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깔창생리대’ 이제 그만!”…경기도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보편 지원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07-01
5년 전인 지난 2016년, 저소득층 여성 청소년이 생리대를 살 돈이 없어 신발 깔창과 휴지를 쓴다는 이른바 ‘깔창생리대’ 이슈가 전국을 흔들었다. 그렇게 ‘생리빈곤’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정부는 그해부터 생계·의료급여 수급 청소년, 시설 이용 청소년 중 만 11~18세 여성 청소년을 대상으로 지원 사업을 시작했다. 하지만 취약계층 청소년에게만 생리대를 선별 지원하는 것은 생리빈곤 문제 해결에 역부족이었다. 지원받는 청소년의 의사와 상관없이 빈곤이 드러나는 ‘낙인효과’와 더불어 생리대 살 형편이 안 되지만 다양한 이유로 정부의 무상 생리대 지원사업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생리빈곤’의 사각지대가 생겼다. 이에 경기도는 올해 전국 광역 지방정부 최초로 여성청소년에게 생리용품을 보편 지원하기로 했다. 저소득층 청소년에게만 생리용품이 지원되어야 한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여성청소년이라면 누구나 생리 걱정 없이 일상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 경기도가 ‘여성청소년 기본생리용품 보편 지원’ 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다.
경기도는 올해부터 전국 광역 지방정부 최초로 여성청소년에게 생리용품을 보편 지원하는 경기도 여성청소년 기본 생리용품 보편지급 사업을 추진한다.  ⓒ 경기도청


■ 여성청소년 기본생리용품 보편 지원…7월 1일부터 신청 도는 7월 1일부터 도내 14개 시·군 만 11~18세 여성청소년에게 1인당 월 1만1,500원의 생리용품 구입비를 지급하는 ‘여성청소년 기본생리용품 보편 지원’ 신청을 받는다. 경기도의 여성청소년 기본생리용품 보편 지원 사업에 참여하는 시·군은 안산, 군포, 광주, 김포, 이천, 안성, 하남, 여주, 양평, 구리, 포천, 동두천, 가평, 연천 총 14개이다. 사업 참여 시·군에 거주하는 2003년 1월 1일~2010년 12월 31일 출생인 여성청소년(약 10만9,000명)이면 누구나 기본생리용품 구입비 지원을 신청할 수 있다. 다음은 경기도 여성청소년 기본생리용품 보편 지원 사업 관련 일문일답이다.
Q. 기본생리용품 지원은 누가 받을 수 있나?
A. 신청 기준일(2021.7.1) 현재 해당 시·군(안산, 김포, 광주, 군포, 하남, 이천, 구리, 안성, 포천, 양평, 여주, 동두천, 가평, 연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만 11~18세(2021년 지원대상: 2003.1.1.~2010.12.31. 출생) 여성 청소년이 대상이다.
Q. 기본생리용품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는 무엇인가?
A. 신청 기준일(7월1일)에 해당 시·군 내 주민등록이 되어 있지 않았다면 신청이 불가하다. 또 현재 여성가족부 국비 사업 지원금을 받는 여성청소년도 지원에서 제외된다. 현재 여성가족부는 기초생활수급권자, 법정 차상위계층, 한부모 가족 가구의 만 11~18세 여성청소년에게 생리용품 바우처(월 1만1,500원, 국민행복카드)를 선별 지원하고 있다. 단, 국비사업 대상자 중 미신청자의 경우 경기도 지원금(보편 지원)을 신청할 수 있다.
Q. 시설에서 거주하는 청소년도 지원대상이 되나?
A. 신청자격에 해당하는 청소년은 신청 가능하다. 청소년 본인 또는 청소년을 실질적으로 양육하는 사회복지시설장, 청소년복지시설장, 위탁가정의 위탁모 등이 대리 신청할 수 있다.
Q. 얼마를 지원해 주나?
A. 지원대상자는 1인당 월 1만1,500원씩 6개월간 총 6만9,000원의 기본생리용품 구입비를 카드나 모바일 형태의 경기지역화폐로 일괄 지급받는다.
Q. 기본생리용품 지원은 어떻게 신청하나?
A. 7월 1일부터 14일까지 인터넷 또는 모바일로 신청 사이트(https://voucher.konacard.co.kr/41/3)에 접속해 휴대폰 본인 인증을 절차를 걸쳐 신청할 수 있다. 단, 신청인 명의의 휴대폰 본인인증이 가능한 경우에만 온라인 신청이 가능하다. 만 14세 미만 여성청소년은 청소년 본인이 아닌 보호자가 신청해야 한다. 신청 기간을 놓치거나 휴대폰 번호 인증이 어려우면 7월 1일부터 12월 10일까지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방문 신청해도 된다. 방문 신청할 경우 신분증을 지참하고 주소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해 ‘여성청소년 기본생리용품 보편지원사업 신청서’를 작성해 제출하면 된다. 대리인이 신청하는 경우에는 대리인 자격 증명 서류를 첨부해야 한다. 14개 시·군 중 지역화폐 운영 방식이 다른 김포시는 별도 홈페이지를 이용하고, 지난해부터 생리대 지원 사업을 시행한 여주시는 기존 방식대로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만 신청받는다.

