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우리나라 역사의 전성기를 돌아보다! 고구려 대장간 마을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0-05-27
우리나라 역사의 전성기를 돌아보다! 고구려 대장간 마을  ⓒ 경기도블로그


우리나라 역사상 최고의 전성기를 누렸던 고구려! 5세기 강력한 철기문화를 바탕으로 위로는 만주까지, 아래로는 ‘아리수(한강의 옛 지명)’와 ‘아단성(아차산의 옛 지명)’까지 광대한 영토를 차지했습니다. 1994년부터 발굴된 아차산의 수많은 보루와 유물은 고구려의 역사와 문화가 바로 우리 가까이에 있었음을 보여주는데요. 오늘은 고구려 역사 문화 탐방에 좋은 `고구려 대장간 마을`에 대해 소개 드리려고 합니다. ✔ 우리나라 역사의 전성기를 누렸던 고구려의 역사를 돌아보다!

우리나라 역사의 전성기를 돌아보다! 고구려 대장간 마을  ⓒ 경기도블로그


고구려 대장간 마을로 함께 들어가 볼까요? 고구려 대장간 마을 바로 앞까지 널찍한 주차장이 조성되어 있어 아이들과 접근하기 편리합니다. 구리 쪽에서 아차산 산행의 시발점이 되기도 해 등산 전후로 들리기도 좋습니다.

우리나라 역사의 전성기를 돌아보다! 고구려 대장간 마을  ⓒ 경기도블로그


고구려 대장간 마을은 지난 2008년 아차산 자락에 개장해 2009년 4월 공립 박물관으로써 정식 등록되었습니다. 아차산에서 출토된 고구려 유물을 상설 전시하는 전시장이 있어 아이들과 함께 고구려 역사를 공부하기에 좋습니다. 아차산 유적 전시관은 고구려 남진 정책의 전초기지 역할을 했던 아차산 보루 유적과 이곳에서 출토된 유물을 전시하는 곳으로, 2개 층의 전시관에 고구려 유물이 빼곡합니다. ​보루 완성하기, 깨진 토기 조립, 수렵도 퍼즐 맞추기 등을 할 수 있어 아이들도 흥미를 느끼기 좋은 공간입니다. 고구려 대장간 마을로 올라가는 길과 바로 옆으로 고구려 마을의 골목이 보입니다. 아기자기하게 꾸며진 골목에서 옛 고구려 사람들이 금방이라도 나올 것처럼 옛집과 골목이 잘 꾸며져 있습니다.

우리나라 역사의 전성기를 돌아보다! 고구려 대장간 마을  ⓒ 경기도블로그


좀 더 올라가니 신작로 급의 도로와 건물들이 나타납니다. 이곳은 영화 쌍화점, 역린, 안시성의 무대가 됐던 촬영장으로도 유명합니다. 영화뿐만이 아니라 드라마 태왕사신기, 선덕여왕, 신의 등 다양한 작품 속에 나온 곳이기도 합니다. ✔ 마을 회의가 이루어지는 `거믈촌`, 고구려인의 생활 양식을 엿볼 수 있는 `연호 개체`와 `대장간`까지!

우리나라 역사의 전성기를 돌아보다! 고구려 대장간 마을  ⓒ 경기도블로그


왼편 큰 건물이 보여 안으로 들어가니 실제 고구려인들이 살고 있다고 생각될 정도로 세심하게 꾸며져 있습니다. 거물촌이라는 곳인데요. 고구려 대장간 마을의 회의 장소라고 합니다. 지붕이 뚫린 특이한 형태의 가옥구조가 이채롭습니다. 2층으로 된 거믈촌 벽면에는 고구려의 고분벽화에 나오는 청룡, 백호, 주작, 현무 사신 중 북방의 현무를 사방에 그려 넣었습니다. 현무는 예전부터 냉철하고 지혜를 뜻해 거믈촌과 잘 어울리는 사신입니다.

