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취약계층 공공일자리 4300여개 만들어 코로나19 위기 이겨낸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01-21
경기도가 올해 31개 시군과 함께 코로나19발 고용난 타계를 위한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과 ‘지역방역 일자리 사업’을 추진, 4,300여 개의 공공 일자리 창출에 나선다. 코로나19 극복 희망일자리 사업 및 지역일자리사업 현장 사진.  ⓒ 경기뉴스광장


코로나19로 고용난이 심화되는 가운데 경기도가 올해 31개 시군과 함께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과 ‘지역방역 일자리 사업’을 추진한다. 도는 올 한해 국비 110억4,400만 원, 지방비 163억1,400만 원 등 총 273억5,800만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4,300여 개의 공공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먼저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은 지역공동체 활성화와 지속 가능한 지역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도내 취약계층에 공공일자리를 제공해 생계 및 고용안정을 지원한다. 이 사업은 지역자원 활용형, 지역기업 연계형, 서민생활 지원형, 지역공간 개선형 등 4개 유형으로 추진된다. 이로써 31개 시군에서 마을가꾸기, 취약계층 집수리 등 총 207개 사업을 마련해 1,852개의 공공일자리를 만들 예정이다. 사업 대상은 2인 가구 이상 소득이 기준중위소득 65% 이하이면서 재산이 3억 원 미만인 도민 또는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 1인 가구다. 65세 미만은 주 40시간 이내, 65세 이상은 주 25시간 이내 근무하게 된다. 두 번째로 ‘지역방역 일자리 사업’이 올해 새롭게 추진된다. 코로나19 등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공공일자리를 운영해 지역 방역역량을 강화하고 취업취약계층의 고용 및 생계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도 및 31개 시군에서 총 110개 사업을 추진해 2,534개의 공공 일자리를 만들 예정이며, 참여자들은 다중이용 공공시설 등에서 시설·물품소독, 발열체크 및 출입관리, 거리두기 안내, 방역수칙 점검 등을 수행한다. 사업대상은 코로나19로 실직·폐업 등을 경험한 도내 취업취약계층이다. 주 15~30시간 근무를 원칙으로 하되, 업무 특성을 고려해 주 30~40시간 까지 근무할 수 있도록 했다. ‘지역공동체일자리사업’ 및 ‘지역방역일자리사업’ 참여자 임금은 2021년도 최저임금(시급 8,720원) 기준, 1일(8시간 기준) 6만 9,760원이 지급된다. 도는 코로나19 상황 장기화로 신속한 대책이 시급한 만큼, 시군과 지속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해 1월 중 조기에 채용하여 사업장 배치 등의 절차가 완료될 수 있도록 독려할 계획이다. 현병천 경기도 일자리경제정책과장은 “코로나19 경제방역 대책으로 추진되는 사업인 만큼, 취약계층의 고용과 생계 지원에 적극 힘쓸 것”이라며 “매주 시군의 채용계획 및 모집일정 등을 중점 관리하고, 조기 집행 추진 등의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 및 ‘지역방역 일자리 사업’은 참여자 모집일정은 시군별 상이하며, 사업 문의는 관할 시군 일자리 관련부서에 하면 된다. 한편, 도는 지난해 31개 시군과 코로나19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취약계층을 위해 ‘코로나19 극복 희망일자리 사업’과 ‘코로나19 극복 지역일자리 사업’을 추진, 총 8만 1,497개의 공공 일자리를 창출하는 성과를 거뒀다.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화성국제테마파크’ 사업 추진 보고회 개최
이전글 코로나19 시대, 주저없이 도움의 손길 내민 사람들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