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나 홀로 지하철 여행] ① 지하철타고 프랑스여행 가볼까?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4-05-29
갑자기 혼자이고 싶을 때, 나 홀로 훌쩍 떠나고 싶을 때 지하철을 타고 도심 속을 여행해 보는 건 어떨까요? 혼자여서 좋은 지하철 여행 지금 출발합니다.
양평의 자연을 담은 ‘양수역’
경의중앙선인 양수역은 양평의 유명한 관광지 ‘두물머리’와 ‘세미원’을 만나볼 수 있는 역이다.   ⓒ 경기뉴스광장 허선량


경의중앙선에 위치해 있는 양수역은 양평의 자연을 만끽하기 좋은 역입니다. 바로 ‘두물머리’와 ‘세미원’을 만나볼 수 있기 때문인데요. 두물머리는 금강산에서 흘러내린 북한강과 강원도 금대봉 기슭 검룡소에서 발원한 남한강의 두 물이 합쳐지는 곳이라는 의미이며 양수리에서도 나루터를 중심으로 한 장소를 뜻하는 곳입니다. 양수리에서 시작해, 수입리로 올라가는 두물머리 강변길은 이 땅에 자동차 여행이 붐을 이루게 된 이후 수도권 강변 드라이브 1번지로 명성이 자자한 곳입니다. 또 일출, 일몰의 명소로서 매년 많은 인파가 이곳을 방문하고 있고 또 다양한 매체의 촬영지로서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습니다. 세미원은 경기도 제1호 지방정원으로서 수려한 주변 경관과 환경생태를 기반으로 한강을 더 맑고 더 풍요롭게 하기 위해 탄생한 물과 꽃의 정원입니다. 지방 정원이란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방자치단체가 조성하는 정원을 말합니다. 세미원은 수생정화 능력이 뛰어난 연꽃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여름이 되면 야외정원 가득 연꽃이 피어나는데요. 또한, 현재는 세미원 내 코러스가든에서 플리마켓 ‘2024 세미마켓’이 진행되고 있어 다양한 체험과 상품들도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지난 2022년도에 안전의 문제로 철거됐던 배다리도 지난 5월 17일 재개통돼 세미원에서 두물머리까지 도보로 이동이 가능해졌습니다. ▲ 양수역에서 두물머리, 세미원 가는 법 두물머리: 버스 8-55, 8-5번 탑승 후 양수리 두물머리서 하차 세미원: 버스 8-55, 8-8번 탑승 후 양서도서관서 하차 관광의 메카 ‘가평역’

가평역에서는 가평의 유명 관광지로 떠나볼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자라섬’과 ‘쁘띠프랑스’가 있다.  ⓒ 경기뉴스광장 허선량


가평역은 가평의 중심지로 다양한 장소로 떠나기 좋은 역인데요. 그중 한곳은 바로 ‘자라섬’ 입니다. 자라섬은 1943년 우리나라 최초의 발전전용댐인 청평댐이 완공되면서 생긴 섬으로 중도, 서도, 남도 등 3개의 섬과 2개의 부속섬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현재 자라섬에서는 ‘자라섬 꽃 페스타’가 열리고 있는데요. 이 행사는 매년 봄(5~6월), 가을(9~10월) 자라섬 남도에서 개최되는 꽃 축제입니다. 올해는 ‘북한강에 띄운 꽃, 피어나는 힐링과 행복’을 주제로 봄, 가을 테마별 꽃 정원이 조성되며 공연·전시·체험 프로그램과 지역 농특산물 판매부스, 반려동물 놀이터 등이 운영됩니다. 이외에도 자라섬에서는 경기도가 전 세대가 함께 즐길 수 있도록 마련한 음악 축제인 ‘경기모아(MORE)뮤직페스티벌’이 오는 6월 15일 개최됩니다. 경기도에서 만나는 유럽, 쁘띠프랑스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쁘띠프랑스(Petite France)는 작은 프랑스라는 의미의 프랑스어로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의 다양한 문화체험과 공연을 즐길 수 있는 국내 유일의 프랑스 테마파크입니다. 프랑스 거리를 거닐고 있는 듯한 연출과 건물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데요. 특히 쁘띠프랑스는 유명드라마부터 다수 예능에도 등장한 유명 관광지기도 합니다. 현재 쁘띠프랑스에서는 2024 세계오르골페스티벌이 오는 31일까지 진행되고 있습니다. ▲ 가평역에서 자라섬, 쁘띠프랑스 가는 법 자라섬: 버스 12, 60-29번 탑승 후 가평오거리서 하차 쁘띠프랑스: 버스 12번 탑승 후 고채입구서 하차 / 73-1번 탑승 후 청평터미널에서 30-5번으로 환승 후 쁘띠프랑스서 하차 (* 관광지투어버스로도 이동 가능)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운길산역’

