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경기도 역사유적지 탐방! 중종대왕 태봉과 태봉리 태실비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9-10
경기도 역사유적지 탐방! 중종대왕 태봉과 태봉리 태실비  ⓒ 경기도블로그


종종 여행을 다니다 보면 문화재가 지명에 영향을 미친 사례를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는데요. 가령 태봉산(胎封山)이나 태봉리(胎封里)라는 지명은 왕실에서 자손의 태를 봉안한 ‘태실’이 있어 붙여진 이름입니다. 의외로 경기도 곳곳에서 이런 흔적은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습니다. 특히 가평군의 경우 중종의 태실을 비롯해 선조의 자녀 중 한 명으로 추정되는 태실비가 전해지고 있어 눈길을 끄는데요. 보통 왕의 태실은 대다수가 경상도와 충청도에 자리하고 있고, 경기도에 있는 왕의 태실은 성종과 중종이 유일하기 때문에, 나름의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경기도 역사유적지 탐방! 중종대왕 태봉과 태봉리 태실비  ⓒ 경기도블로그


가평에 자리한 중종대왕 태봉 먼저 중종의 태실은 가평군의 상색리를 지나다 보면 만날 수 있는데요. 산의 정상에 자리하고 있는 가평군 향토유적 제6호 중종대왕 태봉의 경우 접근성은 나쁘지 않습니다. 주차 공간에서 200m 가량 정상으로 올라가면 마주하게 됩니다.

경기도 역사유적지 탐방! 중종대왕 태봉과 태봉리 태실비  ⓒ 경기도블로그


중종은 연산군의 시대를 종식 시키고 반정으로 왕위에 올랐던 인물입니다. 왕이 된 중종의 태실은 현 위치로 옮겨져 장태석물과 태실가봉비 등을 세워 웅장하게 조성되었습니다.

경기도 역사유적지 탐방! 중종대왕 태봉과 태봉리 태실비  ⓒ 경기도블로그


특히 중종의 태실은 가평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요. 그 이전까지는 가평현으로 불렸지만, 중종이 왕이 되면서 태실가봉(胎室加封)의 절차를 밟으면서 가평군으로 승격이 되었습니다. 조선시대의 역사를 돌아보면 왕비의 출신지거나 혹은 왕릉이나 왕의 태실이 조성될 경우 도시의 격이 승격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때문에 중종의 태실은 단순한 탯줄을 봉안한 곳이 아닌 가평의 역사적 관점을 보여주는 장소라고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중종의 태실은 조선이 망한 뒤 일제강점기에 들어서면서 극적 반전을 맞이하게 되는데요. 일제는 관리의 어러움을 이유로 중종의 태실을 파헤쳐 태항아리를 지금의 고양 서삼릉 경내로 옮기게 됩니다.

경기도 역사유적지 탐방! 중종대왕 태봉과 태봉리 태실비  ⓒ 경기도블로그


그렇게 자연스럽게 남아 있던 석물은 버려진 채 방치되던 것을 산의 주인이 발견하여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한 것입니다. 현재 중종의 태실은 크게 아기씨 태실비와 훼손이 심한 태실가봉비, 장태석물 등으로 구분이 되며, 현재 경기도에서 볼 수 있는 유일한 왕의 태실이라는 점에서 관심 있게 볼만합니다. *중종대왕 태봉 위치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상색리 산112번지

경기도 역사유적지 탐방! 중종대왕 태봉과 태봉리 태실비  ⓒ 경기도블로그


태봉리에 남아 있는 태실비의 흔적 앞서 언급한 중종대왕 태봉과 함께 가평에 자리한 또 하나의 태실이 바로 가평군 상면 태봉리에 자리하고 있는데요. 태봉리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태실에서 유래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과거 해당 태실비는 마을 입구에 세워진 채 방치되고 있었는데, 지금은 태봉리의 월사 이정구 선생 묘 입구 쪽에 세워져 있어 찾기는 어렵지 않습니다. 접근성 역시 나쁘지 않은 편입니다. 해당 태실비의 경우 앞면은 마멸이 심해 육안으로 글자를 보기 어려운 반면 뒷면은 지금도 잘 남아 있어, 판독이 어렵지 않습니다. 우선 확인 가능한 뒷면의 명문을 보면 대략적으로 만력 34년, 즉 1606년(선조 39년) 7월 28일에 세운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경기도 역사유적지 탐방! 중종대왕 태봉과 태봉리 태실비  ⓒ 경기도블로그


해당 시기가 선조의 재위 기간인 것을 고려하면 1606년 이전에 태어난 선조의 자녀 태실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한때 이 태실비는 영창대군의 태실비로 알려졌는데요. 실제 1606년에 영창대군과 영성군이 태어났으니 전혀 뜬금없는 이야기는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다만 출생일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히 누구의 태실이라고 확정하기는 어려운 경우라 안타까운 마음이 들기도 합니다. 앞선 중종대왕 태봉이 문화재로 지정된데 비해 태봉리에 있는 태실비의 경우 아직까지 비지정 문화재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 존재를 잘 모르는 비석인데요. 혹여 가평군을 방문하실 기회가 있으시다면 역사적 의미와 흔적을 담고 있는 중종대왕 태봉과 태봉리의 태실비를 함께 주목해보실 것을 권해드립니다. *태봉리 태실비 위치 : 경기도 가평군 태봉골길 83 *위 내용은 경기소셜락커가 작성한 글로, 경기도의 공식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2019 경기소셜락커 김희태 락커  ⓒ 경기도블로그


[출처:경기도 블로그]
[작성자:2019 경기소셜락커 김희태 락커]

원문보러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광교에 분양을 임대로 대체한 중산층 임대주택, 국내 최초 선보여
이전글 선비정신 깃든 조선시대 교육기관 양주향교에 가다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