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보도자료상세조회 테이블
한반도 평화의 새로운 지평 연 ‘2021 DMZ 포럼’ 경기평화선언문 채택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05-23

남북평화협력과 DMZ의 평화적 활용방안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이뤄졌던 <2021 DMZ 포럼>이 지난 22일 열린 종합라운드테이블에서 ‘2021 DMZ 포럼 경기평화선언문’을 채택하며 뜨거웠던 담론의 장을 마무리했다.

 

올해 DMZ 포럼 참석자들은 이번 경기평화선언을 통해 지난 21~22일 양일간 논의했던 사항들을 중심으로 분단 극복과 한반도 평화를 실현하기 위한 총 10가지의 안건을 제시, 관련 주체들의 적극적인 활동을 촉구했다.

 

첫째, DMZ에서 시작된 평화가 한반도 전역으로 퍼져, 더 나아가 동북아시아와 세계의 평화에 기여할 것을 선언했다.

 

둘째,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수립을 위해 남북한 당국과 관련 국가들은 즉각 대화와 협상을 재개하고 한반도 종전과 평화를 위해 기존 합의의 성실한 이행을 포함한 모든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셋째, DMZ를 분단·대립을 넘어 소통·협력의 미래 공간으로 설정하고 DMZ 내 생태보전과 문화유산 복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지뢰 제거, DMZ의 국제평화지대화 등을 남북 공동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넷째, 한강하구의 남북한 평화적 활용, 임진강 수자원의 남북한 공동 관리를 위한 남북협력시스템 수립을 강조했다. 다섯째, 서해경제공동특구의 설치와 한반도 메가리전의 창설을 바탕으로 남북한 경제협력을 재건하고 확대해 남북 공동번영의 기초와 토대를 만들자고 제안했다.

 

여섯째, 남북 이산가족 상봉 및 남북 간 관광 추진 등을 통해 주민들의 왕래·교류를 재개·확대해야 한다고 했으며, 일곱째로 남북한 보건의료 협력체계 구축으로 코로나 19,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말라리아 등 초 국경 전염병에 대해 남북 공동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점도 선언문에 포함했다.

 

여덟째로 유엔(UN)과 미국/일본/유럽연합(EU) 등의 대북 제재는 북한 주민들의 삶을 위협해서는 안 되며, 인도적 지원이나 남북교류협력 사업을 가로막는 제재는 중단돼야 함을, 아홉째는 군비 경쟁의 악순환에서 벗어나 시민의 안전과 환경을 위해 투자해야 함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열째, 경기도는 한반도 평화와 남북 공동번영을 위해 다른 지방자치단체들과 함께 남북교류협력의 선봉을 자임하며, 선도적인 역할을 다할 것을 함께 다짐했다.

 

경기도와 (사)동북아평화경제협회가 공동 주최하고 경기연구원, 킨텍스, 한반도종전평화캠페인, 6.15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가 공동 주관한 이번 포럼에는 국내·외 석학, 전문가, 평화 운동단체 등 100여 명이 참여했다.

 

21~22일 양일간 진행된 포럼에서는 ‘새로운 평화의 지평을 열다’를 주제로 기조연설, 기획세션 5개, 특별세션 3개, 평화운동 협력세션 12개 등 총 20개의 세션을 통해 열띤 토론의 장을 만들었다.

 

특히 참석자들은 한반도 평화정착과 공동번영을 위해 소통과 협력을 토대로 한 새로운 미래 비전을 마련해야 한다는데 목소리를 같이하며, 대북협상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의 필요성, 평화협력사업 활성화를 위한 지방정부와 민간부문의 역할 강화 등 다양한 의견들을 쏟아냈다.

 

이재강 평화부지사는 포럼을 최종 정리하는 라운드테이블을 통해 “이번 2021 디엠지 포럼에서는 새로운 평화의 지평을 열기 위해 많은 전문가들과 함께 다양한 논의들을 진행했다”며 “포럼에서 나온 정책 의제와 제안, 의견은 적극 반영하여 DMZ에서 시작된 평화가 한반도 전역, 나아가 전 세계로 퍼져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포럼에서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안전한 DMZ의 실현과 한반도 평화경제시대’라는 주제의 기조연설에서 “DMZ의 생명평화지대화와 남북관계 발전을 통해 한반도 평화경제시대와 동북아 평화 공동체라는 보다 큰 미래를 가능하게 하자”고 밝힌 바 있다.

 

포럼 첫날인 21일에는 특별행사로 지방정부 차원의 남북평화협력사업 활성화를 위한 전국 지방정부들의 협의체인 ‘남북평화협력 지방정부협의회’의 출범식을 진행했으며, 전국 61개 지자체가 뜻을 한데 모으기도 했다.

 

이번 DMZ 포럼은 코로나19 상황을 고려, 줌(ZOOM), 유튜브 채널, 공식 홈페이지(www.dmzforum.or.kr) 등 온·오프라인으로 병행해 진행됐다.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이전글다음글
다음글 경기 김포시 ‘2021 소공인 복합지원센터 구축’ 공모사업 선정‥국비 25억 확보
이전글 경기도 코로나19 발생 현황(2021.5.22. 10시)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