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자연 속 힐링쉼터! 시흥 소래산 산림욕장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9-11
자연 속 힐링쉼터! 시흥 소래산 산림욕장  ⓒ 경기도블로그


경기도 시흥의 소래산의 들머리엔 소나무, 단풍나무, 밤나무, 참나무류 등 여러 나무들로 울창합니다. 숲 속에서 피톤치드하며 산책하기 좋은 산림욕장은 자연 속 쉼터입니다.

자연 속 힐링쉼터! 시흥 소래산 산림욕장  ⓒ 경기도블로그


특히 울창한 나무가 드리운 그늘 덕분에 산책하기 더욱 좋은 산림욕장의 숲속 정자는 최고의 무더위 쉼터입니다. 정자 안에 누워 새소리, 풀벌레의 노랫소리를 들으며 소설책을 읽다 보면 스르르 꿀잠에 빠질 정도인데요. 소래산 산행 후 내려와 쉬어가기 좋아서 남녀노소는 물론 반려견도 주인과 함께 찾아올 정도로 인기 있는 곳입니다.

자연 속 힐링쉼터! 시흥 소래산 산림욕장  ⓒ 경기도블로그


산림욕장에 들어서면 인도 옆으로 발바닥 마사지를 할 수 있는 긴 지압길이 눈길을 끕니다. 건강에 좋다는 안내판에 이끌려 맨발로 걸어 보았습니다. 아프면서도 시원한 기분이 들었는데요. 지압길 옆에는 손으로 잡고 걸을 수 있는 안전대가 있어 위험하지 않습니다.

자연 속 힐링쉼터! 시흥 소래산 산림욕장  ⓒ 경기도블로그


산림욕장에는 이외에도 체력단련시설, 줄타기 시설, 어린이 숲속 놀이터, 책을 꺼내 읽을 수 있는 작은 서고 등 다양한 시설들이 갖춰져 있습니다. 화사하게 피어난 여름 꽃에 내려앉은 나비와 숲속에서 지저귀는 새들도 사람들을 즐겁게 해주는 존재입니다. 이곳 소래산 산림욕장은 철쭉명소이기도 한데요. 5월엔 ‘철쭉동산’이 될 정도로 신림욕장 기슭에 붉은 철쭉꽃이 흐드러지게 피어난다고 합니다.

자연 속 힐링쉼터! 시흥 소래산 산림욕장  ⓒ 경기도블로그


소래 산림욕장의 또 다른 즐거움은 산책길을 거닐다 보면 울창하고 다채로운 나무들을 만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봄날 화사한 벚꽃을 피워 사람들을 행복하게 해주었던 벚나무는 여름철엔 그늘과 함께 열매 버찌로 숲을 풍성하게 하는 인간의 벗 같은 나무가 됩니다. 달콤하고 건강에 좋은 열매 오디로 농사꾼의 부수입을 올려주는 뽕나무도 빼놓을 수 없는데요. 뽕나무는 중국이 고향으로 뽕잎을 먹인 곤충 누에에서 비단을 생산하게 되면서 실크로드를 탄생하게 한 유서 깊은 나무입니다. [출처] 자연 속 힐링쉼터! 시흥 소래산 산림욕장|작성자 경기도

자연 속 힐링쉼터! 시흥 소래산 산림욕장  ⓒ 경기도블로그


산림욕장의 사계절을 푸르게 해주는 상록수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은 소나무입니다. 소나무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리기다 소나무`는 우리나라 산림을 살린 기특한 나무인데요. ‘리기다 소나무’의 종명 rigida는 단단한 것(rigid)을 뜻하는 말로 척박하고 메마른 곳에서도 잘 자라 지난 70년대 산림녹화사업 당시 많이 심었다고 합니다. 연료용 벌목, 한국전쟁 등으로 황폐해진 산에서 꿋꿋하게 견디며 우리 강산을 푸르게 만든 일등공신인데요. 리기다 소나무는 몸통에서 솔잎이 자라나 쉽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자연 속 힐링쉼터! 시흥 소래산 산림욕장  ⓒ 경기도블로그


또한 한여름 더위에 검은 비닐을 외투처럼 입고 서있는 나무들에 눈이 갑니다. 비닐 외투를 입고 있는 나무는 참나무인데요. 참나무는 사람들의 별미이자 산속 동물들의 식량인 도토리를 낳는 고마운 나무입니다. 검은 비닐은 작은 벌레들로 인해 여름철 참나무가 말라죽는 ‘참나무 시듦병’을 막기 위해서 입혔다고 합니다. 벌레들이 참나무만 골라 나무속으로 파고 들어가는데요. 검은 비닐에는 끈끈이가 발라져 있어 벌레들이 못 움직이고 붙어버린다고 합니다.

자연 속 힐링쉼터! 시흥 소래산 산림욕장  ⓒ 경기도블로그


다양한 나무들의 품어내는 맑고 신선한 공기과 새소리가 가득한 소래산 산림욕장에서 마음 편히 쉬고 온 듯한 느낌이 들었는데요. 산의 기운을 받으며 일상 속 스트레스를 내려놓을 수 있는 소래산 산림욕장 거닐어 보는 거 어떠세요? ​ *소래산 산림욕장 위치 :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 332-80 문의 : 031-317-2000 *위 내용은 경기소셜락커가 작성한 글로, 경기도의 공식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2019 경기소셜락커 김종성 락커  ⓒ 경기도블로그


[출처:경기도 블로그]
[작성자:2019 경기소셜락커 김종성 락커]

원문보러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경기도, 내년도 생활임금 1만364원 확정…최저임금보다 21% ↑
이전글 [카드뉴스] 나의 아이디어에 날개를 달아보자!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