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보도자료상세조회 테이블
道보건환경연구원, 김장철 김장재료 안전성 집중검사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8-11-22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하 연구원)은 무, 배추, 고춧가루 등 김장재료에 대한 유해 성분 정밀검사결과 부적합 판정을 받은 3건을 압류 폐기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원은 지난달 29일부터 1119일까지 20일간 도내 농수산물도매시장, 대형마트, 재래시장, 백화점 등에서 무, 배추, 고춧가루, 소금, 젓갈류 등 김장재료 353건을 수거해 잔류농약, 중금속, 방사능, 유해미생물 등 유해 성분 정밀 검사를 실시했다.

검사 결과 알타리무 잎과 갓, 액젓 등 3개 품목에서 부적합 판정이 나왔다.

우선, A공영도매시장에서 수거한 알타리 무 잎에서는 기준치(0.05mg/kg)8배에 달하는 0.40mg/kg의 살충제성분(클로르피리포스)이 검출됐으며, B대형마트에서 수거한 에서도 기준치(0.05mg/kg)8배가 넘는 0.44mg/kg의 살충제성분(다이아지논)이 검출됐다.

이와 함께 C재래시장의 액젓의 경우 0.9%의 총질소성분을 함유, 총질소함유 기준치(1.0%)10% 미달돼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이에 연구원은 부적합으로 확인된 농산물을 압류, 폐기하는 한편 해당 시군에 행정조치를 취하도록 통보했다.

또한 김장철이 마무리되는 다음 달까지 김장재료 집중수거 검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할 방침이다.

윤미혜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장은 김치는 세계적인 먹거리이자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음식인 만큼 안전성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라며 계절적으로 소비가 많은 식품의 유해물질 검사를 통해 식품안전을 확보하는 한편, 철저한 사전 안전 관리를 통해 믿고 먹을 수 있는 식품이 도민의 밥상에 오를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총질소는 아미노산 함유량을 나타내는 척도로 액젓의 주원료인 어류 사용량을 알 수 있으며, 아미노산은 음식에 감칠맛을 돋우는 성분으로 액젓의 맛과 영양을 결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개선 방안은? 23일 화성서 토론회 개최
이전글 이재명, ‘노동이 존중받는 경기도’ 첫 단추 … ‘경기도노동권익센터’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