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경기도가 ‘상영도집’ 등 문화재 6건 신규 지정한 이유는?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04-14
상영도 놀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희귀 시문집 ‘상영도집’이 경기도 문화재로 새롭게 지정됐다. 경기도는 지난 8일 경기도문화재위원회를 열고 ‘상영도집’을 비롯해 수원 서호의 경관과 어우러져 아름다움을 자랑하는 정자인 ‘수원 항미정’ 등 6건을 경기도 문화재로 지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에 경기도 문화재로 지정된 6건은 ▲상영도집 ▲수원 항미정 ▲안성 봉덕사 아미타불회도 ▲안성 봉덕사 신중도 ▲파주 성재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 ▲하남 선법사 석조보살좌상 등이다. 도가 이 문화재들을 신규 지정한 이유는 무엇일까? 문화재별 의미와 지정 이유를 살펴봤다. ■ 상영도집-각 지역 역사와 관련 인물 내용 담긴 희귀본
상영도집  ⓒ 경기뉴스광장


상영도집은 조선 시대 상영도(觴詠圖) 놀이 이해·연구를 위한 귀중한 자료로 의왕 향토사료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상영도 놀이란 주요 관광지(명승지)가 적힌 놀이판을 활용해 가상으로 여행하듯 시문을 작성하는 유희다. 특히 이번 상영도집은 시문 작품 80편이 수록, 각 지역에 대한 역사와 관련 인물 등에 대한 내용이 담겨 희귀본으로 평가받는다. ■ 수원 항미정-1908년 순종 황제 방문 기록 등 가치 인정

수원 항미정  ⓒ 경기뉴스광장


수원 항미정은 1831년 지역 유수였던 박기수가 건립한 정자다. 최초 건립 시기에 대한 명확한 자료가 있으며 서호(수원시 팔달구 소재 저수지)의 경관과 어우러져 보존 상태도 우수하다. 건축·농업사적 가치뿐만 아니라 1908년 순종 황제가 융건릉 참배 시 방문했던 기록 등이 있어 역사적 가치도 인정받고 있다. ■ 안성 봉덕사 아미타불회도-다른 불화에서 볼 수 없는 특징 담겨 안성 봉덕사 아미타불회도는 전체적인 화면 구성에서 19세기 말 수도권지역에서 제작된 불화의 특징을 뚜렷하게 보여준다. 동시에 그림 아래쪽 양측에 사천왕상의 앉은 모습, 책을 넣는 상자인 책갑과 수박을 쥐고 있는 제자의 모습 등 다른 불화에서는 보이지 않는 특징이 담겼다. ■ 안성 봉덕사 신중도-새로운 인물 표현 등 다양한 기법 안성 봉덕사 신중도는 19~20세기 경기·서울지역에서 활동한 고산 축연이 화승(畵僧)으로 참여한 작품이다. 음영법 등 서양화의 화법을 적극적으로 사용한 점, 새로운 인물 표현, 그림 하단의 문양, 머리에 배꽃을 그린 인물, 발아래 연꽃 등 다양한 기법을 이용했다. ■ 파주 성재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우수한 17세기 불상

파주 성재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  ⓒ 경기뉴스광장


파주 성재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파평 윤씨 문중의 묘 수호를 위해 세워진 암자인 성재암에 봉안된 불상이다. 규모는 작지만 뛰어난 조각 수법, 길게 조성된 허리 부분, 옷 주름의 자연스러운 처리, 오른쪽 다리의 볼륨감 있는 조각 등 17세기 불상 중에서도 우수한 작품이라는 평이다. ■ 하남 선법사 석조보살좌상-경기도에서 흔하지 않은 경주불석

하남 선법사 석조보살좌상  ⓒ 경기뉴스광장


하남 선법사 석조보살좌상은 조선 후기 경기도에서는 흔하지 않은 경주불석(주로 경상도 지역 사찰)으로 만든 중형 규모의 보살상이다. 불석으로 조성한 상으로는 큰 편에 속한다. 전형적인 조선 시대 후반기(17~18세기) 불상으로 어깨선의 의상 표현, 결가부좌한 다리의 폭과 높이에서 드러나는 양감 등 완성도 측면에서 문화재 지정 가치를 인정받았다. 이정식 경기도 문화유산과장은 “국내에서 희귀하게 남아있는 상영도 놀이 관련 자료인 상영도집, 서호 풍경과 어우러지는 아름다운 정자인 수원 항미정, 우리 문화 속에 담겨 있는 뛰어난 불교문화를 엿볼 수 있는 불상·불화 등 새롭게 지정된 문화재들은 선조들의 예술성과 문화를 보여주는 소중한 자료로 가치가 높다”고 말했다.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다큐멘터리로 기억하는 ‘세월호 참사’
이전글 꿈꾸는 10대, 여러분의 꿈을 응원합니다! 경기도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사업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