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보도자료상세조회 테이블
경기도민, 도보로 10분 이내에 있는 편의시설에 대해 만족도 높아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8-10-28

주민 삶의 질을 증진하기 위해 주택, 편의시설, 교통환경 등의 물리적 환경 이외에 주민들의 유대관계, 사회적 활동 등의 비물리적 환경을 포함한 융합적인 정주환경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28일 물리적 및 사회적 정주환경과 경기도민의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정주환경 개선의 필요성과 정책 방향을 제시한 경기도민 삶의 질­마을단위 정주환경 개선보고서를 발표했다.

경기연구원은 201833일에서 416일까지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15세 이상 만 79세 이하 도민 7,125가구를 대상으로 ‘2018년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도민들이 보는 물리적 편의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4점 만점 기준 생활용품 구매(3.11), 근린시설(3.00), 의료기관(2.99), 공공기관(2.94), 복지시설(2.92), 문화시설(2.86)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보 10분 이내에 있는 편의시설에 대한 평균 만족도는 90.8%인 반면 도보 10분 이상 걸리는 곳에 있는 편의시설의 평균 만족도는 82.4%, 10분 이내의 위치에 편의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주민들의 편의성과 사회적 활동에 중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5점 만점의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조사에서는 경기도민의 평균은 3.49인데 반해 운동모임에 참여(3.67), 지역단체 활동(3.74), 사회단체 활동(3.77) 등과 같이 지역사회 활동에 참여하는 주민의 삶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4점 만점의 지역소속감조사에서 경기도(2.79), (2.78), (2.88), 마을(3.00) 순으로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작은 단위의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소속감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황금회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편의시설, 교통환경, 지역사회활동, 이웃과의 유대관계 등의 정주환경이 주민 삶의 만족도 지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사회적 활동과 같은 비물리적 정주환경을 감안한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주환경의 개선 방향으로는 사회적 자본을 활용하는 소단위의 유기적 공동체 조성 주민이 모이고 상호작용하는 사회적 공간 조성 마을 편의시설과 연결되는 주요 보행동선의 정비 편의시설 및 교통환경 개선사업에 주민참여 등을 제시했다.

황 연구위원은 물리적 정주환경 개선을 비롯해 주민의 건강, 사회적 활동 및 이웃관계를 강화하고, 이를 통해 지역공동체를 안정시키고 정주의식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경기도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마을 단위에서 여가, 건강활동, 생활안전, 환경 등의 생활형 SOC 공급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이전글다음글
다음글 도, 공공부문 노동자 휴게여건 개선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이전글 6만9천명 방문한 지페어 코리아. 20억6천만 달러 수출상담 기록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