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스토리뉴스] 한정판 지역화폐로 풍성한 한가위 맞이해요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0-09-28
경기도와 경기도의회는 코로나19로 위축된 추석 경기를 살리기 위해 경기지역화폐 이용자를 대상으로 인센티브 10%에, 소비지원금 3만원 추가 혜택을 제공하는 `한정판 지역화폐`를 시행합니다. 추석을 맞아 꿈나무기자단이 방역 수칙을 지키면서 현명하게 지역화폐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9월 18일, 경기도에서 발표한 한정판 지역화폐(소비지원금)를 받기 위해 꿈기자의 엄마는 경기지역화폐 하머니를 20만 원 충전했다. 9월 한 달은 10%의 인센티브를 주기 때문에 20만 원을 충전해도 통장에서 18만원이 나간다. 11월 17일까지 지역화폐로 20만 원 이상을 소비하면 선착순으로 1인당 소비지원금 3만 원을 추가 지급하여 총 5만 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경기지역화폐는 10% 인센티브 지급으로 사용 가능금액은 실제 충전금액보다 많다. 충전 최소 금액은 1만 원부터이고 앱으로 충전 가능하여 사용하기에 부담이 없다.   ⓒ 경기지역화폐 앱


지난 8월은 4주 동안 3주 가까이 태풍과 집중호우로 피해가 많았던 시기였다. 소상공인 가운데도 코로나19로 어려워진 가운데 태풍과 비로 설상가상 더 어려웠던 업종도 있었다. 바로 자동차 세차장이다. 꿈기자도 8월에 처음으로 세차장에 자동차를 맡기려고 했는데 잦은 비로 결국 9월에서야 가게 되었다.

지난 4월 경기도 재난지원금 지급으로 상인들 역시 지역화폐에 대한 관심과 홍보가 많아졌다. 코로나19로 어려워진 경제를 극복하고자 고객 유치를 위해 무상 방역 등 다양한 마케팅을 하고 있다.   ⓒ 강민주 기자




오랜만에 날씨가 좋아 세차하는 사람들이 몇 명 있었다. 어려워진 소상공인들을 위해 스팀세차로 추가 결제하였다.   ⓒ 강민주 기자


꿈기자는 9월 19일 오후 하남시에 있는 한 자동차 공업사에 세차를 부탁한 뒤 관계자와 자세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자동차 검사소에서 요금 수납과 관리 등의 업무를 맡고 있는 총무팀장은 코로나19 이후 거리에서조차 자동차를 보는 게 힘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평일 낮, 인근 아파트 단지 주차장에는 차들이 엄청 많은 것과 대조적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재택근무나 집콕 생활을 이어가면서 나가지 않다 보니 최소한의 정비만 하기 위해 공업사를 찾았다"면서 "코로나19 이후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자동차 공업사에서도 무상방역 서비스에 자동차를 가져다 드리는 등 다양한 마케팅을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지난 4월 재난지원금이 지급되면서 사람들이 자동차 검사도 받고, 세차도 하고, 방향제 같은 액세서리나 와이퍼, 엔진 세정제 등을 구입했다. 그 전에는 최소한의 것들만 했다면 재난지원금이 지급된 이후에는 소비심리가 조금씩 올라갔다"고 말했다. 지난 여름 태풍과 많은 비가 매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묻자 그는 "정말 힘든 8월이었다. 너무 많은 비로 고객들이 찾아오기도 힘들었고, 세차장 매출은 절반 이상으로 떨어졌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그는 "소상공인 대출을 더 늘려줬으면 하는 게 바람이다. 우리처럼 직원이 20여 명 정도 있는 곳은 월급과 최소한의 기본 시설 유지라도 했으면 하는 마음으로 버티고 있다. 그리고 일거리가 많아서 직원들과 함께 즐겁게 일했으면 한다"고 바람을 전했다.

공업사 총무팀장은 앞으로 일거리가 많아져 직원들과 함께 즐겁게 일하는 게 바람이라고 전했다.   ⓒ 강민주 기자


엄마는 기본세차를 맡겼다가 1만 원을 추가로 결제하고 스팀세차도 하였다. 하머니로 추가 인센티브도 받았고 어려워진 소상공인도 돕기 위해서라고 했다. 지역화폐는 충전도 쉽고 타 카드와 달리 최소금액 1만 원만 충전해도 혜택을 받을 수 있어 부담이 없다. 그리고 소비자에게는 충전과 동시에 할인금액도 바로 보여준다. 코로나19 시대 처음으로 맞이하는 명절 한가위, 경기지역화폐를 이용하여 소비 혜택도 받고 넉넉해진 인센티브로 지역 경제도 살려보면 어떨까?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모든 사람의 기본권리, ‘기본소득’
이전글 <온라인 경기도 나들이> 성남시, 중앙공원 꽃무릇 편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