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도민 모두의 ‘쉼’ 있는 도시공간 만든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12-18
손임성 경기도 도시정책관은 18일 경기도청에서 브리핑을 열고 ‘쉼이 있는 도시공간 조성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 경기뉴스광장


경기도가 도민 모두의 ‘쉼’이 있는 도시 공간 조성에 나선다. 손임성 도 도시정책관은 18일 경기도청에서 브리핑을 열고 ‘쉼이 있는 도시공간 조성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도심 곳곳에 도민 누구나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공 영역의 휴게 공간을 확보해 선진국 주요 도시들에 비해 부족한 도내 휴게공간을 확대하고, ‘차별 없는 쉼’ 공간을 조성하고자 마련됐다. 특히, 이 계획에는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강력한 정책 의지 아래 추진되고 있는 하천 및 계곡정비 지역을 도민들이 찾을 수 있는 ‘쉼터’로 조성함으로써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겠다는 구상도 포함됐다. 손임성 정책관은 “고속성장의 역사, 자동차 중심의 이동 등 문화적 특성과 효율성과 경제논리에 밀려난 도시공간계획 등의 영향으로 자유로운 쉼 공간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민간이 상업적 목적으로 운영하는 카페, 음식점 등 유료공간이 쉼 공간의 주를 이루면서, 자연스럽게 쉼 공간 이용도 경제적 능력에 따라 차별화되어 온 것이 현실”이라고 밝혔다. 이어 “객관적 수치로 비교해보면 경기도 1인당 도시공원면적은 유럽 주요 선진국들의 절반 이하 수준에 머물고 있다”며 “공공의 영역에서 도민 모두의 보편적 쉼이 있는 도시 공간 조성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추진 계획은 ‘도민 모두의 쉼이 있는 도시공간 조성’이라는 비전 아래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3대 추진전략’으로 구성됐다.

경기도의 ‘쉼이 있는 도시공간 조성 추진계획’은 벤치 설치 확대, 체계적 쉼 공간 조성 등 3대 추진전략으로 구성됐다.  ⓒ 경기뉴스광장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도는 도민이 필요한 곳에 벤치 설치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도는 공동주택, 학원가 밀집지역, 통학차량 대기장소, 버스승강장 주변 등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장소와 도민이 실제 설치를 원하는 장소에 벤치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도민들의 휴게 공간을 확충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도는 오는 2020년 1~2월 중으로 공모를 실시해 도민 의견 및 여론을 수렴하는 한편 도심지 공개공지, 쌈지공원 조성 확대 등을 통해 숨은 공간을 집중 발굴해 나갈 방침이다. 둘째, 개발사업의 계획단계에서부터 벤치 확대 설치 계획을 반영해 ‘체계적 쉼 공간’을 조성해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도는 신규공공택지지구 계획 시 벤치 및 쉼터를 충분히 확보하는 한편 도로, 하천정비 사업 등 각종 기반시설 설치 시 본연의 기능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주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해 벤치를 확대 설치해 나갈 계획이다. 셋째로, 공공 공간의 정상화를 통한 도민 환원을 추진한다. 특히, 이 계획에는 민선 7기가 역점 추진하고 있는 ‘하천 및 계곡 정비사업’ 관련 내용이 포함됐다. 불법시설물을 철거한 하천 및 계곡 부지를 도민들이 찾을 수 있는 ‘쉼터’ 등의 공간으로 조성함으로써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불법점유나 생활쓰레기 등으로 인해 방치된 광장, 보행자전용도로 내 공간을 개선, 도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조성해 나가겠다는 계획도 반영됐다.

손임성 도시정책관은 “도민 모두의 보편적인 쉼이 가능한 도시공간 조성을 통해 ‘새로운 경기 공정한 세상’에 한걸음 더 가까워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경기뉴스광장


도는 쉼이 있는 도시공간 조성 모델 정립 및 정책 확산을 위해 내년 1~2월 중 도민 공모를 통해 선정된 대상지와 도내 31개 시·군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대상지 등에 도비를 지원, 시·군과 함께 ‘쉼이 있는 도시공간 조성 시범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손 정책관은 “어린이, 청소년을 위한 ‘안전한 쉼’, 바쁜 일상에 지친 청년과 중장년을 위한 ‘편안한 쉼’, 고령화 시대 노약자 등 사회적 약자를 배려한 ‘편리한 쉼’이 가능한 도시 공간을 조성하겠다”며 “작은 정책이지만 도민 모두의 보편적인 쉼이 가능한 도시공간 조성을 통해 ‘새로운 경기 공정한 세상’에 한걸음 더 가까워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도민들의 휴식공간인 도내 도시공원은 총 4,410개소, 1억1,619만8,000㎡ 규모로, 도민 1인당 휴게공간은 9.6㎡에 불과하다. 이는 베를린 27.9㎡, 런던 26.9㎡, 빈 21.7㎡, 뉴욕 18.6㎡ 등 주요도시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대표적으로 수원 나혜석 거리의 경우, 15m 당 1개의 벤치가 설치돼 있어 5m 당 1개의 벤치를 보유한 미국 브로드웨이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성별영향평가 정책개선 우수사례 발표대회’ 개최
이전글 수원에서 만나는 중국식 전통 정원! `달의 연인 보보경심 려` 드라마 촬영지 수원 월화원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