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지친 일상에 쉼표과 사색을 더하는 그림같은 같은 사찰. 고양 흥국사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11-18
지친 일상에 쉼표과 사색을 더하는 그림같은 같은 사찰. 고양 흥국사  ⓒ 경기도블로그


가을의 사찰은 그림 같은 풍경을 감상하며 여유를 만끽하기 좋은 곳이죠. 경기도 고양시 북한산국립공원 초입에는 북한산 전망을 한눈에 담을 수 있는 사찰이 있는데요. 바로 ‘흥국사’입니다.

지친 일상에 쉼표과 사색을 더하는 그림같은 같은 사찰. 고양 흥국사  ⓒ 경기도블로그


한미산 자락에 위치한 흥국사는 ‘나라를 흥하게 한다’는 뜻깊은 이름으로 신라시대 최고의 고승인 원효대사가 창건한 사찰입니다. 북한산 원효암에서 수행하던 원효대사가 북서쪽에 상서로운 기운이 일어나는 것을 보고 산에서 내려와 지금의 흥국사터에 이르게 되었다고 하는데요. 당시에는 ‘상서로운 빛이 일어난 곳이라 앞으로 많은 성인들이 배출될 것이다’라는 의미로 홍성암이라는 명칭으로 창건되었습니다.

지친 일상에 쉼표과 사색을 더하는 그림같은 같은 사찰. 고양 흥국사  ⓒ 경기도블로그


상서로운 기운이 일어났다는 그 이야기를 입증하듯 약사전 뒤편에 마련된 북한산전망대에 서면 북한산 여러 봉우리가 파노라마처럼 펼쳐집니다. 북한산에서 가장 최고봉으로 손꼽히는 백운대는 물론이고 인수봉, 만경대가 삼각형 모양으로 손안에 잡힐 듯합니다. 원효봉부터 노적봉, 나한봉, 문수봉 등 전망대 앞에서 전망되는 북한산 봉우리들의 이름을 하나하나 친절하게 표기해 둔 안내판을 참고하면 마치 이 봉우리들을 모두 오른 듯한 기시감마저 느껴집니다.

지친 일상에 쉼표과 사색을 더하는 그림같은 같은 사찰. 고양 흥국사  ⓒ 경기도블로그


이제 사찰 내부를 한번 둘러볼까요? 흥국사의 특징은 보통 사찰에 가장 큰 법당으로 불리는 대웅전이 있는 반면 흥국사는 약사전이 본전으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약사전은 경기문화재 자료 57호이며, 이곳 흥국사가 약사여래를 모시고 공양하는 약사도량임을 보여주는 곳입니다. 이외에도 경기문화재자료 104호 아미타 여래좌상, 경기 유형문화재 극락 구품도, 괘불 등 다양한 문화재들을 볼 수 있습니다.

지친 일상에 쉼표과 사색을 더하는 그림같은 같은 사찰. 고양 흥국사  ⓒ 경기도블로그


몇 년 전에는 인기리에 방영되었던 TV 드라마 ‘응답하라 1988’의 배경지가 되기도 했는데요. 재밌는 장면을 연출하며 ‘응답하라절’이라는 검색어로 유명세를 얻기도 했습니다.

지친 일상에 쉼표과 사색을 더하는 그림같은 같은 사찰. 고양 흥국사  ⓒ 경기도블로그


사찰 주변으로는 산책하기 좋은 길도 잘 만들어져있는데요. 길 곳곳에 걸려 있는 향기로운 글귀를 따라 산책하며 사찰 뒤편 숲속 길에서 차분한 명상도 해봅니다. 가을 숲에서는 숲을 거니는 발자국 소리부터 다르게 느껴졌는데요. 종교를 떠나 자연 속에 자리한 사찰로의 산책은 지친 일상에서 쉼표와 사색을 더 할 수 있는 시간을 선사해 줍니다.

지친 일상에 쉼표과 사색을 더하는 그림같은 같은 사찰. 고양 흥국사  ⓒ 경기도블로그


흥국사는 사찰에서 자연과 마주할 수 있는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곳이기도 합니다. 템플스테이에 관심 있다면 흥국사에서 체험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지친 일상에 쉼표과 사색을 더하는 그림같은 같은 사찰. 고양 흥국사  ⓒ 경기도블로그


사찰을 돌아 내려오는 길에 그곳에서 보았던 좋은 글귀 한 줄을 마음에 되새기게 되는 걸 보면 가을 단풍이 물들 듯, 복잡했던 마음 또한 고즈넉하게 물들었나 봅니다. 흥국사에서 그림 같은 풍경을 감상하며 여유를 즐겨보세요. *고양 흥국사 위치 : 경기 고양시 덕양구 흥국사길 82 문의 : 02-381-7970 *위 내용은 경기소셜락커가 작성한 글로, 경기도의 공식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2019 경기소셜락커 엄윤주 락커  ⓒ 경기도블로그


[출처:경기도 블로그]
[작성자:2019 경기소셜락커 엄윤주 락커]

원문보러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스토리뉴스] 역사원정대의 첫 발자국
이전글 경기도민은 매일 무료! 가을빛으로 물든 행궁 산책. 남한산성 행궁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