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길어지는 폭염..농가 무더위와 사투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8-07-31
[앵커멘트] 유례없는 폭염에 농작물도 말라가고 있습니다. 상황은 8월 중순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전문가들은 피해를 줄이기 위해선 온도 조절이 관건이라는 설명입니다. 구체적인 피해 예방법을 한선지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포천에 있는 한 인삼밭. 태양 빛에 색 바랜 이파리가 힘없이 축 처졌고, 땅은 공사판 모래처럼 바짝 메말랐습니다. 9월 중순이 재배 철인 인삼은 지금이 한창 클 시기인데, 무더위에 기진맥진. 생산량은 절반이나 떨어진 상태입니다. 농가는 평소보다 물양을 두 배로 늘려 연신 물 뿌리기 바쁩니다. PIP [인터뷰] 유경준 / 인삼재배농가 “20여 년 농사지으면서 이렇게까지 더워서 고생해보는 건 처음이에요. 수확량을 늘려보려고 애는 쓰는데∙∙∙” 사과는 올봄 늦추위에 이은 폭염까지, 엎친 데 덮친 격입니다. 직사광선에 사과가 벌겋게 타서 바닥에 떨어지는 바람에 한 나무에 120개씩 달려야 할 열매는 현재 반도 채 안 보입니다. 남아 있는 거라도 살려보려 농약 치는 살수차로 물을 뿌리기도 하고. 환기 팬을 설치해 온도를 떨어뜨리는 등 말 그대로 농가는 더위와 사투를 벌이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동희 / 사과재배농가 “남아 있는 과일이라도 수확기까지 잘 끌고 가야 하는데 폭염이 계속되니까 저희는 나름대로 강구할 수 있는 방법들은 다 강구해서 필사적으로 진짜∙∙∙” 작물이 자라는 이맘때 폭염이 이어지면서 더 큰 피해가 예상됩니다. 경기도는 8월 중순까지를 고비로 보고 있습니다. 한낮 온도는 30도 밑으로, 열대야가 있는 밤 중에는 25도 아래로 끌어내리는 등 온도 조절을 당부했습니다. [인터뷰] 한재수 / 경기도농업기술원 원예축산기술팀장 “노지 같은 경우 관수를 충분히 해주고 미세살수시설을 활용해서 온도를 떨어뜨려 주는 게 필요하고 하우스재배농가 같은 경우도 마찬가지로 환기 팬을 이용해서 공기 순환을 자주 해주고∙∙∙” 야외에 장시간 노출되는 밭작물과 과수는 스프링클러나 안개분무시설 등을 이용하면 습도가 유지돼 최대 5도가량 온도를 낮출 수 있고. 비닐하우스 등 실내 농작물은 차광막을 설치해 내리쬐는 태양을 막아주는 게 좋습니다. 경기도는 관련 시설을 확대 지원하는 방향을 검토 중입니다. 경기GTV 한선지입니다. 영상취재 : 손병희 , 영상편집 : 김정환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8월 ‘실속 있는 여름휴가’ 청년 복지포인트로 즐기자~
이전글 “우리 동네 유행 감염병, 클릭하면 多 나온다!”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