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의왕철도박물관에서 알아보는 한국 철도의 발자취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11-11
우리나라 철도의 역사와 발자취를 알아볼 수 있는 의왕철도박물관, 철도의 모든 것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철도박물관에 꿈기자가 지난 10월 9일 다녀왔다. 1988년 1월 26일 개관한 의왕철도박물관은 1만여 점의 소장품과 철도의 역사를 함께 알아볼 수 있는 곳이다. 철도박물관에서 들어서자 실외에는 철도박물관에 왔음을 실감하게 하는 다양한 기차들이 보였다. 기차 앞에서 기념사진을 찍는 사람들이 많이 보였다. 꿈기자도 포토존 앞에서 기념사진을 남겨 보았다.
야외전시장에는 다양한 모양의 기차와 포토존이 마련되어 있다.   ⓒ 심예준 기자


그중 기차 앞부분에 무궁화 모양이 새겨진 기차가 보였다. 그 기차는 대통령 전용기차로, 이제는 낡은 모습을 하고 있었다. 도색을 하면 더 보기 좋지만 1대 도색비용은 3500만 원이 든다. 비싼 비용 때문에 기차를 도색하는 것은 쉽지 않다. 김대중 전 대통령까지 대통령 전용기차를 사용했고, 지금은 KTX의 등장으로 사라지고 없다. 대통령 기차는 커튼을 쳐서 테러 위험과 국가기밀에 대응했었다.

대통령 전용기차 앞에서 꿈기자   ⓒ 심예준 기자


야외전시장 매점 옆에는 오래된 기차가 보였다. 이 기차는 현재 사람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매점에서 구입한 라면 등의 음식물을 색다른 느낌으로 먹을 수 있는 공간이다.

색다른 느낌의 기차 안 휴식 공간   ⓒ 심예준 기자


야외전시장 곳곳에는 옛날 기찻길을 그대로 만들었고, 그 곳에는 기차 관련 시도 전시되어 있다. 꿈기자가 태어나기 전의 기차들과 기찻길을 구경할 수 있었다.

과거의 기찻길을 재현한 곳에 기차 관련 시도 있다.   ⓒ 심예준 기자


과거의 기차들이 있다면 미래의 기차도 전시되어 있다. 동력분산식 고속차량의 EMU-250 실물 크기 기차다. 2020년 도입되는 한국식 고속철도 열차로, 이 기차를 직접 만나 볼 수 있는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

내년에 도입되는 동력분산식 고속차량 EMU-250   ⓒ 심예준 기자


야외전시장 관람이 끝난 후 실내전시장을 관람했다. 실내전시장은 우리나라 기차의 역사에 대해 사진과 소장품이 있는 공간이다. 우리나라의 철도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조선 말 철도의 탄생과정이 자세하게 설명돼 있다.   ⓒ 심예준 기자


조선 말 철도의 필요성을 느낀 고종은 1892년 미국인 제임스R. 모스를 초빙해 경부철도 건설을 의논했다. 그러나 이 계획은 일부 대신들의 반대로 무산됐다. 1894년 6월 조선은 의정부 공무아문에 철도국을 설치했다. 이것은 국내 최초의 철도 관련 정부기관이다. 이어 1896년 3월 29일 모스에게 경인철도 건설을 허가하고, 1896년 7월 15일 국내철도규칙을 제정했다. 1897년 3월 22일 경인철도 기공식을 시작으로 1899년 9월 18일 인천~ 노량진 간 경인철도가 부분 개통되면서 대한제국의 교통수단은 큰 변혁을 맞았다.

1896년에 만들어진 국내철도규칙  ⓒ 심예준 기자




1897년에 제작된 경인철도 레일로, 노량진 ~ 인천 간 사용됐다.   ⓒ 심예준 기자


한국철도의 발자취도 한번에 연도별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전시되어 있다. 1981년에는 새마을호 승차권이 전산 발매 되었고, 2001년 11월 14일에는 비둘기호가 마지막으로 운행 후 중단됐다. 2004년 3월 31일에는 통일호도 전면 운행 중단됐다.

한국철도의 발자취   ⓒ 심예준 기자


철도박물관에서 우리나라 철도의 탄생과정과 다양한 기차들을 만나봤다. 그동안 궁금했던 우리나라 철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의왕 철도박물관> ○ 개관시간 : 하절기(3 ~10월) 오전 9시 ~ 오후 6시 (오후 5시 30분 입장 마감) / 동절기(11~ 2월) 오전 9시~오후 5시 (오후 4시 30분 입장 마감) ○ 휴관일 •매주 월요일(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에는 개관) •공휴일 다음날(다음날이 주말인 경우에는 개관) •1월 1일(신정) •설 · 추석 연휴기간 •기타 박물관장이 지정한 날 ○ 입장료 : 성인 2,000원, 청소년·어린이 1,000원 / 단체 성인 1,000원, 청소년·어린이 500원 / 만 19세 이상 ~ 64세 이하는 일반 요금 적용, 만 4세 이상 ~ 18세 이하는 어린이 · 청소년 요금 적용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도, ‘수술실 CCTV’ 민선7기 정책 국제적 공감대 만들어
이전글 방송은 어떻게 하는 걸까?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