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경기도 산재 예방 종합 대책 추진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03-30
[앵커멘트] 끼임, 추락 등 산업 현장 사고로 하루 평균 5명의 노동자들이 집으로 돌아가지 못한다고 합니다. 경기도가 노동자들이 안전하게 집으로 돌아갈 수 있는 산업 환경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내놨습니다. 경기 GTV 김태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안전한 노동환경을 만들어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해 경기도가 종합 대책을 내놨습니다. [싱크] 김규식/경기도 노동국장 “경기도는 안전한 노동일터 조성을 위해 노동정책 비전을 노동이 존중 받는 공정한 세상으로 수립하고, 경기도가 당면한 산업재해 예방대책의 안정적 시행을 위한 5가지의 추진전략을 펼쳐 나가겠습니다.” 우선 10개 시군에서 활동하던 노동안전지킴이를 31개 시군 전역으로 확대합니다. 104명의 노동안전지킴이가 건설 현장, 제조, 물류 업체 등의 안전 시설을 늘립니다. 또한, 도내 6개 지역에 운영 중인 ‘지역건축 안전센터’를 31개 시군으로 확대합니다. 지역건축안전센터는 건물과 공사장에서의 안전사고를 예방합니다. 더 촘촘한 산업 안전망을 위해 중앙정부가 지닌 근로감독 권한의 공유를 추진합니다. [싱크] 김규식/경기도 노동국장 “도민의 안전과 생명보호를 위한 지방정부의 근로감독 권한 공유는 이제 중앙과 지방이 함께 손잡고 나아가야 할 방향입니다. “ 경기도는 앞으로 고용노동부와 노동단체 등과 산재 예방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나갈 예정입니다. 경기 GTV 김태희입니다. [자막] 1. ‘경기도 산업재해 예방 성과 및 향후 추진방향’ 브리핑/ 북부청사(3월 30일) 2. 김규식 /경기도 노동국장 3. 노동안전지킴이 31개 시군 전역으로 확대 4. 지역건축 안전센터 31개 시군으로 확대 5. 지방 정부 근로 감독 권한 공유 추진 6. 김규식/ 경기도 노동국장 7. 촬영, 편집/ 김광석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경기도 코로나19 긴급대응단 3월 30일 기자회견
이전글 경기도 어린이 건강과일 공급 사업 만족 ‘90.9%’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