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경기도, 코로나19 대응 1조1917억원 긴급 추경 편성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0-03-20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20일 기자회견을 열고, 총 1조1,917억 원 규모의 코로나19 대응 긴급 추경예산안을 발표하고 있다.  ⓒ 경기도청


코로나19로 인한 비상경제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경기도가 자체사업으로 극저신용자 소액대출 1,000억 원, 취약계층 긴급지원에 500억 원 등 총 1,500억 원을 지원한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20일 경기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총 1조 1,917억 원 규모의 코로나19 대응 긴급 추경예산안을 발표했다. 경기도의 3월 추경은 2010년 이후 10년 만이다. 이 지사는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우리의 안전뿐만 아니라 삶마저 위협받고 있다. 전대미문의 경제위기가 도래하고 있다”면서 “거리는 비었고, 자영업자는 직격타를 맞았다. 모든 도민과 국민이 힘겨운 싸움을 이어가는 코로나19에 긴급 대응하기 위해 2020년도 제1회 추경예산을 편성했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이번 추경에서 올해 일반회계 본예산의 약 5.1% 규모인 1조1,917억 원을 증액했다. 추경예산 총규모는 28조2,300억 원이며 이 중 일반회계는 24조7,862억 원이다. 1조1,917억 원의 재원은 종자관리소 부지 매각 수입 등 도 자체 재원 5,975억 원과 국가보조금 등 5,942억 원으로 마련했다. 이 지사는 이번 추경이 ▲민생안정 및 지역경제회복 지원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 ▲감염병 대응체계 확충 등 3가지 분야에 쓰인다고 설명했다. 먼저, 도민의 생활안정을 지원하고 지역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해 7,058억 원을 전격 투입한다. 대표적으로 ▲한시적인 아동양육 지원, 저소득층 생활 지원 등 긴급복지 지원 4,611억 원 ▲코로나19 극복 소액금융 지원 및 긴급 지원 1,500억 원 ▲지역화폐 발행 및 공적일자리 확대 등에 947억 원이 반영된다. 이 가운데 소액금융 지원은 코로나19로 생계가 어려운 신용등급 7등급 이하 87만5,653명(2018.8.31.기준) 가운데 경기도 거주 1년 이상 도민을 대상으로 한다. 도는 이들에게 5년간(원하는 경우 5년 더 연장해 총 10년간) 연 1%의 이자로 1인당 50만 원을 즉시 무심사 대출하고 급박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도 300만 원까지 심사를 최소화해 대출할 예정이다. 수요가 많아 1,000억 원을 모두 사용하게 되면 향후 1,000억 원을 추가 편성할 계획이다. 취약계층 긴급지원은 취약계층(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로 재산 2억4,200만 원 이하, 금융재산 1,000만 원 이하) 가운데 코로나19로 1개월 이상 소득이 없거나 매출이 50% 이하로 감소됐지만 정부 긴급복지사업에서 제외된 10만 가구를 대상으로 가구당 50만 원씩을 지역화폐로 지원한다. 도는 추경 확정 후 최대한 빠른 시간에 지원금을 읍면동을 통해 지원할 계획으로 이르면 4월 초순 정도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번 추경은 ▲민생안정 및 지역경제회복 지원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 ▲감염병 대응체계 확충 등 3가지 분야에 쓰일 예정이다.  ⓒ 경기뉴스광장


이 지사는 “경기도가 현금 지원이 아닌 극저신용자 무심사소액대출에 주력하는 이유는 재원부족으로 모두를 지원하지 못하기 때문”이라며 “소액의 현금이 꼭 필요한 분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고육지책”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2,000억 원의 재원도 50만 원씩 지급하면 40만 명만 혜택을 볼 수 있는데 경기도민 1,360만 명 중 3%에 불과하다”며 “지원의 사각지대에서 고금리 대부업체를 이용해야 하거나 이조차 어려운 이들이 당장 입에 풀칠이라도 하게 하는 것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두 번째로 경제적 직격타를 입은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금융지원을 위해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특별자금 지원 293억 원 ▲소상공인, 전통시장 지원 168억 원 등 총 461억 원을 증액한다. 세 번째, 코로나19 종식을 위한 감염병 대응체계 확충을 위해서는 ▲감염병 전담병원 운영 125억 원 ▲격리자 생활지원비 지원 225억 원 ▲코로나19 긴급대책비 63억 원 등 총 516억 원을 추가 편성했다. 이 예산은 감염병 전담병원 운영과 역학조사활동 사업, 선별진료소, 예방적 코호트 격리시설, 복지시설 지원에 이르기까지 감염병 관련 사업들의 원활하고 신속한 진행을 위해 쓰이게 된다. 도는 자가격리자들에게 생활지원비를 지급하는 사업도 추진할 방침이다. 이 지사는 “경기도는 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여기고 있다”며 “오늘 발표한 사업들을 차질없이 집행해 하루 빨리 도민들의 근심을 덜어드리겠다”고 강조했다. 추경예산안은 이날 도의회에 제출됐으며, 오는 23일부터 25일까지 열리는 코로나19 원포인트 임시회에서 심의될 예정이다. 한편, 경기도는 이미 코로나19 조기 대응의 일환으로 예비비, 재난관리기금, 재해구호기금을 활용해 328억 원을 긴급 지원한 바 있다. 또 청년층의 소비 여력을 높이고 지역상권의 신속한 회복을 도모하고자 분기별로 지급하던 청년기본소득 예산 1,500억 원을 상반기 내에 조기 집행할 계획이다.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도, 코로나19 차단 위해 5월 예정 ‘2020 플레이엑스포’ 취소
이전글 소중한 동네서점, 우리가 함께해요!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