경기도 여성청소년 기본 생리용품 보편지급 신청기간.  ⓒ 경기도청


Q. 주민등록지가 아닌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도 신청 가능한가?
A. 기본적으로 주민등록지가 아닌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는 신청이 불가능하다. 다만, 시설아동, 신변보호가 필요한 가정폭력·성폭력 피해자시설 입소자의 경우 주민등록지가 아닌 보호시설 소재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 가능하다. 사업시행 시·군 내 위치한 시설이 아닌 경우에는 신청할 수 없다.
Q. 대리인 신청은 누가 할 수 있나?
A. 부모님, 배우자, 가족(8촌 이내 혈족, 4촌 이내 인척), 후견인, 법정대리인이 대리 신청할 수 있다. 또 부모님, 가족 등 대리 신청이 어려울 경우, 청소년의 양육을 주로 담당하는 사회복지시설장, 청소년복지시설장, 위탁가정의 위탁모 등도 대리 신청이 가능하다. 대리 신청 시 청소년과의 관계를 입증하는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기본증명서 ▲가정위탁보호확인서 ▲시설아동증빙서류, 후견인 증명서 등 관계증빙서류가 필요하다. 단, 온라인신청은 대상자 본인, 대상자와 세대를 같이 하는 부모·형제·자매·배우자만 신청할 수 있다.
Q. 한 가구에 여성청소년이 여러 명 있다면 카드를 각각 지원받을 수 있나?
A. 경기지역화폐 카드는 신청인 기준으로 지급한다. 즉, 한 가구에 지원 대상 청소년이 여러 명인 경우 신청인 명의 카드 하나에 신청한 청소년 인원수만큼의 지원금이 들어간다.
Q. 기존에 가지고 있는 지역화폐 카드로 지원금을 받을 수 있나?
A. 지원금은 생리용품만 구매할 수 있는 정책발행 지역화폐로, 기존에 가지고 있는 지역화폐와 별개로 다시 발급받아야 한다.
Q. 지원금은 언제 받을 수 있나?
A. 7월 27일부터 순차적으로 지원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Q. 지원금 사용기간은 어떻게 되나?
A. 지급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사용 가능하다. 사용기간 종료 후 잔액이 남아 있더라도 지원금액은 자동 소멸하니, 반드시 사용기간 내 사용해야 한다.
Q. 지원금 사용 잔액은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
A. 경기지역화폐앱 또는 전화로 확인 가능하다. 문의:1899-7997(경기지역화폐 고객센터)
Q. 기본생리용품 구매가 가능한 가맹점은 어디인가?
A. CU, GS25, 세븐일레븐 편의점 중 경기지역화폐 가맹점에서 구매가 가능하다. 경기지역화폐 가맹점은 경기지역화폐 공식 홈페이지(www.gmoney.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한강 잇는 토크콘서트 성황리 개최
이전글 [경기도 지식(GSEEK)①] 코로나19 관련 강좌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