운길산역은 남양주시가 자랑하는 ‘다산생태공원’과 ‘물의정원’으로 떠나볼 수 있는 역이다.  ⓒ 경기뉴스광장 허선량


남양주시에 있는 운길산역에는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장소들과 인접해있는데요. 대표적인 공간으로 ‘다산생태공원’과 ‘물의정원’이 있습니다. 먼저 다산생태공원은 다산 정약용 생가를 비롯한 다산유적지와 실학박물관에 인접해있는 생태공원으로 2012년 첫 조성된 공간입니다. 생전 한강이 한눈에 보이는 이 경관을 정약용이 극찬했다고도 알려져있는데요. 특히 여름이 되면 멋진 연꽃들이 피고 가을에는 갈대밭이 있어, 계절별 새로운 멋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물의정원은 국토교통부가 2012년 한강 살리기 사업으로 조성한 수변생태공원입니다. 위치도 팔당호 인접지역에 있으며, 여름이 되면 자생습지에 연꽃을 비롯한 생태계 그 자체를 만나볼 수 있는데요. 특히 물의정원 곳곳을 살펴볼 수 있도록 물마음길, 강변산책길, 물빛길, 물향기길 등 다양한 산책로가 마련돼 있어 산책과 힐링을 취향껏 즐겨볼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오는 6월이 되면 붉은 양귀비로 가득차 새로운 모습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 운길산역에서 다산생태공원, 물의정원 가는 법 다산생태공원: 버스 58번 탑승 후 다산정약용유적지, 실학박물관서 하차 물의정원: 버스 88-3번 탑승 후 조안면, 복지회관서 하차 왕들의 흔적을 만나는 ‘세종대왕릉역’

여주에는 왕들의 흔적을 만나볼 수 있는 ‘세종대왕릉’과 ‘효종대왕릉’이 있다. 이 두 곳은 세종대왕릉역을 통해 갈 수 있다.  ⓒ 경기뉴스광장 허선량


여주에는 왕들의 흔적을 만나볼 수 있는 곳이 있습니다. 이름부터 보이는 세종대왕릉역이 바로 그 주인공인데요. 이름처럼 세종대왕릉역에서는 세종과 비 소헌왕후의 합장릉인 ‘영릉(英陵)’과 제17대 임금 효종과 비 인선왕후의 ‘영릉(寧陵)’을 함께 만나볼 수 있습니다. 특히 소나무숲과 어우러진 남한강의 멋진 풍경을 만나볼 수 있어 산책 겸 많은 사람이 방문하기도 하는 곳입니다. 또한 이곳엔 세종대왕역사문화관도 있는데요. 세종과 효종, 그리고 조선왕릉에 대해 들어보는 등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제사를 위해 만들어진 공간인 재실은 현재 3개의 열람실로 꾸며진 ‘작은 책방’이 운영하고 있어, 산책과 독서를 한 번에 즐겨볼 수 있습니다. 단, 현재 효종 영릉의 향, 어로 및 주변으로 복원정비공사가 진행중이니 방문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세종대왕릉역에서 세종대왕릉, 효종대왕릉 가는 법 세종대왕릉, 효종대왕릉: 버스 953, 962번 탑승 후 효종대왕릉에서 하차 천년고찰 신륵사를 만나다 ‘여주역’

여주팔경의 첫 번째로 알려져 있는 ‘신륵사’는 바로 여주역에서 떠나볼 수 있다.   ⓒ 경기뉴스광장 허선량


여주팔경의 첫 번째로 알려져 있는 ‘신륵사’는 여주역을 통해 만나볼 수 있는 문화 유적 중 한 곳인데요. 신륵사는 신라 진평왕 때 원효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나 확실한 근거는 없으며 고려시대 말기에 당시 왕사였던 나옹선사 혜근이 잠시 머물던 중 입적한 사찰로 유명합니다. 신륵사는 고려말 대대적인 중창이 이루어졌고 당시의 유물들은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기도한데요. 대표적으로 조사당과 다층석탑, 전탑, 석등, 석종과 문화재급 법전 다수를 보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역사를 지닌 곳이지만 남한강과 봉미산 기슭에 자리하고 있어 멋진 경관을 가지고 있는 곳이기도 한데요. 이러한 경치 덕분에 고려시대 대학자인 목은 이색과 조선시대 방랑시인 김삿갓 등 이름난 시인들이 남긴 시가 많습니다. ▲ 여주역에서 신륵사 가는 법 신륵사: 버스 995, 988-4번 탑승 후 신륵사에서 하차 #경기 #경기도 #경기뉴스광장 #Gyeonggi #Gyeonggido #나홀로 #지하철 #양수역 #양평 #두물머리 #세미원 #가평역 #가평 #자라섬 #쁘띠프랑스 #운길산역 #남양주 #다산생태공원 #물의정원 #세종대왕릉역 #여주 #세종대왕릉 #효종대왕릉 #여주역 #여주 #신륵사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전국 최초 공익제보에 ‘안심전화번호 서비스’ 도입
이전글 [카드뉴스] 폭염사각지대 대비하는 경기도 여름철 폭염 종합대책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