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보도자료상세조회 테이블
경기도, 안전사각지대 번지점프, 집라인 안전점검 가이드라인 마련․배포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4-05-24

경기도가 지난 2월 안성 실내 번지점프 사업장에서 발생한 안전사고와 관련해 유사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번지점프, 집라인 시설에 대한 ‘경기도 안전점검 가이드라인’을 마련․배포했다고 24일 밝혔다.

 

번지점프, 집라인은 익스트림 레저시설로 철저한 안전관리가 필요하지만, 현재 관련 법령 부재로 인해 안전관리 부실에 따른 안전사고 등이 우려된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있었다.

 

이에 경기도는 안전관리실 주관으로 번지점프 및 집라인 시설에 대해 시군 및 관리주체 등과 합동으로 도내 28개소(번지점프 9개 소, 집라인 19개소)에 대한 현장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그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경기도 안전점검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각 시군과 관리주체에 배포했다.

 

관광진흥법상 유원시설 검사기준, 국내외 안전관리 체계 연구보고서, 산림레포츠시설 조성 운영 매뉴얼 등을 참고해 시설 설치기준, 안전점검 종류 및 시기, 점검 항목 등의 내용을 담아 전문가 자문을 거쳐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가이드라인 주요 내용은 ▲와이어로프, 집라인 제동장치, 추락방지 안전망 등 시설 설치기준 ▲하네스, 번지코드, 카라비너(암벽등반에 사용하는 로프 연결용 금속 고리) 등 안전장비 교체시기 ▲일상점검, 정기점검 등 안전점검 종류 및 실시시기 등을 구체적으로 담았고 점검 시 체크해야하는 항목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위험요소를 빠짐없이 점검할 수 있도록 했다.

 

구체적으로, 집라인 제동장치 설치기준의 경우 탑승객이 도착지 진입 속력이 10km/h 이상인 경우, 기본브레이크에 비상브레이크 시스템을 추가로 설치해야 하며, 카라비너 경우 크랙, 마모, 부식 등 손상 예시를 사진으로 제시해 교체 시기를 쉽게 파악할수 있게 했다.

 

김능식 경기도 안전관리실장은 “번지점프, 집라인 등 익스트림 레저에 대한 관련 안전관리기준 법령이 마련되기 전까지 경기도 안전점검 가이드라인을 활용해 안전관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경기도 안전점검 가이드라인’은 시설 운영 주체 외에 관심 있는 도민 누구나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경기도청 누리집(www.gg.go.kr) 분야별 정보에 게시할 예정이다.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성폭력·가정폭력 등 폭력예방교육 무료 운영
이전글 경기도, 개인이 신축한 건축물 과세표준 누락 기획조사 479건 적발. 지방세 30억 추징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