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스토리뉴스] 경기지역화폐 덕분에 소상공인도 웃고, 소비자도 즐겁게 집콕해요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0-09-28
경기도와 경기도의회는 코로나19로 위축된 추석 경기를 살리기 위해 경기지역화폐 이용자를 대상으로 인센티브 10%에, 소비지원금 3만원 추가 혜택을 제공하는 `한정판 지역화폐`를 시행합니다. 추석을 맞아 꿈나무기자단이 방역 수칙을 지키면서 현명하게 지역화폐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코로나19로 매출이 급격히 줄어든 소상공인도, 거리두기 하느라 우울감을 느끼는 소비자도.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이 있다. 바로 경기지역화폐이다. 경기지역화폐는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경기도 각 지자체별로 발행하는 대안화폐로, 지역 내 소상공인 상점에서 쓸 수 있다. 군포시에는 군포愛머니, 하남시에는 하머니, 수원시에는 수원페이 등 경기도 31개의 시, 군에서 사용할 수 있다. 5만 원권, 만 원권 등으로 발급되는 지류형과 체크카드처럼 충전한 만큼 돈을 사용할 수 있는 카드형이 있다. 지난 4월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을 도민당 10만 원씩 지원받을 때 지역화폐로 선택할 수 있었고,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이번에 경기도에서 ‘경기지역화폐 소비지원금 이벤트’를 시행한다. 충전금액의 10% 인센티브 지급은 물론 20만원을 사용할 경우(인센티브 사용액을 제외한 사용 원금) 소비지원금 3만 원을 더 지급하는 한정판 혜택도 준다.
경기지역화폐 소비지원금 이벤트 안내   ⓒ 경기지역화폐 홈페이지


소비지원금 3만 원은 9월 18일부터 11월 17일까지 중 20만 원 이상을 사용한 사람에게 예산(1000억)이 소진될 때까지 선착순으로 지급한다. 소비지원금 신청을 하면 10월 26일 1차로 지급이 되고, 11월 26일 2차 지급이 된다. 여기에서 유의할 것은 단일 시, 군의 사용금만 포함이 된다는 것이다. 2개 이상의 시, 군에서 사용한 지역화페의 합산 금액은 인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군포愛머니로 10만 원, 수원페이로 10만 원을 결제했다면 인정받을 수 없다는 것이다. 20만 원을 충전해 사용하면 10% 인센티브 2만 원과 소비지원금 3만 원까지 받을 수 있으니, 총 25만원을 사용할 수 있는 셈이다. 20만 원을 충전했는데 5만원을 더 쓸 수 좋은 기회이다. 경기지역화폐는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지역 내 소상공인 상점에서 주로 사용할 수 있다. 경기지역화폐를 사용할 수 있는 상점이 정말 많다. 그만큼 경기지역화폐의 쓰임새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대부분의 동네상점들이 군포愛머니(경기지역화폐)가 사용 가능하다고 안내하고 있다.   ⓒ 신민채 기자


경기지역화폐는 온라인으로 신청하거나 농협에 직접 방문하여 발급받을 수 있다. 꿈기자가 살고 있는 군포시 산본 중심상가(산본 로데오거리)에 있는 농협에서는 이미 군포愛머니(군포시 경기지역화폐)카드가 품절되어 발급받을 수 없다고 안내문이 붙어 있었다. 사람들이 경기지역화폐로 더 알차고 똑똑한 소비를 하기 위해 경기지역화폐 카드를 많이 만들고 있는 것이 직접 피부로 느껴진다.

군포시 산본 로데오거리 농협은 이미 군포愛머니 카드가 소진되었으며, 경기지역화폐 앱을 통해서 신청할 수 있다.   ⓒ 신민채 기자


꿈기자도 5만 원을 충전하고 10% 인센티브로 5000원을 받아 총 55,000원의 예산으로 하루를 알차게 보냈다. 꿈기자는 현재 경기도 군포시에 거주하고 있어, 군포시의 경기지역화폐인 군포愛머니를 사용한다. 꿈기자는 만14세 미만이라 부모의 카드로 충전하여 직접 사용해 보기로 했다. 어떻게 써야 55,000원을 보다 알차게 사용할 수 있을지 고민하다가 마침 요즘 거리두기를 하고 있어 밖에 나가지 못해 지루했던 기분을 전환하고, 꼭 필요한 물건을 구입해보기로 했다. 가장 먼저 시내로 나가 중고서적을 판매하는 서점을 방문했다. 방문한 서점은 우리 집에서 깨끗하지만 나는 더 이상 안보는 책을 팔고, 다른 중고 책을 살 수 있다. 서점에는 책을 사러 온 많은 손님들이 거리두기를 잘 지키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책 2권을 구입하면서 계산원에게 경기지역화폐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은지 물어보았다. 계산원은 경기지역화폐를 사용하는 손님이 점점 늘고 있다고 답했다. 실제로 서점 곳곳에서 군포愛머니카드 사용이 가능하다는 안내 문구를 비치해 놓은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집에서 독서를 하기 위해 서점에서 책 2권을 구입했다.   ⓒ 신민채 기자


