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미세먼지 대책 실효 거두려면 충남과도 협력해야”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8-07-06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6일 오전 서울 중구 컨퍼런스하우스 달개비에서 김은경 환경부 장관,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박남춘 인천광역시장과 미세먼지 대책 마련을 위한 ‘수도권 광역자치단체장 간담회’를 열고 공동 정책과제를 발표했다. 이재명 지사가 김은경 환경부 장관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미세먼지 종합대책이 실효를 거두려면 수도권 지자체뿐만 아니라 인접해 있는 충남과도 공동 협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영세사업장이 밀집된 경기도 특성에 맞는 미세먼지 대책이 필요하다며 정부 지원을 요청했다. 이재명 지사는 6일 오전 서울 중구 컨퍼런스하우스 달개비에서 김은경 환경부 장관,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박남춘 인천광역시장과 미세먼지 대책 마련을 위한 ‘수도권 광역자치단체장 간담회’를 열고 공동 정책과제를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이 지사는 “충남지역 화력발전소가 경기 남부지역 대기에 영향을 미친다”면서 “다음 (회의)에는 충남도 함께했으면 한다”고 미세먼지 정책협의체 확대를 제안했다. 이 지사는 이어 “미세먼지 정책 수립에서 중앙정부와 서울시는 경유차 줄이기, 차량 대기가스에 관심이 있는데 영세사업장이 밀집된 경기도는 연소시설 문제가 심각하다”며 “이 부분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크지 않아 독자적 해결이 쉽지 않다. 경기도 특성에 맞는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지사는 이날 대책회의에 대해 “미세먼지의 유해성이 커지면서 국민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며 “환경부와 경기, 서울, 인천이 나서서 공동대책을 추진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신속하게 가시적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재명 지사는 “미세먼지 정책 수립에서 중앙정부와 서울시는 경유차 줄이기, 차량 대기가스에 관심이 있는데 영세사업장이 밀집된 경기도는 연소시설 문제가 심각하다”며 정부의 지원을 요청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환경부와 3개 시·도는 미세먼지 해결을 최우선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김은경 환경부장관은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서는 에너지, 교통, 산업, 생활방식 등 사회 전반적인 구조를 개편해야 한다”며 “오늘 환경부와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가 함께 미세먼지를 해결하기 위해 모인 만큼 앞으로도 유기적인 협력을 하고 타 도에 모범이 돼 이 움직임이 전국적으로 퍼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원순 서울특별시장은 “오늘 이 자리가 환경부와 경기도, 인천시와 함께 미세먼지 해결을 논의하는 첫 단계인 만큼 일회성 모임이 아닌 지속적이고 상시적인 모임으로 자리잡길 바란다. 수도권 시민들에게 맑은 하늘을 되찾아 줄 때까지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남춘 인천광역시장도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수도권매립지 문제, 한강 수질 관리 등 수도권 시민들의 고민거리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넓은 관점에서 문제를 풀어나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재명 지사가 환경부 장관 및 광역지자체장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 환경부와 3개 시·도는 미세먼지 해결을 최우선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4개 기관은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환경부장관-광역자치단체장 회의를 반기별로 갖고, 매월 국장급 회의에서 주요 환경 현안에 대해 논의하기로 했다. 한편, 환경부와 3개 시·도는 이날 수도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의 미세먼지 저감 목표를 2021년 20㎍/㎥에서 2022년 15~18㎍/㎥으로 상향하는 것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는 지난해 9월 정부의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이 시행되고 올해 3월 미세먼지 환경 기준이 강화(연평균 25㎍/㎥ → 15㎍/㎥)된 것을 고려한 것이다. 이 밖에도 환경부와 3개 시·도는 경유 가격을 점진적으로 휘발유 가격과 동등한 수준으로 조정하고, 노후경유차 조기폐차를 위한 국고보조금 증액, 미세먼지 특별법 조속 제정, 유럽 수준의 장기적인 내연기관차 퇴출선언을 검토하기로 했다.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인수위, 경기도형 시민참여 모델 구축 구체화
이전글 道 일자리재단-LH-대한노인회 일자리 창출 MOU 체결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