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경기도민기자단] 식탁 위의 봄! 봄철 별미 쑥버무리 & 진달래 화전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04-07
[경기도민기자단] 식탁 위의 봄! 봄철 별미 쑥버무리 & 진달래 화전  ⓒ 경기도블로그


[이운정 기자] 바야흐로 꽃들이 만발하는 따스한 봄이 왔습니다. 코로나19 로 실내생활이 계속되어 몸과 마음이 많이 지쳐있을 텐데요. 이럴 때 집에서 간편하게 만들어 먹을 수 있는 봄 냄새 가득한 봄철 별미 떡 두 가지 함께 만들며 심신을 달래 볼까요? 쑥 향기가 듬뿍! 쑥버무리 만들기

[경기도민기자단] 식탁 위의 봄! 봄철 별미 쑥버무리 & 진달래 화전  ⓒ 경기도블로그


쑥버무리는 예로부터 조상님들이 만들어 먹던 우리나라 전통 떡입니다. 쑥은 봄철에 흔히 만날 수 있는 건강식품으로 성인병을 예방하고 노화를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또, 쑥의 독특한 향기를 풍기는 치네올 성분은 대장균이나 디프테리아균을 죽이고 소화액 분비를 높여 소화도 잘되게 해주는 효능을 갖고 있습니다. 재료준비 : 쑥, 멥쌀가루 한 되

[경기도민기자단] 식탁 위의 봄! 봄철 별미 쑥버무리 & 진달래 화전  ⓒ 경기도블로그


조리방법

[경기도민기자단] 식탁 위의 봄! 봄철 별미 쑥버무리 & 진달래 화전  ⓒ 경기도블로그


① 쑥은 흐르는 물에 깨끗하게 씻어 물기를 빼줍니다 ② 커다란 볼에 쑥을 넣고 멥쌀가루를 골고루 섞어 줍니다 ③ 찜 솥에 멥쌀가루가 묻은 쑥을 살살 넣고 면보자기를 덮어 줍니다. ④ 김이 모락모락 날 때까지 센 불에 찝니다 기호에 따라 멥쌀가루에 소금과 설탕을 첨가해도 되는데 보통 방앗간에서 멥쌀가루를 빻을 때 소금을 넣어 주기 때문에 따로 첨가하지는 않아도 됩니다. 찜 솥에 올리고 면보자기를 덮어주는 이유는 뚜껑에 맺히는 물방울이 떡에 떨어져 질척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경기도민기자단] 식탁 위의 봄! 봄철 별미 쑥버무리 & 진달래 화전  ⓒ 경기도블로그


어릴 적 할머니가 만들어 주시던 방법 그대로 만들어 봤는데요. 비교적 만드는 방법이 간단해서 누구나 집에서 쑥과 멥쌀가루만 있으면 쉽게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 봄이 입안에 가득! 진달래화전 만들기 봄철 산을 온통 진분홍으로 물들이는 진달래는 우리나라가 원산지이며 4월 초에 잎보다 먼저 꽃이 피어납니다. 독이 없고 어혈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어 ‘참꽃’이라고도 불리는데요. ​ 고혈압이나 생리불순, 기침에도 좋아 약으로 만들어 먹기도 하며 특히 먹기도 좋고 보기도 좋게 진달래 화전으로 즐깁니다. ​ 재료준비 : 진달래 꽃잎, 멥쌀가루, 뜨거운 물, 꿀

[경기도민기자단] 식탁 위의 봄! 봄철 별미 쑥버무리 & 진달래 화전  ⓒ 경기도블로그


조리방법

[경기도민기자단] 식탁 위의 봄! 봄철 별미 쑥버무리 & 진달래 화전  ⓒ 경기도블로그




[경기도민기자단] 식탁 위의 봄! 봄철 별미 쑥버무리 & 진달래 화전  ⓒ 경기도블로그


① 진달래를 흐르는 물에 꽃잎이 뭉개지지 않게 살살 씻어 준다. ② 멥쌀가루에 뜨거운 물을 넣어 익반죽한다. ③ 익반죽한 반죽을 손으로 동그랗게 만들어 납작하게 눌러준다. ④ 달궈진 프라이팬에 동그란 반죽을 넣고 진달래를 올려 익힌다.

[경기도민기자단] 식탁 위의 봄! 봄철 별미 쑥버무리 & 진달래 화전  ⓒ 경기도블로그


진달래화전을 만들 때 꽃 수술 부위의 화분은 손으로 살짝 떼어내고 꽃잎은 물로 깨끗하게 세척해 주는 게 좋습니다.​ 프라이팬에서 익히면서 양쪽으로 뒤집어 주면 진달래 꽃잎이 불에 닿아 누렇게 되는데요. ​ 화사한 진달래 색깔을 그대로 느끼고 싶다면 동글납작한 익반죽을 먼저 앞뒤로 노릇하게 익힌 후 진달래 꽃잎이 뭉개지지 않도록 살짝 올려 눌러 주면 됩니다. 꿀과 국화차를 곁들여 먹으면 더욱 맛있게 먹을 수 있습니다.​ 진달래꽃의 꽃말은 사랑의 기쁨입니다. 입맛도 살릴 수 있고 건강에도 좋은 제철 식자재 쑥과 진달래꽃 이용해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봄철 별미 쑥버무리와 진달래화전 만들어 보세요. ​*위 내용은 경기도민기자단이 작성한 글로, 경기도의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2021 경기도민기자단 이운정 기자  ⓒ 경기도블로그


[출처:경기도블로그]
[작성자:2021 경기도민기자단 이운정 기자]

원문보러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경기도가 선정한 올해 관광테마골목 7곳 어디?
이전글 승마 체험, 몸과 마음이 쑥쑥!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