두 번째로 문구점을 방문했다. 역시 입구부터 군포愛머니카드가 사용가능하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었다. 학교는 온라인 수업을 하고, 학원에 가는 것이 조심스러워지다 보니 내 책상에서 공부를 하는 시간이 늘어나고, 책상이 점점 지저분해지고 있다. 그래서 필요한 지우개가루 청소기와 다 써버린 형광펜 두 개를 샀다. 문구점 계산원도 경기지역화폐를 사용하는 손님이 늘어 가게를 찾는 손님도 늘었다고 답했다.

문구점 입구에 경기지역화폐 사용이 가능하다고 안내문이 붙어 있다.   ⓒ 신민채 기자


문구점 옆에 있는 꽃집에도 갔다. 입구에서부터 향긋한 향기가 풍겨와 많은 사람들이 구경하고 있었다. 꿈기자가 찾은 새로운 취미는 화분 가꾸기이다. 꿈기자는 여러 가지 식물 중에서도 스투키를 좋아한다. 이번 주 일요일이 생신인 할머니에게 드릴 예쁜 국화 화분도 샀다. 꿈기자가 꽃집 주인에게 예쁜 꽃들과 함께 있어 지루하지 않고 행복한지를 묻자 꽃집 주인은 "집에만 있을 때 식물을 가꾸면 즐거움과 뿌듯함 모두 얻을 수 있어 좋은 활동"이라고 했다.

집에서 가꾸고 싶은 식물을 골라 군포愛머니로 구매를 했다.   ⓒ 신민채 기자


집에 와서 빈 화분에 식물 모종들을 옮겨 심었다. 화분을 심어 놓으니 방에서 상쾌한 즐거움이 솟아났다.

구매한 식물들을 화분에 옮겨 심어 우리 집 수목원을 만들었다. 아침에 화분들을 볼 때마다 상쾌하다.   ⓒ 신민채 기자


이번엔, 생활용품점에 방문했다. 의자 신발과 문 닫힘 방지용품을 사기 위해서였다. 집에 있는 시간이 늘다보니 생활소음이 전보다 부쩍 많이 늘었다. 그래서 이웃 간에 불편을 줄이고자 의자 끄는 소리, 문이 쾅 닫히는 소리 등을 방지해야겠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생활용품점에는 여러 가지 생활 용품들이 싸게 진열되어 있어 필요한 것들을 부담 없이 구입할 수 있다. 집에 와서 의자에 의자 신발을 끼우니 의자 끄는 소리가 전보다 훨씬 나아졌다.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며 이웃 간에 서로를 배려하는 마음이 필요하다.   ⓒ 신민채 기자


마지막으로 간 곳은 아파트 단지 내 아이스크림 매장이다. 직접 물건을 골라 담고 결제까지 편하게 할 수 있다. 꿈기자도 여러 종류의 아이스크림을 좋아해서 자주 사먹는데, 여기서도 경기지역화폐를 사용할 수 있다. 아이스크림 하나가 400원인데 경기지역화폐 4만 원을 충전하면 4000원(10%의 인센티브)을 주니 아이스크림을 10개나 공짜로 먹을 수 있다.

무인 아이스크림 매장의 결제 기기에서도 경기지역화폐를 사용할 수 있다.   ⓒ 신민채 기자


꿈기자는 경기지역화폐 덕분에 더 알차고 똑똑하게 필요한 물건들, 취미생활에 도움이 될 물건들을 지역 상점에서 살 수 있었다. 경기지역화폐는 혜택도 많고 쓰임새도 많아 좋다. 단, 지역 간에 호환이 되지 않는다. 20만 원을 충전했는데 10% 인센티브와 소비지원금까지 25만 원을 사용할 수 있는 기회가 또 어디 있을까? 지역화폐는 소비자에게는 소비활동을 통해 취미도 찾고 즐겁게 지내는 계기가 되고, 소상공인에게는 매출 상승에 도움이 된다. 경기도에서, 우리 동네에서, 각 지역에서 더 똑똑하고 의미 있는 소비를 하고 싶다면 지금 바로 경기지역화폐를 충전해 사용하자!

경기지역화폐 모바일 앱에서는 잔액, 사용내역, 혜택 등의 확인이 더 간편하다.   ⓒ 경기지역화폐 모바일 앱


경기지역화폐 모바일 앱을 다운받으면 그동안 사용한 금액 누계, 충전된 금액, 내가 받은 인센티브 등을 더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경기지역화폐를 더 알아보고 싶다면, 경기지역화폐 홈페이지를 참고할 수 있다.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이재명, 양평 청정계곡 정비 현장 방문 점검
이전글 “운전 중 쓰레기 투기? 당신이 버린 건 도로의 안전!”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