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수원시, 학교밖 청소년 위해 문화체험 키트 전달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0-05-18
코로나19로 수원시청소년재단(이사장 홍사준)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이하 수원 꿈드림) 휴관이 지속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고 일상을 회복하기 위해 사회적 거리 두기, 더 강력한 사회적 거리 두기가 이어지고 있다. 학교는 사상 초유의 개학 연기를 하다 순차적 온라인 개학을 결정했다. 학교 밖 청소년도 안전을 위해 몸은 멀리, 마음은 가까이하며 사회적 거리를 두고 있다. 수원 꿈드림센터에는 상시활동 및 문화체험 등의 대면 활동을 멈췄다. 이에 수원꿈드림 센터가 다시 오픈하길 기다리며 「코로나는 멀리 가족은 가까이」 유튜브 캠페인과 나 홀로 슬기로운 방역 생활 이벤트도 진행했다. 그럼에도 지속하는 사회적 거리 두기로 온라인 활동이 이뤄졌다.
꿈드림 안내책자(왼쪽)와 유튜브 캠페인  ⓒ 박진하 기자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첫 번째 직업체험 `나의 미래직업 알아보기` 수원시 청소년지원센터는 직업 흥미검사를 해보고 DIY키트를 받는 온라인 수업을 진행했다. 커리어넷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후, 직업 흥미검사를 하고 꿈드림 페이스북 메시지나 카카오플러스 친구를 통해 검사결과를 꿈드림 교사에게 보내면 된다. 20분만 투자해서 검사하고 결과를 보내면 참여가 완료되는데, 꿈드림 교사가 이를 확인 후 DIY키트를 집으로 보내주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꿈기자도 학교 밖 청소년으로 직업 흥미검사를 한 후 검사 결과를 카카오플러스 친구로 보냈다. 직업 흥미검사 결과에 맞춰 DIY키트를 보내주는 거라 DIY키트가 아직 도착하지 않았다. 직업체험 키트는 5월 초에 발송된다. 어떤 것이 보내질지 기대가 된다. DIY키트를 받고 집에서 스스로 활동하면 첫 번째 직업체험은 완료이다.

꿈기자의 진로흥미탐색 결과표   ⓒ 박진하 기자


나 홀로 문화체험 키트 만들기 코로나19로 인해 휴관이 장기화함에 따라 기관 방문이 어려운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해 `나 홀로 문화체험 키트`가 배달되었다. `나 홀로 문화체험 키트` 에는 손 소독제, 조립완구, 아트보드, 호떡 만들기 등 집에서 쉽게 활동해 볼 수 있는 물품들이 들어 있었다. 전화로 어떻게 생활하고 있는지 연락을 주는 꿈드림 교사가 “센터에서 또래 청소년들을 만나지 못하는 아쉬움과 답답함을 느낄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위로의 마음을 전달하고자 물품 지원을 진행하게 되었다”며 “건강하게 있다가 센터에서 만나자”라고 말했다.

학교 밖 청소년에게 전달된 <나 홀로 문화체험 키트>  ⓒ 박진하 기자


나 홀로 문화체험에는 3가지 미션컨테스트가 있었다. `누가누가 빨라? 내가 제~일 빨라`는 체험키트 물품 중 한 가지를 선택, 완성하여 응모하는 것으로 선착순 2명을 뽑는 것이다. `다작랜드`는 선착순 1명으로 체험키트 물품 모두를 완성하여 응모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멋~쟁이 호떡 만들기`는 나만의 개성을 살려 창의적인 호떡을 만들어 응모하면 된다. 꿈기자는 문화체험 키트 중 미니어쳐 나무 조립과 스티커 아트 북 활동을 했고, 가족들과 호떡믹스로 시나몬롤을 만들었다. 평소 관심은 있었지만 구입하여 활동하지 못했던 미니어처 만들기와 스티커 아트 북 활동은 새로워서 신났고, 호떡믹스로 호떡이 아닌 시나몬롤을 동생들과 만들어보니 재미난 활동이었다.

꿈기자가 활동지 미션을 완료했다.  ⓒ 박진하 기자


꿈기자가 좋아하는 만들기 활동이어서 좋았고, 미션 결과도 궁금했다. 활동 후 온라인으로 이어진 만족도 조사에 2차 문화체험 키트 선정에 대한 의견을 냈다. 현장 문화체험만큼은 아니지만, 집에서 할 수 있는 온라인 활동을 보내주는 꿈드림 관계자들에게 감사하다. 수원 꿈드림센터는 센터에서 할 수 있었던 프로그램을 온라인과 집에서 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은 점점 확대 운영할 예정이고, 학습멘토링과 자립준비교실, 정신건강서비스는 온라인 참여가 가능하다. 한편, 수원 꿈드림은 만 9~24세의 학교밖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상담 및 검정고시 학습 지원, 인턴십 프로그램, 복지지원 등 다양한 지원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수원시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재단 홈페이지(www.syf.or.kr) 또는 수원시청소년 상담복지센터(031-236-1317)로 문의하면 된다.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경기도 문화유산을 찾아서-광주 조선백자요지
이전글 가정의 달 5월! 역사와 함께 걷는 융건릉. 정조의 효심을 따라 걷는 한적한 숲길 여행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