은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한탄강변에 있는 구석기시대 유적으로, 1979년 10월 2일 대한민국의 국가지정문화유산(사적 제268호)으로 지정됐습니다.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에 있는 석기시대 구석기의 주먹도끼, 긁개, 석핵 등이 출토된 생활유적입니다. 주소: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리 529.

전곡선사박물관(위), 한탄강유원지.  ⓒ 경기뉴스광장 김지호, 연천군 공식 블로그


전곡선사박물관은 동아시아 최초의 아슐리안형 주먹도끼 발견으로 세계 구석기 연구의 역사를 다시 쓰게 만들었던 역사적 현장인 전곡리 구석기유적에 건립된 유적박물관입니다. 전곡리 구석기유적지에서 출토된 아슐리안형 주먹도끼 등의 구석기 유물들을 중심으로 인류의 진화와 구석기시대 문화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주제의 유물들로 전시공간을 구성했습니다. 전곡선사박물관을 가려면, ‘전곡역앞‧농협’ 정류장(43216)에서 39-2번 버스로 이용하시면 됩니다. 주소: 전곡선사박물관,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평화로443번길 2. 한탄강에는 ‘국민관광지’라는 수식어가 따라 붙는데요. 한탄강 유원지는 현무암 용암이 만들어낸 바위 절경과 모래사장이 어우러진 수도권 시민의 대표 휴양지입니다. 편의시설을 잘 갖춘 캠핑장이 있어 최근에는 더욱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장비가 없어도 캠핑을 즐길 수 있는 카라반하우스와 캐빈하우스도 인기입니다. 물놀이장과 산책로, 오리배 선착장, 캐릭터공원 등으로 구성됐습니다. 대중교통은 ‘전곡역’ 정류장(43542)에서 61번 버스를 타고 ‘한탄강유원지’ 정류장(43609)에서 하차하면 됩니다. 주소: 한탄강 관광지, 경기 연천군 전곡읍 선사로 76. 이전 기사 보기 [나 홀로 지하철 여행] ① 지하철타고 프랑스여행 가볼까? [나 홀로 지하철 여행] ② 지하철로 떠나는 문화 나들이 어때요? [나 홀로 지하철 여행] ③ 지하철 타고 미술관 순례 어때요? #경기 #경기도 #경기뉴스광장 #Gyeonggi #Gyeonggido #나홀로 #지하철 #경기북부편 #망월사역 #곤제역 #덕정역 #소요산역 #전곡역 #망월사 #원도봉산 #의정부천문대 #회암사지박물관 #소요산 #자재암 #자유수호평화박물관 #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 #연천전곡리유적 #전곡선사박물관 #한탄강유원지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1회용품 없는 경기 특화지구’ 5곳 조성
이전글 경기도, 부천·안산·광명·양평 등 ‘1회용품 없는 경기 특화지구’ 5곳 조성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