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세상의 모든 가족]④ 제2의 고향에서 자유롭게!…경기도 북한이탈주민 정착 지원사업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4-05-30
시대의 변화에 따라 가족 구조가 달라지고 있습니다. 그만큼 정책에도 변화가 필요한데요. 가정의 달 5월을 맞아 전통적 의미의 가족이 아닌 한부모 가족, 다문화 가족, 1인 가구, 북한이탈주민 가족 등 세상의 모든 가족을 위한 경기도의 정책을 소개합니다.
7월 14일이 무슨 날인지 아시나요? 7월 14일은 1997년 북한이탈주민의 법적 지위와 정착지원정책의 근간이 되는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날인데요. 올해부터 북한이탈주민을 포용하고 그들의 권익을 증진하기 위한 국가 기념일로 제정됐습니다. 그만큼 북한이탈주민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우리 사회가 함께 노력하겠다는 뜻인데요. ‘제1회 북한이탈주민의 날’을 앞두고,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가장 많은 북한이탈주민이 거주하는 경기도의 다양한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사업을 소개합니다.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해요” 새로운 환경에서 자립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자유를 얻어야 합니다. 이에 도는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자립을 위해 ▲북한이탈주민 취업교육 ▲북한이탈주민 취업교육비 ▲북한이탈주민 인턴십 지원사업 ▲북한이탈주민 문화예술활동 등을 지원합니다.
■북한이탈주민 경제‧자립 지원사업
▪북한이탈주민 맞춤형 취업교육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전문인력양성과정 운영 -사업 참여시 교육훈련비 전액 무료, 1인당 월 20만 원 훈련수당 지원 ▪북한이탈주민 취업교육비 신설 -국가자격증 취득 시 1인당 100만 원 한도 내 실비 지원 -지원대상: 2024년 5월 이후 교육 수료 및 자격증 취득한 북한이탈주민 ▪북한이탈주민 인턴십 지원사업 -사전 상담을 통해 사업체와 인턴을 연계하고 인턴을 채용한 기업과 인턴으로 선발된 사람에게 지원금 지급 -인턴십 기간: 기존 3개월→6개월 연장 -인턴 1인당 420만 원(기업 240만 원+인턴 180만 원) 지원 ※기업지원금: 40만 원×6개월/인턴지원금: 30만 원×6개월 ▪북한이탈주민 문화예술활동 지원사업 -DMZ 일원 관광객 대상 버스킹 공연을 통해 경제활동 참여 기회 제공 -지원대상: 문화예술활동을 희망하는 북한이탈주민 -기간: 5~10월 중 주 1회 공연(장마철‧휴가철 제외)
“새로운 삶의 터전에서 안정적인 정착 지원해요” 낯선 곳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한다는 것. 결코 쉬운 일이 아닌데요. 도는 북한이탈주민이 새로운 삶의 터전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경기도 전입 생활안정 지원 ▲북한이탈주민돌봄 상담센터 운영 ▲북한이탈주민 지역적응센터 운영 등을 추진합니다.
■북한이탈주민 생활안정 지원사업
▪경기도 전입 생활안정 지원 -지원대상: 하나원 수료 후 경기도 신규 전입세대 -지원내용: 가전구매 상품권 지원(세대당 100만 원) ▪북한이탈주민돌봄 상담센터 운영
경기도 북한이탈주민돌봄 상담센터에서는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제도 안내와 함께 다양한 고충 상담이 가능하다.   ⓒ 경기도청