우리나라 역사의 전성기를 돌아보다! 고구려 대장간 마을  ⓒ 경기도블로그


거믈촌 앞쪽에는 연호 개체가 있습니다. 고구려인들이 기마민족이라 입식 생활을 선호했으며, 고분벽화 속에서는 장막으로 공간을 구분한 디테일이 엿보였습니다. 연호 개체는 쪽 구들을 놓아 잠을 자며 편히 쉴 수 있는 공간, 의자를 놓아 접대할 수 있는 공간, 평상이 놓인 공간 등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고구려인들은 쪽 구들 위에서 추위를 이기고 잠을 자며 여름이나 평상시에서는 의자에 앉아서 생활했다고 합니다. 중앙에 고구려 대장간 마을의 핵심인 대장간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고구려는 일찍부터 청동 무기를 철제 무기로 대체하여 사용하면서 대장간이 발달했던 것으로 추측되는 대장간 터가 아차산 보루에서 발견되었습니다. 대장간 옆에 있는 물레는 지름이 7m로, 대장간을 움직이는 동력이 됩니다. 대장간에 설치된 기계장치는 현대적인 것처럼 보이나 삼국유사에서 정교한 기계장치 모형인 만불산을 토대로 만들어져 완전히 현대적인 기계는 아닙니다.

우리나라 역사의 전성기를 돌아보다! 고구려 대장간 마을  ⓒ 경기도블로그


고구려의 대장간은 채굴한 철광석을 고열로 녹이고 담금질하여 도구를 만들어 내는 체계적인 생산 라인이 갖추어져 있습니다. 철광석이나 완제품을 나르던 수레와 대장간에서 만들어진 창, 칼 등이 전시되어 실감 났습니다. ✔ 고구려의 숨결을 느껴보다!

우리나라 역사의 전성기를 돌아보다! 고구려 대장간 마을  ⓒ 경기도블로그


마을을 지나니 담덕채가 있습니다. 광개토대왕의 어린 시절 이름인 `담덕`은 어린 시절 반대파에 의해 국내성에서 잠시 쫓겨 났다는 야사를 기반으로 하는데요. 담덕이 살았음직한 평범한 고구려 가옥을 만들어 놓은 집입니다. 고구려 온돌은 오늘날처럼 방 전체를 데우는 것이 아니라 방 안에서 불을 지펴 일부분만을 데우는 쪽구들이었다고 합니다. 광개토대왕 복제비와 담덕상도 있습니다. 광개토대왕비는 중국 집안에 아들인 장수왕(414)이 세웠다고 합니다. 광개토대왕비는 높이 6.39m에 무게가 37톤에 달하며, 울퉁불퉁한 표면에 바둑판처럼 선을 반듯하게 긋고 14×15㎝ 크기의 글자를 네 면에 총 1,775자를 새겼습니다.

우리나라 역사의 전성기를 돌아보다! 고구려 대장간 마을  ⓒ 경기도블로그


광개토대왕비의 내용은 고구려의 건국과 비석을 세운 이유, 광개토대왕의 활약상과 업적, 왕릉을 지키는 수묘인에 대한 규정을 기록하고 있으며 당시 광활한 영토를 개척하고 동북아시아를 주름잡았던 고구려의 드높은 기상과 깊이 있는 문화를 알 수 있습니다. 광개토대왕비를 끝으로 길을 따라 내려오면 고구려의 역사, 문화, 생활 등이 전시된 야외학습장이 있습니다. 유치원, 학생들이 단체로 고구려에 대한 역사와 문화를 학습하고 토론도 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고구려 대장간 마을 전시관에는 아차산 보루의 조사 내용을 토대로 한 상설전시를 통해 1500년 전 아차산에 주둔했던 고구려 병사들의 생활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정기적인 특별전을 통해 다각적으로 조명한 고구려 문화를 도민들에게 알리는 노력도 하고 있는데요. 고구려의 역사와 문화를 느낄 수 있는 고구려 대장간 마을! 이번 주말, 고구려 대장간 마을에 방문해보는 건 어떨까요? 관람시간 : 평일 09:00~18:00 / 토, 일, 공휴일 09:00~19:00(연중무휴) 문의 : ☎ 031-550-2363 정규 해설 : 10시/13시/14시 30분/15시 30분 (1일 4회 진행, 소요시간 1시간) 단체(20인 이상) 해설 및 아차산 고구려 유적 현장답사는 사전예약(☎ 031-550-2565) *위 내용은 경기도민기자단이 작성한 글로, 경기도의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2020 경기도민기자단 최병용 기자  ⓒ 경기도블로그


[출처:경기도블로그]
[작성자:2020 경기도민기자단 최병용 기자]

원문보러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경기도 기술개발사업 경쟁률 14.6 대 1…사상 최대
이전글 [스토리] 주거부담 뚝! 경기도 저소득층 전세금 대출보증 및 이자지원 신청기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