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보도자료상세조회 테이블
도,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발생 최소화 ‥하반기 예방사업 강화로 피해 방지 총력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05-17

경기도가 지난해 5월부터 올해 4월까지 시행한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사업’을 감염 매개충의 우화시기 전에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

 

‘소나무재선충병’은 소나무재선충이 소나무, 잣나무 내에서 단기간 급속하게 증식해 나무를 죽이는 병으로, 치사율이 100%에 이른다.

 

매개충인 북방수염하늘소가 건강한 나무의 새순을 갉아 먹을 때 매개충의 체내에 있던 재선충이 상처부위로 침입해 증식하기 때문에,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우화시기 전 방제를 완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도는 이번 방제기간 동안 총 99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방제대상목 4만1,624 그루를 전량 방제하고, 산림 3,265ha를 대상으로 예방나무주사를 시행하는 등 전 방위적 노력을 펼쳤다.

 

그 결과, 올해 상반기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고사목 방제수량은 2만663그루로, 지난해 동기간 4만7,929그루 대비 57% 감소하는 실적을 거뒀다.

 

2014년까지 피해 규모가 80만 그루까지 이를 정도로 확대 추세였지만, 18년부터 올해까지 최근 4년간 안정적인 도비투입, 소나무류 이동단속 초소 운영, 소나무류 취급업체 단속, 정밀예찰, 방제사업장 및 파쇄장 점검 등의 노력으로 점차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도는 올 하반기에도 지상방제, 재선충병 방제설계 권역별 합동 컨설팅, 재선충병 QR코드 이력관리 시스템 31개 시군 확대 운영, 예찰단 교육 강화 등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를 위한 사업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방제사업 실시설계 전 ‘권역별 합동 컨설팅’을 통해 시군 간 경계지역에 대한 사업구역을 명확히 구분함으로써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보다 꼼꼼한 ‘방제망’을 구축하는 데 힘쓰게 된다.

 

또한 소나무재선충병 확산방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지난해부터 도입 운영 중인 ‘소나무재선충병 QR코드 활용 고사목 이력관리 시스템’을 18개 시군에서 31개 시군으로 확대 운영하기로 했다.

 

이 시스템은 고사목 발견부터 재선충병 검사까지 일련의 과정을 전산으로 관리하는 체계다. 도 내 재선충병 발생 현황과 추이를 면밀히 분석할 수 있어 예측 가능한 경기도 재선충병 방제전략 수립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이성규 산림과장은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는 예찰과 예방이 가장 중요한 만큼 피해목 이력관리, 예방나무주사 대상지 확대, 선단지(先端地) 집중관리 등 재선충병 확산 방지에 적극 힘쓸 것”이라며 “도민들에게 쾌적한 산림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이전글다음글
다음글 경기도, 봄철 성공적인 산불방지대책 추진.‥‘산불발생 전년대비 59% 감소’
이전글 도, 5·18민주유공자와 유족에 7월부터 월 10만 원 생활지원금 지원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