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문화시설 이용하고, 지역화폐 환급받고, 골목상권 살리고!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03-30
경기도가 박물관, 공연장 등 도내 문화시설 28개소 이용료의 일부를 지역화폐로 환급해 주는 ‘2021년 문화의 날, 지역화폐 드림’ 사업을 3월 29일부터 실시한다. ‘경기도 문화의 날, 지역화폐 드림사업’ 홍보 리플렛.  ⓒ 경기뉴스광장


“‘경기도 문화의 날’에 지역화폐 쓰시면, 일부 이용료가 환급됩니다!” 경기도가 박물관, 공연장 등 도내 문화시설 28개소 이용료의 일부를 지역화폐로 환급해 주는 ‘2021년 문화의 날, 지역화폐 드림’ 사업을 3월 29일부터 실시한다. 30일 경기도에 따르면, 매월 마지막 수요일이 포함된 (‘경기도 문화의 날’)주간과 어린이날, 추석이 포함된 주간에 해당 시설을 이용하면 이용료의 일부를 지역화폐로 환급받을 수 있다. 김종석 경기도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지친 도민들이 문화예술을 접하면서 행복지수를 높이기를 기대한다”며 “문화를 즐길수록 골목상권까지 살릴 수 있는 경기도 문화의 날, 지역화폐 드림 사업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용액 1만 원 이상은 5,000원, 3만 원 이상은 1만원, 5만 원 이상은 1만5,000원이 환급된다. 여러 명의 비용을 1인이 결제 시 합계 금액으로 환급된다. 환급받은 지역화폐는 3개월 이내 사용해야 하고, 문화시설이 소재한 시·군의 지역화폐로 충전하는 만큼 해당 지역 골목상권 활성화 효과도 기대된다. 경기도는 신규 발급 형태로만 환급했던 지역화폐를 기존 소지 카드에도 환급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예를 들어, 지난해는 수원페이 카드를 사용하고 있어도 환급을 받으려면 신규 수원페이 카드를 만들어야 했지만 올해부터는 기존 사용 카드에 충전이 된다. 또한 정률 환급(20%)에서 이용료 구간별 정액 환급으로 전환해 환급액을 높였으며, 도민의 달라진 여가문화 선호를 반영해 환급 시설에 공공 야영장을 추가했다. 도내 박물관·미술관, 공공 공연장, 공공 야영장 참여 시설은 경기문화재단 홈페이지(https://www.ggcf.kr/archives/136887)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도는 3월 29일부터 4월 7일까지 2차 공모로 참여시설을 추가 모집할 계획이며, 경기문화재단 홈페이지 공고문(https://www.ggcf.kr/archives/136876)을 참조해 해당 시·군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한편, 경기도는 ‘경기도 문화의 날’ 활성화와 도내 문화향유 격차 해소를 위해 ‘경기도 문화의 날’ 문화예술 프로그램 지원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1차 공모 결과 수원시 ‘4인 4색, 힐링 인문학’ 등 23개 시·군의 57개 문화예술 프로그램이 선정됐다. 3월 26일부터 4월 16일까지 2차 공모를 추진 중이다.

‘2021년 문화의 날, 지역화폐 드림’ 사업 참여 문화시설 목록.  ⓒ 경기뉴스광장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지역건설산업 활성화 방안 마련 정담회 개최
이전글 경기도 어린이 건강과일 공급 사업 만족 ‘90.9%’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