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道 안산 풍도 등 인공어초사업에 20억 투입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8-10-15
경기도가 수산자원 증대를 통한 어촌의 안정적 경영을 위해 올해 20억 원의 예산을 들여 안산과 화성시 5곳에 16ha 규모의 인공어초를 설치하고 있다. 경기도가 올해 20억 원의 예산을 들여 안산 풍도와 화성 도리도 등 도내 5곳에 16ha 규모의 인공어초 조성에 나섰다. 도는 수산자원 증대를 통한 어촌의 안정적 경영을 위해 안산 풍도와 화성 도리도, 입파도, 국화도 해역 등 총 4개 해역에 인공어초 8ha 조성을 완료하고, 현재 화성 입파도에 8ha 규모로 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15일 밝혔다. 인공어초는 인공으로 만든 물고기들의 산란·서식장으로, 바다 10∼50m 수심에 구조물을 설치, 물의 흐름을 완만하게 해 고기들이 모여들어 쉼터 또는 산란장의 역할을 한다. 도는 수산자원 증대를 목적으로 지난 1988년부터 매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올해 5개 지역의 인공어초 조성사업이 마무리되면 도내 인공어초는 어류용 5,376ha, 패조류용 854ha 등 총 6,230ha가 된다”고 설명했다. 인공어초 설치와 함께 도는 기존에 설치 된 인공어초 주변(풍도, 육도 등 5개 해역) 1,421ha에서 폐어구, 낚시줄, 기타 수중 폐기물 제거 작업도 실시할 계획이다. 도는 인공어초 내 폐기물 제거작업이 폐어구(그물, 통발)에 걸린 물고기가 미끼가 돼 다른 물고기를 유인해 죽게 만드는 이른바 유령어업의 방지와 수산생물 서식환경 개선 효과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2017년 경기도 어초어장관리사업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인공어초 시설해역의 어획량은 그렇지 않은 해역에 비해 개체수(마리)는 최대 2.7배, 생체량(무게)은 최대 3.7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자원조성 효과가 뚜렷했다. 김상열 경기도 수산과장은 “이러한 수자원 증대 효과는 낚시 관광객의 증가로 이어져 어민 소득에도 큰 도움이 된다”며 “인공어초를 체계적으로 관리해 수산자원의 회복과 더불어 연안 어장환경을 지켜나가겠다”고 말했다.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한국도자재단, “흙으로 쌀알 만들어 볼까?”
이전글 道, ‘올겨울 AI 최소화’ 목표 선제 방역 나서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