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자연으로의 여행! 갯골탐험 떠나보자. 시흥갯골생태공원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9-23
자연으로의 여행! 갯골탐험 떠나보자. 시흥갯골생태공원  ⓒ 경기도블로그


시흥에는 가을 하늘이 정말 아름다운 장소가 있습니다. 경기도 유일의 내만 갯골이 있는 장소, 시흥 갯골생태공원입니다. 이곳은 일제강점기 때 소래염전으로 활용되던 곳이었습니다. 이후 염전은 문을 닫고, 시간이 흘러 시흥시가 시민을 위한 생태공원 조성에 나섰지요. 그렇게 조성된 시흥 갯골생태공원은 해마다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며 다채로운 매력을 뽐내고 있답니다.

자연으로의 여행! 갯골탐험 떠나보자. 시흥갯골생태공원  ⓒ 경기도블로그


갯골 수로를 체험해 볼 수 있는 수상자전거 체험장입니다. 이곳에는 수상자전거 체험도 가능하죠. 갯골 수로에서 수상자전거라니! 신기하지 않나요? 이런 체험은 시흥 갯골생태공원에서만 할 수 있답니다. 수상자전거 체험은 최대 3인까지 함께 즐길 수 있습니다.

자연으로의 여행! 갯골탐험 떠나보자. 시흥갯골생태공원  ⓒ 경기도블로그


갯골 수로 맞은편에는 해바라기 군락지가 있답니다. 지금이야말로 해바라기 구경하기에는 딱 좋은 계절이죠. 해바라기 꽃밭은 인생사진 찍기에도 안성맞춤인 배경입니다. 해바라기 꽃밭을 뒤로한 채 갯골 수로를 따라 걷는 산책길은 걷는 것 자체만으로도 힐링이 된답니다. 갯골 수로를 가로지를 수 있는 아치형 다리도 있답니다. 다리를 건너면서 갯골 수로의 모습을 다시 한번 눈에 담아봅니다.

자연으로의 여행! 갯골탐험 떠나보자. 시흥갯골생태공원  ⓒ 경기도블로그


수로를 건너니 동화나라에서나 볼 법한 통나무집도 있습니다!

자연으로의 여행! 갯골탐험 떠나보자. 시흥갯골생태공원  ⓒ 경기도블로그


이번엔 갯골생태학습장으로 가볼까요? 이곳에서는 농게, 참게, 망둥어, 저어새 등 많은 갯골 친구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단, 갯골 친구들이 놀라서 달아내지 않게 정말 조용히 방문하셔야 합니다. 특히 농게는 소리에 민감해서, 발자국 소리만 나도 집으로 쏙 숨어버린답니다. 농게뿐만 아니라 갯벌의 다양한 생물들을 찾아보는 것도 재미 중 하나입니다.

자연으로의 여행! 갯골탐험 떠나보자. 시흥갯골생태공원  ⓒ 경기도블로그


핫한 명소에는 꼭 있다는 액자틀 포토존입니다. 이렇게 갯골이 포토존으로 있는 곳은 흔치 않은데요. 액자 속의 갯벌 모습이 사진으로 담기에 제격입니다.

자연으로의 여행! 갯골탐험 떠나보자. 시흥갯골생태공원  ⓒ 경기도블로그


시흥 갯골생태공원의 랜드마크 흔들전망대입니다. 높이 22m에 목조로 지어진 전망대죠. 심지어 이름 그대로 전망대는 정말 흔들흔들거리는데요.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시공된 전망대니 전혀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빙글빙글 전망대를 걸어 올라가 흔들전망대에서 바라보는 시흥갯골생태공원의 전경입니다. 정말 멋지지 않나요?

자연으로의 여행! 갯골탐험 떠나보자. 시흥갯골생태공원  ⓒ 경기도블로그


염전체험장(좌)과 해수체험장(우)도 있습니다. 아이들이 직접 염전체험도 해볼 수 있고, 지하 깊은 곳에서 길어 올린 해수를 사용하는 수영장을 즐길 수 있습니다. 넓은 공간에서 즐길거리까지 빠지는 것이 없는 갯골생태공원입니다. 이곳은 사구 식물원입니다. 모래밭 위에는 아이들이 자유롭게 뛰어놀 수 있는 놀이터가 있습니다.

자연으로의 여행! 갯골탐험 떠나보자. 시흥갯골생태공원  ⓒ 경기도블로그


인생샷이 목표인 분들은 이 장소를 주목하셔야 합니다. 사구 식물원 바로 옆에는 이렇게 댑싸리 군락지가 있어서 정말 많은 사람들이 와서 인생샷을 남기고 간답니다. 시흥 갯골생태공원을 즐기는 또 하나의 팁을 알려드릴게요. 2019년 9월 20일부터 22일까지 3일간 시흥갯골축제가 개최된답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선정한 우수축제인 만큼 볼거리, 즐길 거리가 넘쳐나는 축제랍니다. *위 내용은 경기소셜락커가 작성한 글로, 경기도의 공식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2019 경기소셜락커 최진숙 락커  ⓒ 경기도블로그


[출처:경기도 블로그]
[작성자:2019 경기소셜락커 최진숙 락커]

원문보러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돼지 관련 차량, 거점소독시설 반드시 경유하세요!
이전글 [카드뉴스] 공평한 교육복지, 경기도가 시작합니다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