-대상/장소: 경기도 북한이탈주민/2개소(남부청사, 북부청사) -상담방법: 전화·방문 상담(찾아가는 상담 병행 추진) *북한이탈주민 출신 공무직원 4명 상담 -상담내용: 정착지원제도 안내, 각종 고충 애로 상담(취업, 교육·진로, 가족·심리, 의료 등) ※남부: 경기도청(구청사) 신관 108호(수원시) 031-8008-2253~2254 북부: 경기도청(북부청사) 312호(의정부시) 031-8030-2384~2385 ▪북한이탈주민 지역적응센터 운영 지원 -북한이탈주민의 초기 집중교육 및 지속적인 사후 관리 등 종합적인 정착서비스 제공 -사업내용: 거주지 편입지원(전입신고, 주택계약 등), 초기집중교육(8일 50시간), 통합안전지원(위기관리대상 집중 개입·지원), 사례관리(심리·의료 등), 지역사회 커뮤니티(인식개선, 유관기관 네트워크 등) -경기도 하나센터 현황(6개소) 경기동부하나센터(성남시)031-714-0125, 경기서부하나센터(부천시)032-329-2325, 경기남부하나센터(평택시)031-656-2000, 경기북부하나센터(의정부시)031-853-1156, 경기서북부하나센터(고양시)031-908-6521, 경기중부하나센터(안산시)031-410-6070
“북한이탈주민 가족의 건강한 삶을 지원해요” ‘집안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잘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만큼 행복한 삶에서 가족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뜻인데요. 도가 ▲북한이탈주민 부모의 자녀 양육코칭 프로그램 ▲북한이탈주민 장기근속자 가족 캠프 ▲북한이탈주민 힐링 문화산책 등 북한이탈주민의 건강한 가정 형성 지원 사업을 추진하는 이유입니다.
■북한이탈주민 ‘건강한 가정’ 형성 지원
▪북한이탈주민 부모의 자녀 양육코칭 프로그램 -지원대상: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북한이탈주민 -지원내용: 양육에 어려움을 겪는 북한이탈주민 부모 대상 맞춤형 양육 코칭 지원 ▪북한이탈주민 장기근속자 가족 캠프 -지원대상: 3년 이상 장기근속 북한이탈주민 및 가족 -사업내용: 국내 명소에서 가족캠프 및 문화체험, 특강(재테크, 자기개발, 취업성공사례 등) 지원 ▪북한이탈주민 힐링 문화산책

경기도는 도내 북한이탈주민과 가족이 함께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문화행사를 지원한다.   ⓒ 경기도청


-지원대상: 도내 북한이탈주민 및 가족 -사업내용: 북한이탈주민 및 가족 대상 뮤지컬‧연극관람 기회 제공, 북한이탈주민 음악회 개최 등)
“이웃의 정 느낄 수 있도록 ‘소통‧화합’ 지원해요” 도는 북한이탈주민이 제2의 고향에서 따뜻한 이웃의 정을 느낄 수 있도록 ▲남북한가족 통일결연 사업 ▲남북 청소년 소통의 장(통일골든벨) ▲시군 지역사회 소통‧화합 사업 등을 지원합니다.
■북한이탈주민 소통‧화합 지원사업
▪남북한가족 통일결연 사업 -지역 내 남북한 가족 결연을 통한 지속적인 관계 형성 도모 및 사회인식개선, 평화통일 분위기 조성 -지원대상: 남북한 40가족(20쌍/150명), 기존 결연가족 등 -사업내용: 통일가족 구성 및 오리엔테이션, 결연식, 사후활동(가족친목 등) 등 ▪남북 청소년 소통의 장(통일골든벨)

도내 남북청소년이 함께 퀴즈를 풀며 소통하는 ‘통일골든벨’ 행사 모습.  ⓒ 경기도청


-남북청소년이 함께 소통하고 교류하는 기회를 통해 서로가 가진 편견 극복 및 ‘우리는 하나’라는 통일공감대 형성 -지원대상: 도내 남북한 청소년 400명 -사업내용: 사전교육, 퀴즈대회, 통일토크, 청소년 공연, 시상식 등 ▪시군 지역사회 소통‧화합 사업 지원 -도내 시군 특성에 맞는 사업 지원을 통해 지역주민과 북한이탈주민 소통‧화합 유도 -지원대상: 14개 시 15개 사업 (수원, 용인, 고양, 성남, 안산, 평택, 시흥, 파주, 의정부, 광명, 군포, 오산, 안성, 동두천)
한편,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사업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경기도 평화기반조성과(031-8030-2374) 또는 도내 지역적응센터로 문의하면 됩니다. 이전 기사 보기 ☞ [세상의 모든 가족]① 안정적인 양육 돕는다…경기도 한부모 가족 지원사업 [세상의 모든 가족]② 한국에서 더 행복하게!…경기도 다문화가족 지원사업 [세상의 모든 가족]③ 혼자서도 당당하게!…경기도 1인 가구 지원사업 #경기 #경기도 #경기뉴스광장 #Gyeonggi #Gyeonggido #가정의 달 #북한이탈주민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북한이탈주민의 날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사업 #취업교육 #취업교육비 신설 #인턴십 지원사업 #경기도 전입 생활안정 지원 #소통화합 #통일골든벨 #우리는 하나 #통일공감대 #가족캠프 #힐링문화산책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지자체 최초 월동꿀벌 피해농가에 ‘여왕벌’ 분양
이전글 달빛과 함께 걷는 궁궐 산책 화성행궁 야간개장 <달빛화담>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