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청년기본소득 수령자 “삶에 큰 변화 느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9-09
경기연구원이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1분기 신청자 12만4,335명을 모집단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역화폐를 받아 사용하고 있는 청년 3,500명 중 60.3%는 청년기본소득 수령 후 ‘삶의 변화가 있다’고 응답했다.   ⓒ 경기뉴스광장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1분기 지급이 완료된 가운데, 지역화폐를 받아 사용하고 있는 청년들은 100점 만점에 77.1점의 높은 만족도를 느끼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이와 함께 청년기본소득 지급을 ‘경기도 이외 다른 지역에서도 실시해야 한다’는 반응이 71.3점으로 높았으며, ‘연령층을 넓혀서 지급해야 한다’(68.5점), ‘장애인, 농민, 예술인 등 특정 집단에도 확대 적용해야 한다’(66.9점)는 의견도 긍정적으로 나타나 사업 확대에 호의적임을 알 수 있다. 경기연구원이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1분기 신청자 12만4,335명을 모집단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역화폐를 받아 사용하고 있는 청년 3,500명 중 60.3%는 청년기본소득 수령 후 ‘삶의 변화가 있다’고 응답했다. 1순위와 1+2순위 모두 가장 변화된 내용으로 ‘친구들과의 교제에 금전적 걱정을 덜 수 있다’를 꼽아 청년기본소득이 금전적 제약에 숨통을 터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년기본소득은 사회 이슈에 대한 관심도나 국가·지자체·가족 공동체 및 개인 자신에 대한 인식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이슈 관련해서는 ‘경제적 자유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69.9점)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사회 불평등 해소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64.3점), ‘인권 신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62.0점) 순으로 나타났다. 공동체 및 개인에 대한 인식 변화로는 ‘국가·지자체 역할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했다’(69.3점), ‘삶의 자세가 긍정적으로 변했다’(61.9점), ‘가족의 의미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했다’(61.6점) 순으로 응답했다. 청년 80% 이상은 경기지역화폐를 편리하게 잘 쓰고 있다고 응답했다. ‘경기지역화폐로 받는 취지를 잘 이해하고 있다’가 84.3점, ‘경기지역화폐가 잘 배송·지급된다’가 80.5점이며, ‘경기지역화폐를 이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다’는 70.1점 등 비교적 높은 점수를 보였다. 한편, 청년 대다수는 청년기본소득 지역화폐를 받음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공동체 함양에 관심을 두게 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역경제 활성화 및 소상공인 매출증대’에 대해 긍정적 답변(73.7점)을 하고 있으며, ‘지역공동체 함양에 관한 관심 증가’도 69.9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년기본소득의 지역화폐 지급(공급) 정책이 수요자(소상공인/자영업자)를 만족시키는 지역화폐로 발전해 갈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지역화폐 정책의 긍정적인 전망으로 풀이된다. 유영성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역화폐에 대한 높은 만족도와 별도로 ‘사용 가능한 가맹점 찾기’를 가장 불편한 점으로 지적하고 있으므로, 새로운 가맹점 지도 앱을 개발해 현재 위치에서 접근 가능한 가맹점을 정확하게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유 선임연구위원은 또한 “미래 사회는 현금 없는 사회가 될 것이라고 다수의 전문가가 전망하고 있고, 설문 조사에서도 향후 선호하는 지역화폐 유형으로 카드형(70.0%), 모바일형(25.6%)으로 나타난 만큼 향후 모바일형 지역화폐를 적극 도입하되, 디지털 격차 해소 등 지역화폐 확대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지난 7월 17일부터 22일까지 실시한 설문 조사(신뢰 수준 95%, 표본 오차 ±1.6%P)의 세부 내용은 경기연구원이 발간한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청년의 반응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경기도, 태풍 ‘링링’ 피해복구 박차
이전글 개구쟁이 건강교실, 즐겁게! 건강하게! 자신있게!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