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지식(知識)을 사랑한다면 지식(GSEEK)하세요!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0-09-01
學而時習之不亦說乎(학이시습지불역열호)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논어」에 나오는 공자님 말씀이다. 꿈기자 엄마가 가장 좋아하는 문구이기도 하고, 경기도가 제공하는 무료 온라인 평생학습 서비스를 한마디로 표현할 수 있는 문장이 아닐까 싶어 인용했다. 배움에는 늦음이 없다고 하고 평생학습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테이스테셔널(Tastessional)’이라는 말이 있다. 테이스테셔널은 `Taste(취향)`와 `Professional(전문성)`의 합성어로 취향이 전문성이 된 사람들을 일컫는다. 취향을 가지고 시작한 배움이 전문성을 가지게 된다는 의미일 것이다. 하루가 다르게 수많은 정보와 배울 거리들이 넘쳐나고 있다. 지식은 ‘평생’이다. 이런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경기도는 지식(GSEEK) 누리집을 통해 무료 온라인 평생학습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식(GSEEK) 누리집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지식(GSEEK)은 Gyeonggi, Global, Great의 ‘G’ 와 기회를 찾다, 지식을 추구하다의 의미로 ‘SEEK’의 합성어이다. 경기도 31개 시·군이 함께 운영하는 무료 온라인 평생교육 서비스이다.
경기도는 지식(GSEEK) 누리집을 통해 무료 온라인 평생학습 서비스를 제공한다.  ⓒ 지식 누리집


지식(GSEEK)은 외국어, IT, 자기개발, 생활/취미, 인문소양, 자격취득, 부모교육, 청소년 교육 등의 8개 분야, 1,300여 개 과정을 무료로 수강할 수 있다. 또 온라인 강의뿐 아니라 다양한 무료 오프라인 과정도 개설되어 있으니 자세한 내용은 지식(GSEEK) 누리집(https://www.gseek.kr) 을 참고하기 바란다. 지식(GSEEK)은 또한 경기도민 외 전 국민을 대상으로 누구나 원한다면 학습이 가능하다. 그리고 수강신청수에 제한 없이 신청이 가능하다는 점도 참고하면 좋겠다. 또한 경기도민 스스로가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도록 교육하는 ‘도민강사 양성프로그램’과 유명 연사의 지식을 나누는 ‘GSEEK 콘서트’, 경기도 내 다수의 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GSEEK 오프라인 도서관 특강’ 등도 있다. 언제 어디서든 원할 때 수강할 수 있도록 ‘GSEEK 모바일 앱’도 출시되었다. 무료 와이파이(WiFi) 환경에서 콘텐츠를 내려받고 데이터 걱정 없이 언제 어디서나 수강이 가능하다.

언제 어디서든 원할 때 수강할 수 있도록 ‘GSEEK 모바일 앱’도 출시되었다.  ⓒ 지식 누리집


꿈기자도 지식(GSEEK) 누리집(https://www.gseek.kr)에 접속한 후 평소 좋아하는 영어 강좌와 엄마의 추천으로 박시백 작가, 신병주 교수의 ‘인문소양 – 과학/역사 - 조선왕조실록_역사를 알면 미래가 보인다’를 수강했다. 엄마는 박시백 작가의 ‘조선왕조실록’을 재미있게 읽었는데 성인을 대상으로 쓴 만큼 꿈기자에게는 다소 어려울 수도 있지만 신병주 교수의 설명을 따라가다 보면 한결 이해하기 쉬울 것 같다고 이야기했다. 꿈기자 또한 영어 강좌도 함께 수강했는데 꾸준히 한다면 영어 공부에 도움이 될 것 같다.

인문소양 분야에서 역사를 알면 미래가 보인다’ 강의를 듣고 있다.  ⓒ 이소진 기자


한편, 꿈기자 엄마는 도서 「공부머리 독서법」 저자 최승필 작가의 책을 재미있게 읽었는데 ‘GSEEK 콘서트’에 강연이 소개되었다며 반가운 마음으로 영상을 시청했다. 그리고 엄마는 꿈기자가 기사 작성을 하기 위해 지식(GSEEK) 누리집을 접하기 전부터도 이미 지식(GSEEK)을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

꿈기자 엄마가 시청한 인문소양 ‘GSEEK 콘서트’  ⓒ 이소진 기자


지식(GSEEK) 누리집이 지식(知識)의 보물창고가 되어주었으면 좋겠다. 누구나 원할 때 마음껏 꺼내 가질 수 있는 그런 보물. 꿈기자도 앞으로 지식(GSEEK) 누리집을 통해 관심 있는 주제들을 꾸준히 수강하고 싶다.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경기도의회 제346회 임시회 1차 본회의 1일 개최
이전글 경기도, 코로나19 방역전선 어떻게 구축했나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