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온라인으로 즐기는 ‘2020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0-09-28
경기도는 2019년부터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를 개최하고 있다. 하지만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해 사람들끼리 모이는 것이 어려워졌다. 그래서 경기도는 `2020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를 비대면 온라인 박람회로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지난 9월 10일부터 11일까지 이틀 동안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던 `2020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를 관람해 보도록 하겠다.
`2020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가 지난 9월 10일부터 11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 2020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 홈페이지


◆ 기본소득이란? 박람회를 관람하기에 앞서 기본소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기본소득은 재산·노동의 유무와는 상관없이 모든 국민에게 조건 없이 개별·정기적으로 무조건 지급하는 소득이다. 즉, 국민 모두가 빈곤선 이상으로 살 수 있도록 충분한 월간 생계비를 지급하는 것이다.​ 최근 자동화와 같이 노동시장의 환경 변화로 인해 일자리가 줄어들고 있다. 이렇게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에게 기본소득을 지역화폐로 지급하면 지역의 경제도 살리고, 사람들이 열심히 일할 수 있는 원동력도 되니 일석이조의 복지제도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세계 각국에서 그에 대해 논의를 하는 중이다. ◆ 2020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

2020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 개막식 모습   ⓒ 2020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 홈페이지


박람회 첫날인 10일에는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개회사와 함께 붓글씨 퍼포먼스, 랜선 콘서트, 토크쇼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이틀째인 11일에는 `공정하고 지속 가능한 세상, 기본소득으로`란 주제로 5개 섹션으로 나눠 국내외 경제학자, 기본소득 활동가, 연구기관 관계자들이 참여한 제2회 경기도 국제 콘퍼런스가 진행되었다. 개막식과 국제 콘퍼런스 등 영상은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 홈페이지 (http://basicincomefair.gg.go.kr/2020/)에서 다시 볼 수 있다. ◆ 기본소득 & 지역화폐 온라인 전시관

기본소득 온라인 전시관의 모습   ⓒ 2020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 홈페이지


위 사진은 가상 공간에 만들어진 기본소득 온라인 전시관의 모습이다. `사람을 사람답게, 기본소득`이란 기본소득 박람회의 슬로건처럼 `사람인(人)`자를 형상화한 전시관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기본소득 온라인 전시관 안내   ⓒ 2020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 홈페이지


온라인 전시관은 3D 가상공간으로 꾸며져 있고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관, 기본소득 도서 전시관, 기본소득 카툰관, 기본소득 영화 상영관, 기본소득 역사관 등 17개의 전시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9월 11일까지는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경품도 받을 수 있었다. ◆ 기본소득 온라인 전시관 관람 방법

기본소득 온라인 전시관 입장 순서   ⓒ 2020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 홈페이지


기본소득 온라인 전시관 입장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검색창에 `2020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를 검색해 박람회 홈페이지에 들어간다. 2. 온라인 전시관을 클릭한다. 3. 개인 정보 사용을 동의하고 `온라인 전시관 입장`을 클릭한 뒤 기다리면 컴퓨터에 시스템이 설치된다. 4. 바탕화면에 생성된 아이콘을 클릭한다. 5. 전화번호를 - 없이 입력하고 등록하기를 클릭한다. (한 번 등록을 한 뒤에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입장하기를 누른다.) 6. 전화번호를 한 번 더 입력한 후 입장하기를 누른다. 7. 로딩이 끝나면 박람회를 즐긴다.

기본소득 온라인 전시관 홍보 영상   ⓒ 2020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 홈페이지


홈페이지에서 커뮤니티 탭의 홍보영상을 찾아들어가면 기본소득 박람회를 집에서 즐기는 방법, 기본소득 박람회 체험기 등 여러 가지 영상들이 있어 기본소득 박람회 이용방법과 정보들을 얻을 수 있다. ◆ 기본소득 온라인 전시관 체험하기

기본소득 온라인 전시관에 입장하는 꿈기자의 모습   ⓒ 박중수 기자


꿈기자도 컴퓨터에 기본소득 온라인 전시관을 설치해서 직접 전시관을 체험해 보았다.

가상 공간에 마련된 온라인 전시관의 모습   ⓒ 박중수 기자


박람회장은 W, A, S, D 키와 Shift 키를 사용해 앞뒤, 양옆으로 돌아다닐 수 있고 마우스로는 방향을 바꿀 수 있다. 게임 같은 방식으로 즐길 수 있어서 더 재미있었다. 동영상과 글 등은 가까이 가서 아이콘이 나타났을 때 클릭하면 크고 자세하게 볼 수 있다. 관람 방법은 돌아다니면서 자유롭게 보거나 M 키를 눌렀을 때 뜨는 메뉴창을 이용해 자신이 원하는 전시관을 선택해서 보는 방법이 있다. 시간이 지날 때나 문제를 풀고 설문조사를 하면 가상 경기 지역 화폐를 받을 수 있다. 이것을 일정량 이상 모으면 기본소득 광장으로 가서 경기지역화폐를 클릭해 랜덤으로 기프트콘 선물을 받을 수 있다. 이벤트는 9월 11일에 마감되었다.

온라인 전시관의 다양한 콘텐츠를 체험하고 있는 꿈기자   ⓒ 박중수 기자


기본소득을 주제로 한 우수 도서 100권을 만날 수 있는 `기본소득 도서 전시관`, 경기도 기본소득 영화제 공모전의 수상작이 상영되는 `기본소득 영화 상영관`, `기본소득 퀴즈폴` 등이 특히 재미있었다. 책을 둘러보거나 문제를 풀고 영화를 보면서 기본소득에 대한 여러 지식들을 쉽고 재미있게 쌓을 수 있었다. ◆ 경기도 한정판 지역화폐(소비지원금) 지급 이렇게 기본소득에 대해 알아보면서 경기지역화폐에 대해서도 관심이 생겼다. 경기도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할 때 꿈기자의 집은 경기지역화폐인 수원페이로 재난기본소득을 수령했다. 직접 사용해보니 거의 모든 곳에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였다. 이번에 추석을 맞이하여 경기도에서 침체된 지역 경제를 살리기 위해 한정판 지역화폐(소비지원금)를 지급하는 이벤트를 실시 중이기도 하다.

소비지원금 사용법   ⓒ 경기도 홈페이지


한정판 지역화폐(소비지원금)의 사용법을 알아보자. 1. 경기지역화폐를 20만 원 충전하면 충전금액의 10%인 2만 원을 추가로 지급받는다. 2. 9월 18일부터 11월 17일까지 20만 원 이상 소비한다. 3. 선착순 약 333만 명에 선정되면 소비지원금 3만 원을 추가로 지급받는다. 4. 지급받은 날로부터 한 달 이내 소비지원금을 소비한다. ※ 소비지원금 지급일 1차: 10월 26일 / 2차 : 11월 26일 `2020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를 관람하면서 아직은 꿈기자가 이해하기엔 어려운 부분도 많았지만 기본소득의 의미를 알게 되어 알찬 시간이었다. 추석을 맞아 시행하는 소비지원금 행사에도 많은 사람이 참여해 지역의 소상공인들에게 힘이 되면 좋겠다.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모든 사람의 기본권리, ‘기본소득’
이전글 [스토리뉴스] 한정판 지역화폐로 풍성한 한가위 맞이해요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