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접수 시작…신청 절차 및 사용법 총정리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0-04-10
경기도는 지난 9일 오후 3시부터 이달 30일까지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신청 홈페이지(basicincome.gg.go.kr)를 통해 경기지역화폐카드나 신용카드 방식 신청을 받고 있다.   ⓒ 경기뉴스광장


경기도 및 18개 시·군 재난기본소득 온라인 신청이 지난 9일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도는 오는 30일까지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신청 홈페이지(basicincome.gg.go.kr)를 통해 경기지역화폐카드나 신용카드 방식으로 신청 접수를 한다.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온라인 신청의 구체적인 절차와 사용법을 소개한다. ■ 신청일로부터 2일 내 ‘승인완료’ 문자 수신 후 사용가능 지역화폐카드나 신용카드 사용자는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홈페이지에서 재난기본소득을 받고 싶은 자신의 카드 정보를 입력하면 신청자 인적 정보 및 신청 금액 확인을 거쳐 접수가 완료된다. 신청일로부터 2일 이내에 ‘○○○님의 경기도(1인 10만 원) [및 ○○시(1인 ○○만원)] 재난기본소득 카드 사용이 승인되었습니다. 신청하신 카드로 지역화폐 가맹점에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라는 승인 완료 문자가 휴대폰으로 발송된다. 특히 도와 기준이 동일하고 조례와 예산 편성 절차를 완료한 18개 시·군 주민은 경기도 재난기본소득과 함께 시·군에서 자체적으로 지급하는 재난기본소득도 함께 받을 수 있다. 18개 시‧군은 안성(25만 원), 화성(20만 원), 이천‧동두천(15만 원), 양평(12만 원), 용인‧성남‧평택‧시흥‧양주‧여주‧과천(10만 원), 부천‧의정부‧김포‧광명‧하남‧의왕(5만 원)이다. 또 미성년자 세대원이 있다면 대리 수령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화성시민이 홈페이지를 통해 재난기본소득을 신청하면 경기도 10만 원과 화성시 20만 원을 합친 총 30만 원이 들어오고, 미성년자 세대원 1명을 추가하면 총 60만 원을 받을 수 있다. 승인완료 문자가 오면 지역화폐카드는 재난기본소득 신청 금액이 충전되며, 신용카드는 이때부터 사용 시 차감이 진행된다.

온라인 신청은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홈페이지에서 재난기본소득을 받고 싶은 자신의 카드 정보를 입력하면 신청자 인적 정보 및 신청금액 확인을 거쳐 접수가 완료된다.   ⓒ 경기뉴스광장


■ 승인완료 문자 수신 후 3개월 지나면 미사용 금액 회수 신청이 완료된 신용카드로 재난기본소득을 사용하면 5일마다 ‘○○○님의 경기도 [및 ○○시] 재난기본소득 사용 현황을 알려드립니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최근 5일 사용액과 누적 사용액, 잔액 현황이 문자로 발송된다.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의 유효 기간은 카드사로부터 승인완료 문자를 받은 날부터 3개월이다. 3개월이 지나면 재난기본소득으로 차감되지 않고, 남은 금액은 미사용으로 회수된다. 사용처는 기존 지역화폐 사용처와 같이 음식점, 전통시장, 도소매점, 프랜차이즈 가맹점 등 주민등록 주소지 시·군에 있는 연매출 10억 원 이하 업소로, 일반 IC카드로 결제 가능한 모든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다. 단, 대형백화점,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 유흥업종 및 사행성 업소, 프랜차이즈 직영점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도 관계자는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은 도민의 소비여력을 키우고 멈춰버린 지역상권을 살리는 경기도의 ‘경제방역’ 정책”이라며 “도민 모두에게 지급되는 재난기본소득으로 현명한 소비를 하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사용처는 기존 지역화폐 사용처와 같이 음식점, 전통시장, 도소매점, 프랜차이즈 가맹점 등 주민등록 주소지 시·군 내 연매출 10억 원 이하 업소다.   ⓒ 경기뉴스광장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Gyeonggi to Expand Export Credit Insurance Support for COVID-19-affected SMEs
이전글 “투표는 국가의 미래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일”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