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놀이란 뭘까?’ 진정한 놀이터를 위한 끝없는 이야기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9-19
토론회 참석자들이 함께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 최정희 기자


지난 17일, 용인시 기흥도서관에서는 ‘어린이가 가고 싶은 놀이터 어떻게 만들 것인가?’를 주제로 토론회가 진행됐다. 이는 경기도와 경기도의회가 주최하는 ‘2019 경기도 추계 정책토론 대축제’의 일환이다. 토론회에는 진용복 경기도의원, 남종섭 경기도의원, 편해문 놀이터 디자이너, 전자영 용인시의원, 손창희 개구쟁이어린이집 원장, 김광호 용인시 공원녹지과장, 용인신릉초등학교 학생자치회 학생, 시민 등이 참여했다. 진용복 의원의 축사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토론회가 진행됐다. 남종섭 의원이 좌장을 맡은 가운데 편해문 놀이터 디자이너가 주제발표자로 나서 현재 어린이 놀이터의 위기를 이야기했다. 위기의 원인으로는 어린 나이부터 늘어나는 학습 시간, 미세먼지로 인한 외출 감소, 놀이문화의 엔터테인먼트화를 꼽았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는 놀이터와 놀이문화에 대한 근본적 수정과 기존 놀이터에서 추방된 가치를 하나씩 다시 불러오는 ‘추방에서 환대로’라는 철학을 언급했다. 개별 놀이터가 아닌 한 도시의 놀이터 생태계를 만들고 기구 위주의 놀이터에서 놀이 위주의 놀이터로 바꾸는 것, 모방이 아닌 지역의 개성이 살아있는 놀이터를 만들고 향후 운영과 관리에 힘쓰는 것 등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놀이터는 아이들이 마침내 완성한다. 아이는 놀이터를 가장 꾸준히 쓸 주인이지만 놀이터를 만들 때 가장 힘이 없다”라고 강조했다. 전자영 용인시의원은 말보다는 영상으로 의견을 제시했다. 영상 속에선 아이들이 직접 자신들이 꿈꾸는 놀이터를 그려볼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 어린이들의 생각은 어른들의 생각보다 훨씬 창의적이고 다양했으며 그저 어리지만은 않았다. 전자영 의원은 이 영상을 통해 어른과 어린이의 협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손창희 개구쟁이어린이집 원장은 현재 엄청난 변화의 중심에 서 있는 우리 사회에서 놀이는 창의성과 유연한 사고방식, 사회성, 위기대처능력 등을 키울 수 있는 중요한 것이라고 역설했다. 이를 위해 놀이를 학습으로 보지 않는 편협한 사고방식의 변화, 아동의 입장에서 만들어진 놀이터, 위험이라는 요소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고 했다.

임윤진 학생이 현재 놀이터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이야기하고 있다.  ⓒ 최정희 기자


임윤진, 김에스더, 김민채 용인신릉초등학교 학생자치회 학생들은 어린이의 시선에서 바라본 현재 놀이터의 문제점과 향후 놀이터에 대한 바람을 이야기했다. 문제점으로는 놀이기구의 다양성 부족, 보호자가 쉴 공간 부족 등을 꼽았고 바람으로는 음식물 쓰레기통 설치, 놀이터에 쓰이는 재료의 교체, 봉사단 운영 등을 언급했다. 김광호 용인시 공원녹지과장은 놀이터의 설치기준, 행정적·제도적 어려운 점을 설명했고 현재 놀이터의 문제점으로 어른들 의견에 의해 설계되었다는 점을 지적했다. 개선 전략으로는 어린이 참여 확대와 더불어 어린이와 보호자의 구역을 구분해 아이들을 지켜볼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하면서 보호자도 함께 즐길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전략을 제시했다.

모둠별로 하고 싶은 질문들을 모으고 있다.  ⓒ 최정희 기자


토론자들의 발표가 모두 끝난 후에는 모둠별로 각 토론자들에게 하고 싶은 질문을 모으고 놀이가 지닌 가치에 대한 생각을 각자 포스트잇에 적는 시간을 가졌다. 이후 질문에 대한 간단한 답변을 끝으로 토론이 끝났다.

‘놀이란 뭘까?’에 대한 의견을 포스트잇에 작성하고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의견을 공유하고 있다. 여기 적힌 놀이의 가치는 향후 놀이터를 만들 때 반영될 예정이다.  ⓒ 최정희 기자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경기도 생명사랑 기념행사
이전글 “멀지만 반드시 가야 할 평화의 길, 경기도가 먼저 걸어갈 것”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