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골목상권 공동체로 코로나19 함께 이겨내요”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01-22
경기도가 올해 코로나19로 위축된 골목상권을 살리기 위해 ‘골목상권 공동체 활성화 사업’을 통한 상권 조직화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자료사진  ⓒ 경기뉴스광장 허선량


경기도가 올해 코로나19로 위축된 골목상권을 살리기 위해 ‘골목상권 공동체 활성화 사업’을 통한 상권 조직화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골목상권 공동체 활성화 지원사업’은 상인회 부재로 지원에서 소외된 골목상권 소상공인들을 지역경제를 주도하는 하나의 공동체로 조직화해 육성하는 사업으로, 민선 7기 경기도가 2019년부터 광역지자체 최초로 추진했다. 이 사업은 조직 구성부터 사업화에 이르기까지 1~3단계별 현장 밀착형 지원을 체계적으로 추진, 공동체가 현재 당면한 문제를 스스로 진단·해결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강화하는 게 특징이다. 우선 1단계에서는 상인회 등 ‘공동체’를 만드는 데 주력한다. 이를 위해 개별 소상공인 30개 점포를 하나로 묶어 골목상권 매니저를 배정해 상권분석 및 컨설팅, 상권 활성화 사업 등을 지원한다. 이어 2단계는 경영교육, 현장연수, 소규모 사업화 지원(공동마케팅, 공동시설 개선 등) 등을 지원해 1단계에서 조직화한 공동체가 지역 상권의 발전 주체로 커나갈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이 단계에서는 지역단체, 지역대학 등과 협업할 수 있는 ‘자율협업 공모사업’을 병행해 상인 공동체가 주민 등 지역의 다양한 주체들과 상생하고 협력할 기회도 제공한다.

‘골목상권 공동체 활성화 지원사업’은 1~3단계별 현장 밀착형 지원으로 공동체가 현재 당면한 문제를 스스로 진단·해결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강화하는 게 특징이다.  ⓒ 경기뉴스광장


마지막으로 3단계에서는 충분한 역량을 갖춘 상권 공동체를 대상으로 희망상권·노후상가 활성화 등 특성화 사업을 추진해 명실상부 지역경제 살리기를 주도할 주체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관계자는 “2019년 203개, 2020년 102개 등 지금까지 이 사업을 통해 총 305개의 신규 상권 공동체가 조직화했다”며 “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경제에 버팀목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사업대상은 1단계 신규 공동체 50개소, 2단계 공동체 성장 100개소 및 공동체 운영 150개소이다. 3단계는 2단계까지 완료한 공동체 중 공모를 통해 지원이 이뤄진다. 특히, 올해는 공모단계부터 사업계획서에 ‘비대면 판촉방안(온라인, SNS 등)’을 의무적으로 포함하도록 했다. 또 그동안 상권 공동체가 없거나 활성화되지 못한 지역을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해 소외되는 곳이 없도록 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공동체 단위 방역물품을 지원해 안심 상권을 조성하고,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북부센터의 ‘스마트 오픈 스튜디오’를 활용해 제품 사진 촬영 교육, 제품 상세 온라인 페이지 기획, 디자인 교육 등을 지원한다. 이 밖에도 골목상권 고객센터, 맞춤형 컨설팅 등 상권의 특성을 살려 집객 효과를 극대화하는 신규 사업들을 추진할 방침이다.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경기도형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지원센터’ 추진
이전글 경기도 코로나19 선제 전수검사…“집단감염 막았다”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