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국민 절반 코로나19 우울감 호소…‘멘탈데믹’ 대비해야”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0-05-19
19일 경기연구원이 발표한 ‘코로나19로 인한 국민 정신건강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의 절반이 코로나19로 인해 우울감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경기뉴스광장


최근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우울감을 호소하는 국민들이 늘어나면서, 경제위기 못지않게 국민 트라우마 확산, 즉 멘탈데믹(mentaldemic)에 대비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19일 경기연구원이 발표한 ‘코로나19로 인한 국민 정신건강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47.5%는 코로나19로 인해 불안·우울감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코로나 블루’라는 신조어가 등장한 만큼 코로나19가 국가 차원에서 전 국민적 트라우마를 안겨주고, 개개인의 정신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게 연구원의 진단이다. 연구원은 지난 4월 전국 17개 광역시도 15세 이상 1,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신뢰수준 95%, 표본오차 ±2.53%)를 진행했다. 설문조사 결과, 코로나19로 인해 ‘다소’ 불안하거나 우울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45.7%, ‘매우 심하게’ 느끼는 비율은 1.8%로 나타나 절반에 가까운 국민이 불안감이나 우울감을 호소했다. 이는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높아져 50대 52.2%, 30대 46.5%, 10대 40.0%가 불안·우울하다고 응답했다. 직업별로는 전업주부가 59.9%로 가장 높았고, 그 뒤를 자영업자(54.3%), 계약직 근로자(53.4%), 중고등학생(46.8%), 무직자(46.7%)가 이었다. 대구시민의 불안·우울감은 전국 평균보다 약 20% 높은 65.3%로 나타났다. 부산은 55.4%, 대전은 54.5%이었으며, 경기도는 47.6%로 평균 수준이다. 응답자의 20.2%는 코로나19로 수면장애를 경험한다고 말했으며, 대구시민은 그 비율이 30.6%에 달했다. 코로나19가 안겨준 스트레스는 메르스의 1.5배, 경주·포항 지진의 1.4배, 중증질환의 1.3배, 세월호 참사의 1.1배 등 다른 재난과 비교해 높은 수준이었다.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정도 역시 5점 척도 기준 4.1점으로 나타나 메르스(2.8점), 경주·포항 지진(2.8점)보다 높았다.

재난의 경험은 개인과 사회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이러한 정서적 반응은 재난이 종료된 이후에도 단계적으로 진행된다.  ⓒ 경기뉴스광장


대다수의 국민들은 확진자에 대해 위로와 동정을 느끼고 있으며(67.3%), 분노·원망은 16.2%, 무감정은 16.5%로 나타났다. 언론에서 코로나19에 대한 소식을 접할 때면 ‘특정 개인·단체의 일탈행동에 대한 원망’이 22.7%에 달했으며, 코로나19가 지속될 것이라는 절망감은 16.3%로 나타났다. 반면, 일선 의료 인력에 대한 응원(19.2%), 정부와 방역 정책 응원(12.3%) 등 긍정적인 답변도 비교적 높았다. 응답자 절반(49.6%)은 코로나19로 인한 심리적 고통을 완화하기 위해 심리 정신 지원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이는 30대(53.8%)에서 가장 높았다. 이은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코로나19는 사회경제적 손실과 경제위기 못지않게 국민 정신건강에도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국민 트라우마 확산, 즉 멘탈데믹(mentaldemic)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코로나19로 인한 국민들의 심리·정신적 트라우마 회복을 위해 ▲계층·대상별 국민 맞춤형 심리 정신 회복지원 프로그램 도입 ▲포스트-코로나 자살 증가 예방 전략 수립 및 심리백신 프로그램 도입 ▲국공립 의료기관의 감염병-정신응급 대응체계 구축을 제안했다. 또 이 연구위원은 “도는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도민 힐링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고, 계층・대상자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코로나 극복’ 축산업계 기술지원 확대
이전글 가정의 달_물 위에서 춤추는 그림ㅣ#경미크ㅣ#영원한 소녀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