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생활 쓰레기가 모이는 곳, 양주권 자원회수시설에 가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9-24
양주권 자원회수시설의 모습이다.  ⓒ 이다혜 기자


일상에서 버려지는 쓰레기는 어떻게 처리되는 것일까? 이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지난 20일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에 위치한 양주권 자원회수시설을 방문하였다. 양주권 자원회수시설은 양주시에서 감독하는 공공 폐기물처리시설로 안전성, 경제성, 친환경성을 모두 갖추고 있다. 이 시설은 1일 폐기물 약 200톤, 연간 6만 톤을 처리할 수 있으며, 버려지는 폐에너지를 회수한다.

폐기물 반입장에서 트럭이 폐기물 저장조에 쓰레기를 부을 준비를 하고 있다.   ⓒ 이다혜 기자




크레인 조정실에서 쓰레기를 파쇄하고 있다.  ⓒ 이다혜 기자


이곳에서는 양주시와 동두천시에서 발생하는 도시 생활 쓰레기와 대형 목재 폐기물을 소각 처리한다. 아침 일찍 생활 폐기물을 실은 차량이 자원회수시설에 도착하면 폐기물 저장조에서 폐기물을 파봉하여 저장한 후 파쇄기를 통해 폐기물을 20cm 이하로 파쇄한다. 파쇄된 폐기물은 열분해 드럼에서 열분해되어 가스와 잔재물로 분리된다. 이때 발생한 잔재물 중 금속류인 알루미늄, 철 등은 자원으로 회수되며 나머지 잔재물과 가스는 용융로에서 연소와 용융과정을 거쳐 슬래그로 나오는데 이는 모두 아스팔트 보조기층재나 재생 벽돌 등으로 재활용된다. 이 과정에서 생성된 고온의 연소가스는 폐열보일러에서 고온, 고압의 증기로 에너지화하여 증기터빈발전기에서 전량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이후 남은 증기는 버려지지 않고 온수를 생산하여 자원회수시설 인근 환경친화공원인 에코스포츠센터의 수영장과 사우나에 공급된다. 버려지는 폐열의 회수가 끝난 연소가스는 연소가스 처리설비를 지나면서 인체에 무해한 상태로 만든 후 높이 100m의 굴뚝으로 안전하게 배출된다. 이처럼 양주권 자원회수시설은 단순히 생활폐기물을 소각, 처리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이 폐기물을 소각하면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우리 생활에 밀접한 온수와 전기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버려지는 폐기물 속의 폐자원(금속류, 슬래그)을 분리하여 자원화하는 역할을 한다.

양주권 자원회수시설의 김근환 소장이다.   ⓒ 이다혜 기자


양주권 자원회수시설을 취재하면서 운영책임자인 김근환 소장을 만나 인터뷰를 하였다. 김근환 소장은 무엇보다도 가정에서 폐기물을 버릴 때, 철저히 분리수거를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우리가 버리는 쓰레기는 크게 생활 쓰레기와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용품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로 나눌 수 있다. 이 쓰레기들을 용도에 맞게 잘 분리해 버려야 에너지화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말하였다.

이곳에서 처리할 수 없는 폐기물들이다.   ⓒ 이다혜 기자


만약, 가정에서 분리수거가 잘못되어 생활 폐기물 속에 음식물 쓰레기나 부피가 큰 고철 등 재활용 혹은 불에 타지 않는 불연성 폐기물이 혼합되어 양주권 자원회수시설로 들어오게 되면 기계 고장의 주범이 될 뿐만 아니라 설비유지 보수를 위해 많은 세금이 낭비될 수 있다고 하였다.

폐기물 저장조 바깥에 처리할 수 없는 쓰레기들을 전시해 두었다.   ⓒ 이다혜 기자


김근환 소장은 시설의 수명을 늘리고, 낭비되는 세금을 막기 위해 쓰레기 분리수거 실천을 당부하고, 이는 미래의 우리 자손들이 보다 오랫동안 친환경적인 곳에서 살아갈 수 있게 만드는 길이라고 말하였다.

중앙제어실은 기계에 이상이 있는지 살펴보는 일을 담당하고 있다.  ⓒ 이다혜 기자


양주권 자원회수시설은 유치원생부터 가정주부까지 대상에 따라 차별화된 견학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홍보 동영상 상영부터 실제 폐기물이 저장되는 폐기물 저장조와 크레인 조정실, 마지막으로 자원회수시설을 컴퓨터로 직접 제어·관리하는 중앙제어실까지 폐기물이 처리되는 과정 일부를 직접 관람할 수 있다. 평소에 환경에 관심이 있거나 폐기물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궁금하다면 양주권 자원회수시설 또는 주변의 자원회수시설에 방문해 보길 바란다. 양주시 자원회수시설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은남로 160 전화번호 031-866-0140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이재명 지사, 김포 요양병원 현장 찾아 화재∙구조 지휘
이전글 수원전통문화관, 추석 맞이 전통문화 행사 풍성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