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세계 최대 기본소득 공론의 장..‘기본소득 국제컨퍼런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04-29
[앵커멘트] 코로나19를 겪으며 기본소득에 대한 논의가 국가 차원에서도 자연스레 시작됐습니다. 2021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에선 국제컨퍼런스가 열려 다양한 각도의 논의가 오고갔습니다. 컨퍼런스 첫날 최지현 기자가 현장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2021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 국제컨퍼런스가 열렸습니다. `코로나 대재난에서 새로운 대전환으로, 기본소득`이란 주제입니다. 그야말로 세계 최대 기본소득 공론의 장. 전 세계 68명의 석학들이 온오프라인에서 함께 했습니다. 경제와 기본소득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 국내외 경제연구기관, 전문가, 활동가 등이 다양한 사례 공유와 기본소득에 대한 가치에 대해 다뤘는데요. 시작은 지난 2019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아브히지트 바네르지의 기조연설로 열었습니다. [싱크]아브히지트 바네르지/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글로벌 팬데믹 그리고 국제적인 복지 프로그램 회복의 관점에서 이러한 국제컨퍼런스 개최는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저희가 본 결과 프로그램을 통해 현금 지급을 받은 사람들이 실제로 노동시간당 생산성은 더 높았습니다. 사람들의 만족도가 높아졌고, 그 결과 생산성이 높아진 거죠.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에 기본소득의 확산이나 논의가 적절하다는 의견과 기본소득에 대한 노동력 감소 등의 우려에 대한 반증을 제시했습니다.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의장의 `세계 기본소득 운동으로부터 얻는 교훈`에 대한 특별 연설도 있었습니다. [싱크]사라트 다발라/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의장 사실 기본소득은 글로벌 아이디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게 글로벌 아이디어이기는 하지만 실제로 맥락별로 과제가 상이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밖에 종교 관점에서 바라본 기본소득이 처음으로 논의됐고. [싱크]정미현/연세대 연합신학대학원 교수 기본소득으로 우리가 모든 것을 다 이룰 수는 없습니다. 그렇지만 지금까지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노동, 그리고 그것에 대한 보상이 얼마나 불공정한가라는 것을 보게 하고 또 인식에 전환을 가져오는 그런 효과를 가져다줄 수 있다고 보겠습니다. 기본소득의 입법화 과정의 현실과 전망에 대한 내용도 다뤄졌습니다. [싱크]소병훈/국회의원 현재 21대 국회에서 기본소득은 당을 초월해 뜨거운 관심사로 부상했습니다. 기본소득에 대한 관심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재난기본소득은 자영업자와 골목상권에 소중한 마중물이 돼 코로나19로 얼어붙은 경기를 녹였습니다. 개막 첫날은 발표와 연설, 토론 등이 온오프라인에서 활발하게 이뤄졌습니다. 국제컨퍼런스는 이틀 일정으로 기본소득 박람회 공식홈페이지에서 누구나 시청할 수 있도록 실시간 온라인 중계로 진행됐습니다. 경기GTV 최지현입니다. 영상취재: 경기도청촬영팀, 영상편집: 김정환 [자막] 1. 2021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 국제컨퍼런스/킨텍스(4월28일) 2. 전 세계 68명의 석학 참여 3. [싱크]아브히지트 바네르지/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4. [싱크]사라트 다발라/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의장 5. [싱크]정미현/연세대 연합신학대학원 교수 6. [싱크]소병훈/국회의원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경기도 개별주택 공시가격 지난해보다 5.92% 상승
이전글 경기도, 2021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 개최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